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구들 설계를 위해서는 구들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아궁이부터 굴뚝으로 놓인 순서에 따라 구조를 설명해 본다. 최소한 이 정도는 이해해야 올바른 시공에 접근할 수 있다. 다른 분야는 기술적 용어들이 거의 다 영어나 일본어 또는 한자어로 뒤범벅되어 그 근원이 어딘지 불분명하지만 다행스럽게 도구들 관련용어들은 모두 우리토속어다.

  오홍식 <()한구전통구들협회 구들문화원 원장> 010-3044-8396  
http://blog.daum.net/guwdle

구들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구들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도면을 스케치 해 봤다. 기본 중에 기본으로 초등학생도 그릴 수 있지만 중요한 핵심은 다 파악한 그림이다. 아궁이와 함실, 화굴과 내굴길, 굴뚝개자리를 볼 수 있다

전전문가에게 맡기든 그렇지 않든, 손수 구들 설계를 시도해 보자. 집 구조와 구들방의 위치는 이미 결정된 것으로 보고 구들방 자체만 생각하고 구들의 주요구조를 생각하며 그려 본다. 구들 그림과 사진을 여러 곳에서 제법 봐서 눈에 익을 것이다.

설계를 하려다 보면 아무래도 구들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진다. 좀 더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구조의 시공을 위해 수없이 많은 용어를 가진 구들 구조 중에서 뽑아 정리해 본다. 최소한 이정도 구조에 대한 이해는 하고 있어야 올바른 시공에 접근할 수 있다. 한 번 만들면 수십 년, 어쩌면 수백 년도 그냥 쓰게 될 구조물인데, 뜯었다 고치는 다른 부분과 차별화가 필요하다. 열역학에 구조공학, 유체공학과 재료공학 분야가 망라된 시설물을 주먹구구식으로 만든다는 건 말도 안 된다. 구들의 기본 구조를 알고 시작함이 당연하다.

구들의 구조
아궁이부터 굴뚝으로 놓인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다른 분야는 기술적 용어들이 거의 다 영어나 일본어 또는 한자어로 뒤범벅돼 그 근원이 어딘지 불분명하지만 다행스럽게도 구들에서 쓰는 용어들은 모두 우리의 토속어로 남아 있어 전통 온돌, 구들의 원조가 우리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자랑스러움을 알게 된다.

아궁이
방고래 속으로 직접 불을 넣는 함실아궁이와 솥을 거는 부뚜막 아궁이가 있다.

함실
방고래 아래에 있으며 불이 타는 보일러실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부넘기
부뚜막 아궁이에서 방 벽을 지나 들어간 연기가 방고래 속으로 들어가기 쉽게 만들어 놓은 경사진 곳. 함실아궁이 구들에서는 이 구조가 없다.

불목
함실 위에서 불길을 펴 방고래 속으로 나누어 들어가게 하는 곳.

이맛돌
함실 바로 위 또는 부넘기 위에서 맨 처음 불을 받아 퍼지게 해주는 돌. 이맛돌을 어떻게 놓느냐에 따라 열효율과 구들 성능이 달라진다.

고래
연기와 열기의 통로가 되는 골. 바다 속의 고래와 하등 관계가 없다.

고임돌
고래 뚝(둑)이라고도 한다. 구들돌을 올려 놓아 고래 만드는 돌이나 뚝과 같은 구조물로 지금은 적벽돌을 주로 사용한다. 편하게 한다고 흙벽돌을 쓰는 것을 보기도 하는데 굽지 않은 흙의 물성이 습기를 가지고 있으려 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좋을 게 없다.
전돌이나 기와 깨진 것을 황토 반죽과 버무려 만들기도 한다.

두독
시근담 또는 구들 정개라고 하며, 방 안쪽 벽을 따라 빙 둘러 만들어 구들돌을 올려 놓게 하는 구조로 고래 바닥에서 두둑까지의 높이가 바로 고래의 높이가 된다.
일반적으로 적벽돌 다섯 장을 쌓아 만들면 30㎝ 정도 높이의 고래가 된다. 두둑과 벽이 확실히 밀착되지 않으면 그 사이로 연기가 새어 나오기 쉽다. 벽돌과 벽돌 사이 그리고 벽돌과 방 벽 사이에 흙 반죽을 넣고 밀착시켜야 한다. 연기가 새는 곳 중에는 90% 이상이 벽을 따라 생기므로 꼼꼼하게 작업한다. 두둑의 기울기를 보면 방바닥 구배가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다.

고래개자리
고래 끝에 깊게 파인 골. 연기를 끌어당기며 분진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일각에서 개가
들어가 잠을 자기도 하는 자리라서 개자리라고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一자 개자리(윈쪽)가 일반적이지만 ㄴ자(오른쪽)나 ㄷ자 개자리도 있다

내굴길
방에서 빠져 나가는 연기의 통로. 달걀을 놓으면 제법 잘 굴러 내려가는 정도의 기울기로 만드는데 반드시 굴뚝개자리 쪽으로 내려 묻으며 굴뚝까지 거리가 멀 경우 중간에 개자리를 두어 연결한다. 경복궁 교태전의 내굴길은 30여 m 떨어진 아미산 굴뚝까지 연결돼 있었다. 내굴길이 부실하면 쥐나 벌레들이 뚫고 들어오기도 하며 물이 스며들어 굴뚝개자리를 채워 연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기도 한다.

굴뚝개자리
그 집에서 가장 깊은 곳에 자리하는 구조물이 된다. 내굴길을 통해 나온 연기를 모아 밖으로 나가게 하며 연기 속에서 생기는 목초액을 고이게 하고 밖에서 부는 바람이 역풍이 되어 방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방수가 되지 않으면 그 일대의 물기를 몽땅 끌어 와 물구덩이가 되므로 반드시 방수가 되도록 작업한다. 커다란 독을 사용하면 좋겠지만 값이 만만치 않다. 못 줘도 칠팔십만 원은 한다. 주변에 깨진 독이 있다면 주저 말고 가져다 본드로 붙이고 비닐로 감아 쓰면 되지만 그나마 여의치 않다면 방 크기에 따라 400~600㎜의 검정 이중관을 잘라 쓰거나 깊이 1m 이상 되는 맨홀로 개자리를 만들기도 한다.

구들 용어와 기본 구조에 대한 이해가 되어 있고 교육과 실습의 경험을 가졌다면 과감히 설계작업에 들어간다. 아래 그림은 바닥면적 3.7 × 4.5m의 일반적인 규모의 구들방 함실아궁이 줄고래 구들 도면이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내 손으로 구들 놓기 ⑤ 아궁이부터 굴뚝까지 구들 구조 익히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