• 전체메뉴보기
 

안동 의성 김씨 종택 義城 金氏 宗宅(보물제450/경북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280-1)1587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이듬해 학봉 김성일이 스스로 감동監董(건축 감독관)이 돼 지은 집이다. 학봉 김성일과 관련된 집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집 구조가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여러모로 주목받는 곳이다. 가까운 위치에 학봉 종택도 있어 같이 둘러보면 안동 의성 김씨 종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최성호   사진 홍정기

학봉 김성일(1538~1593)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온 인물로 임진란 전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오면서 일본이 침략하지 않을 것으로 조정에 보고해 임진란에 대비하지 못하게 했다는 원죄를 지닌 사람이다. 그 후 그는 죄를 물어야 한다는 논란 속에서 유성룡의 변호로 처벌을 면한 후 경상우도 관찰사로 임명돼 김시민을 도와 진주대첩을 이끌어 임진란 초기 전세 전환점을 가져온 인물이기도 하다. 진주대첩 이후 얼마 되지 않아 병으로 사망한 학봉은 퇴계가 칭찬해 마지않았던 제자로 퇴계 학문을 계승한 학자였다. 가문에서 태실을 보존할 정도로 당시 그의 위상은 매우 높았다.

대청이 아닌 안방을 중심에 둔 안채
실측조사 보고서에 나타난 학봉 종택 이력을 보면 1587년 새로 지은 후 1730년대에 바깥사랑채를 철거했으며 1890년 작은 사랑채를 다시 지었다. 그리고 1757년 학봉 태실을 없애고 마루로 개조했지만 1970년 이를 다시 복원했다고 한다. 의성 김씨 종택은 여러모로 주목받는 집이다. 학봉 김성일과 관련된 집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집 구조가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안채 배치다. 완전한 ㅁ자 형태인 안채는 다른 집과 달리 중문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사랑채와 직각으로 놓였다. 이렇게 배치하고 보니 안방은 행랑채와 나란한 남향이고 대청은 남북으로 긴 모양이 됐다. 우리나라 모든 집에서 대청은 중문 또는 대문을 향해 넓게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곳은 대문과 직각을 이룬다.
 
안채 배치 중심을 대청이 아닌 안방으로 잡았기 때문으로 이렇게 직각을 이루면 대청 깊이가 늘어난다. 안채를 햇빛이 잘 들도록 전면에 배치하다 보니 이런 형태가 됐다. 당시 대청은 여름을 나기 위한 것도 있지만 제례 중심으로 생활이 바뀌면서 집안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쓰였다. 특히 안채 대청이 그런 역할의 중심에 있었기에 대부분의 집은 대청을 중앙에 위치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 집에서는 제례 문제 못지않게 생활공간으로서의 안방을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배려가 제례 공간이라는 대청 기능에도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않았나 한다. 대청 깊이가 깊어지면서 제례 편의성이 좋아지고 위계를 설정하는 것도 오히려 원활해졌다. 이러한 대청 구성은 바로 옆 의성 김씨 귀봉 종택에 그대로 영향을 미쳤다.

ㅁ자 형태인 안채로 대청이 아닌 안방이 배치의 중심이다. 대청 깊이가 상당하다.
큰 사랑채와 바깥사랑채 측면으로 모두 행랑채와 연결된다.
오른쪽 끝 문을 열면 안채다. 왼편은 사랑채.
안 채 대청은 15㎝ 정도 차이를 두고 층을 두었다. 위계를 강조하기 위함으로 제일 높은 곳에 위폐를 모셨을 것이다.
안채를 향해 난 창으로 고풍스럽다.

안방과 윗방 날개채 지붕에 올라탄 안채 지붕
안채의 독특한 구성은 실 배치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지붕 구성이 일반적인 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과 사뭇 다르다. 안채 대청이 중심에 자리 잡고 있어 이를 잘 표현하도록 지붕을 과장해 올렸는데 전면에서 볼 때 안채 지붕이 분명하게 드러날 정도다. 대청 지붕이 솟으면서 안방과 윗방 날개채 지붕이 상대적으로 낮아 보여 흡사 올라탄 형태다.
 
이러한 지붕 구조로 대청 천정과 기둥이 높아져 대들보와 종보 간격이 벌어졌다. 마치 중국 천두식 건물을 보는 듯 중후한 느낌이다. 한편으로 대청에서 안채와 윗방 지붕 부분과 서까래 마구리가 보이는 등 조금은 어수선하기도 하다.
 
이렇게 안채가 우리가 보아 왔던 일반적인 집과 여러모로 다른 모습을 하고 있어 어떤 이들은 학봉이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 왔을 때 눈여겨본 중국 주택을 참고해 이 집을 지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학봉이 주로 방문했다는 명나라 당시 수도 북경 사합원 주택과 이 집과는 유사성을 거의 찾을 수 없어 설득력이 떨어진다.
 
또 학봉문집을 보면 '一依舊制稍寬廳事 以復行事, 즉 옛 모습 그대로 지었다. 다만 대청만은 조금 넓게 하여 일을 치르는데 편하게 했다(학봉 김성일의 생각과 삶/이해영/한국국학진흥원/127쪽)'고 기록돼있어 의성 김씨 종택은 옛날 집과 크게 다름없이 지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안채 대청 높이가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도 특이하다. 윗방 쪽이 제일 높고 앞쪽 중정 쪽 퇴칸이 가장 낮은데 높이는 각각 15cm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높이가 다른 것은 위계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아마도 제일 높은 곳에 위패를 모셨을 것이다. 조선 초기는 아직 성리학이 자리 잡지 못한 상황이어서 사당을 짓기보다는 집 안에 위패를 두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위패를 모시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임을 분명히 하기 위해 단을 높인 것이 아닌가 한다.

길게 일렬로 늘어선 문간채. 앞쪽이 바깥사랑채다.

안채 우측면과 문간채.

의성 김씨 집안 고서적 등을 모아 둔 장판각.

종가 권위 드러내고자 높은 곳에 놓은 사랑채
종택 대청 건너편 광 위로 누마루와 비슷한 시설이 있다. 언뜻 보기에는 마치 안사람들을 위한 휴게 공간으로 보이지만 실은 음식을 갈무리하는 곳이라 한다. 여름철에 음식을 통풍이 잘 되는 이곳에 보관해 상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사랑채 역시 독특한 구조다. 큰 사랑채와 바깥사랑채로 나뉘는데 모두 복층 구조 행랑채와 연결된다. 행랑채 1층은 곳간이고 2층은 서고와 누다락이다. 바깥사랑채에서 큰 사랑채로 가려면 뒤편 한 칸 마루에 설치된 계단을 올라 복도 네 칸을 지나야 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바깥사랑채는 1890년에 새로 지었다. 행랑채도 이때 올렸을 가능성이 높다. 안마당에서 본 큰 사랑채와의 연결이 매끄럽지 못해 행랑채는 처음 이 집을 지었을 때 계획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다. 그러므로 그 이전에는 큰 사랑채 앞을 지금과 같이 바깥사랑채나 행랑채가 막아서지 않아 종택 큰 사랑답게 우뚝 서 있었을 것이며 경관 또한 매우 훌륭했을 것이다.
 
사랑채는 모두 전면 네 칸 측면 두 칸으로 모두 여덟 칸 규모다. 동쪽 두 칸은 방이고 나머지 여섯 칸은 대청이다. 현재 큰 사랑채는 뒤로 물려 높은 곳에 위치한다. 대부분 사랑채가 안채보다 전면에 나와 있는데 이처럼 뒤로 물려 높게 위치시킨 이유는 종가 사랑채의 권위를 나타내고자 함이다. 또한 여섯 칸이나 되는 넓은 대청 규모로 볼 때 사랑채를 생활 중심으로 계획한 것이 아니라 종가로서 다양한 모임을 위한 공간으로 계획했음을 알 수 있다. 권위와 더불어 이런 목적에 걸맞은 위치를 찾다 보니 안채 뒤 높은 곳에 짓게 된 것이다.

큰 사랑채 뒤편에 자리한 사당. .

장판각과 경모각 문 입구에 270여 년이 된 회화나무가 서 있다.
학봉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일본 침략 문제를 오판함으로써 조선 역사에 씻을 수 없는 큰 상처를 남겼다. 이점 때문에 학봉이란 사람이 폄하되곤 한다. 그러나 그는 퇴계 수제자로 조선 성리학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사람이다. 그리고 임진란이 일어나자 몸을 던져 전쟁을 지휘했다.
진주대첩이라는 큰 업적을 남겼지만 결국 과로로 몸이 상해 임진란 발발 다음 해에 병으로 죽은 학봉 김성일. 의성 김씨 종택에 관련된 자료를 보면서 극히 일부분 때문에 만들어진 선입관을 가지고 그간 그를 평가해온 것은 아니었나 자문해 본다.

참고문헌
·안동 의성김씨 종택 실측조사 보고서/문화재청·학봉 김성일의 생각과 삶/이해영/한국국학진흥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10(경북 북부)/한국 문화유산 답사회/돌베개·문화재청 홈페이지/우리 지역 문화재/
안동시/안동 의성김씨 종택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4500000,37&pageNo=5_2_1_0
디지털 안동문화대전/안동 의성김씨종택  http://andong.grandculture.net/Contents/Index?dataType=0203

글쓴이  최성호
1955년 8월에 나서, 연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1982년에서 1998년까지 ㈜정림건축에 근무했으며, 1998년부터 산솔도시 건축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 이야기》가 있습니다.

전원주택라이프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고택을 찾아서, 특이한 구조로 주목받는 안동 의성 김씨 종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