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추위에 잘 견디고 땀을 잘 배출하는 살과 피부는 건강 조건이다. 더위와 추위를 피하는 일이다.
재목材木을 쓰지 않고 황토만으로 벽체를 쌓아 그 위에 지붕을 이어 지은'토담집'이나 거푸집 안에 황토를 넣고 꾹꾹 다져서 벽체를 만든 뒤 거푸집을 떼어내 지붕을 올리는 '담틀집'은 황토 자체가 구조체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목구조 뼈대집(심벽집)에서는 황토벽 기능만 담당한다.
 
한옥 뼈대집은 수수깡이나 싸릿대·대나무·잡목 등으로 가로 외(흙을 바르고자 벽 속에 엮는가는 나뭇가지)를 엮어 황토로 초벽, 재벽, 새벽 미장함으로써 벽체를 만들었다. 하지만 나무 기둥과 황토벽이 수축하면서 밖이 내다보일 정도로 틈이 생겨 겨울철 한기寒氣를 이기기 어려웠다. 이것이 현대인의 눈에는 뼈대집이 지닌 큰 하자瑕疵로 보였다. 그렇기에 현대 한옥과 황토집에서는 뼈대집의 느낌을 충분히 살리되 틈 발생이 적고 시공이 편리한 황토벽돌로 벽체를 쌓는 방법이 널리 쓰인다. 이른바'한옥 목구조 황토벽돌 집'이다.

재래식(손) 황토벽돌

재래식 황토벽돌은 손으로 직접 찍어서 만들었다. 집터 주변 야산 등에서 겉흙을 걷어내어 채취한 찰진 흙(진황토)에다 논흙과 짧게 썬 짚을 넣어 반죽하고, 이것을 벽돌 찍는 틀에 넣어 다진 후 그늘에서 말려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섞은 논흙은 반죽할 때 접착 기능과 강도를 높이고, 짚은 황토의 갈라짐과 터짐을 잡아준다. 현재는 농약을 안 친 오염되지 않은 황토(산山흙이나 논흙 모두)와 손으로 벤 짚을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대식 황토벽돌

황토벽돌은 현대 기술로 기능과 강도를 높인 여러 가지 유형의 제품이 나왔다. 현대 황토벽돌은 처음 수동식 기계 압력을 이용하여 소규모로 생산했다. 좋은 흙(황토나 적토)을 채취하여 5퍼센트 미만의 시멘트나 회를 섞어 강도를 높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황토에 시멘트나 회 대신 인체에 유익한 운모(게르마늄) 등 돌가루를 혼합하여 기능과 강도를 높이는 방식을 채택했다. 15톤 또는 35톤 하중/압력을 지닌 황토벽돌 제작 기계가 등장했고, 100톤 하중/압력으로 찍어 컨베이어벨트로 이동시켜 야적野積하는 자동화 단계에 이르렀다. 한편 물기에 약한 황토벽돌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인체에 무해한 약품(무기 바인더 혼화제 등)을 첨가한 제품도 나왔다. 그러나 황토벽의 기능을 제대로 살리려면 황토 자체의 자연 성분을 해치지 않아야 한다. 
  
특히 뼈대집의 경우 황토벽돌은 구조벽이 아닌 황토벽 기능만 담당하므로 비를 피하는 장치(방바닥 높이를 지표면에서 80 정도 높이고, 처마를 길게 내어 비를 피함)를 설치하여 황토집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옛 한옥에서도 창문 하단 부분은 비를 피하고자 회로 미장하거나 돌담 형태로 보강했다. 터의 형태와 바람의 방향 등을 고려하고, 건축주의 정서에 따라 필요하면 보강하되, 가능하면 황토벽 그 자체가 좋다.

황토벽돌은 현대 기술로 기능과 강도를 높인 여러 가지 유형의 제품이 나왔다.
황토벽돌의 종류

현재 사용하는 황토벽돌은 종류가 여러 가지다. 규격은 대大자형인 경우 300㎜(가로)×200㎜(폭)×140㎜(높이), 300×150×200, 300×200×100 등 다양하다. 만드는 방식과 모양에 따라 구멍이 없거나 가로(수평) 또는 세로(수직)로 구멍이 난 황토벽돌, 모서리를 면 처리한 황토벽돌, 문양을 만든 황토벽돌, 홈을 만든 황토벽돌 등 다양하다. 따라서 쌓는 방식과 용도에 따른 선택이 필요하다. 작은 황토벽돌일 경우 일반 소형 시멘트 벽돌 사이즈(195×90×55)가 보통이다. 

옛 한옥에서도 창문 하단 부분은 비를 피하고자 회灰로 미장을 하거나 돌담 형태로 보강했다. 터의 형태와 바람의 방향 등을 고려하고, 건축주의 정서에 따라 필요하면 보강하되, 가능하면 황토벽 그 자체가 좋다.
황토벽돌 쌓기
외벽 창틀 하단부 전돌 쌓기
주추 높이

철근 콘크리트 기초 위에 간이 주추와 나무 기둥으로 뼈대를 세웠다면 주추의 기본 높이는 13∼16㎝이다. 방바닥 높이(단열재 50∼80㎜+엑셀 배관, 콩자갈 40㎜+황토 미장 40㎜)를 계산한 것이다. 방바닥 높이만큼 황토벽을 보호하고자 방수턱을 만드는데 보통 소형 시멘트 벽돌 2장 높이로 쌓는다. 황토벽돌의 줄눈(접합부의 틈)을 계산하여 쌓는 장 수를 계산한 후 높이를 조정한다(만약 외부에 줄눈 대신 황토 미장으로 마감할 경우 굳이 줄눈 간격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

창틀 하단부 내벽 황토벽돌 (大 자) 쌓기
황토벽돌 수량 계산

뼈대가 짜여진 벽체 사이에 황토벽돌을 쌓는 것이므로 외부에서 봤을 때 황토벽돌의 줄눈이 일정한 간격과 모양을 유지해야 한다. 나무 기둥이 보통 9자이므로 도리를 뺀 높이는 2450㎜ 정도다. 줄눈을 계산하면 황토벽돌 규격이 300×200×140㎜인 경우 16장이 필요하다. 이를 정확하게 분배하여 나무 기둥에 표시한 후 줄을 띄우고 쌓아야 수직과 수평이 맞는다. 반장씩 물리도록 황토벽돌을 쌓는데 줄눈을 맞추다 보면 황토벽돌을 쪼개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

황토벽돌의 규격을 계산하여 반 장 황토벽돌과 온 장 황토벽돌만으로 시공하게끔 설계할 때 계획하면 좋겠으나 공간 구분에 따른 면적 문제로 쉽지 않다. 대자 황토벽돌의 반 장짜리 황토벽돌이 있다면 줄눈을 맞추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가창틀 넣기 전 하단부 벽체 구성 모습
황토벽돌 이중 쌓기

겨울에 추운 지역(경기 북부와 강원도 및 산간 지역)을 제외하면 보통 외벽 두께(황토벽)는 20㎝ 정도다. 하지만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나무 기둥과 황토벽, 창틀과 황토벽의 접합 부분에 생기는 틈을 원천적으로 보강하려면 대자와 소자 황토벽돌 이중 쌓기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8치(약 24㎝) 나무 기둥〔외진주 外陣柱〕의 안쪽 선으로 대자 황토벽돌을 쌓고, 내부에 나무기둥을 감싸 외벽 전체에 소자 황토벽돌을 쌓는다.

황토벽돌 벽체가 약 30㎝로, 이렇게 하면 나무 기둥과 황토벽돌의 접합 부분에 틈이 발생해도 내부에서 소자 황토벽돌이 막아주고 창틀의 폭도 넓어지기에 단열성이 높아진다. 벽을 타고 내려오는 천장의 한기도 훨씬 적어진다. 내부 칸막이벽은 대자 황토벽돌을 세워 쌓으면 폭이 14㎝ 정도지만 양쪽에 황토로 미장하면 17∼20㎝로 늘어나기에 문틀 설치에도 맞고 방음 등에도 전혀 문제가 없다.

가창틀 넣고 황토벽돌 이중 쌓기
칸막이벽 황토벽돌 (大 자) 세워 쌓기
하자瑕疵방지

외벽에 황토벽돌을 쌓을 때 나무 기둥과 황토벽돌의 접합 부분은 시간이 지날수록 나무 기둥이 수축하여 줄눈이 이탈하므로 보완을 예상해야 한다. 나무 기둥에 홈을 따 황토벽돌을 끼워 시공하면 하자를 원천적으로 줄이겠지만 가공비가 많이 들기에 현실적으로 어렵다. 용이한 방법은 스펀지나 은박 매트를 접어 못으로 고정한 후 황토벽돌을 밀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다. 줄눈을 넣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일이기도 하고 나무 기둥이 수축할 때에도 어느 정도 공간 밀폐가 가능하다.

황토 모르타르

황토벽돌을 쌓을 때 사용하는 모르타르 소재는 황토벽돌과 동일한 황토면 더욱 좋다. 황토가 터지는 성질은 모래를 섞어 막는다. 일부에서 시멘트나 회를 섞어 경화를 빠르게 하여 한꺼번에 벽 전체를 쌓으려는 경향이 있으나, 시멘트나 회는 황토의 성질을 죽이기에 가능하면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황토벽돌을 창문 하단 부분까지 쌓은 후, 그 다음날 이어서 쌓아야 좋다. 2장 쌓기는 대자 황토벽돌을 먼저 쌓은 후 어느 정도 굳으면 내벽에 철물 등을 고정하고 소자 황토벽돌을 쌓아야 안정적이다. 하단 부분에 대자와 소자 황토벽돌을 2장 쌓은 후 그다음에 상단부분을 쌓아도 무방하다.

칸막이벽 공간 구분 쌓기
가假창틀 공사

황토벽돌을 쌓을 때 창과 문 등 개구부를 정확하게 만들어 놓는다. 보통 창틀과 문틀을 먼저 제작하여 넣은 후 거기에 맞추어 황토벽돌을 쌓는데 공사 중 창틀과 문틀의 손상이 심하고 황토벽과 이음매 처리가 용이치 않다. 또한 창틀에 맞추려다 보니 외부에서 볼 때 황토벽돌의 줄눈이 조잡한 경우도 발생한다. 이것을 극복하는 좋은 방식이 가창틀 설치다. 황토벽돌로 하단 부분을 쌓고, 그 줄눈에 맞추어 창의 크기를 조정한다. 설계 당시 창의 규격에서 10∼20㎝ 가감이 생기기도 한다. 상단부분에 황토벽돌을 쌓기에 앞서 줄눈에 맞추어 가창틀을 짜 넣는다.
 
가창틀은 벽체가 약 30㎝일 경우 2×10인치 건조목(두께는 약 4㎝, 폭은 약 24㎝)으로 짜는 것이 좋다. 건조목이라야 창틀의 변형이 적다. 외벽 선을 기준으로 가창틀을 맞추는데, 그 이유는 새시외부 창틀을 넣은 후 가창틀에 고정하여 시더 몰딩으로 보완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내부에서 6㎝ 정도 틈이 생긴다. 이는 창호 공사 때 외부 새시 창틀 + 공틀 + 목창틀이 형성되기에 목창틀 안쪽으로 틈이 생기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 틈을 황토 모르타르로 사춤(담이나 벽 같은 곳의 갈라진 틈을 진흙으로 메우는 일)을 치면 창틀 쪽에서 들어오는 찬 기운을 막는다.

화장실 방수벽(시멘트 벽돌) 쌓기
거실 분합창 공사

거실 쪽으로 난 분합창은 도리까지 트고 양옆만 황토벽돌을 쌓는다. 창의 길이가 길기에 황토벽돌을 창틀 위까지 쌓으면 처짐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남마 형태의 쪽창을 내고, 도리와 창틀의 접합 부분은 폼 등으로 고정하여 밀폐한 후 시더 몰딩으로 마감하여 해결한다. 모양을 고려하여 나무 기둥에서 양쪽으로 황토벽돌을 한 장 반 정도 쌓고 창을 낸다. 창의 길이가 150㎝ 정도라면 창틀 위에 황토벽돌 2장을 외벽의 황토벽돌 줄눈에 맞추어 쌓는다. 가창틀은 황토벽돌의 하중을 받아야 하기에 수직 목재가 수평 목재를 받치도록 짠다.

전돌 + 흙벽 조적 공사 완료
문틀 공사

가문틀은 필요 없으나 문 개구부 상단에 쌓은 황토벽돌 2장을 걸치도록 인방을 건다. 보통 칸막이벽 가장자리에 문을 내므로 인방을 걸려면 반 장 또는 소자 황토벽돌 1장짜리라도 조적벽이 필요하다. 미장할 때 몰딩 처리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이를 예상하고 개구부를 설치해야 나중에 일을 두 번 하지 않는다. 인방 설치가 여의치 않다면 무리하게 황토벽돌을 올리지 말고 내장 공사 때 합판으로 마감하여 하중을 줄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치장벽돌 + 흙벽 조적 공사 완료
화장실의 방수벽

황토벽돌을 칸막이벽까지 쌓았다면 물 쓰는 공간 안쪽 벽에 작은 시멘트 벽돌로 방수벽을 만든다. 공간이 협소해지는 것을 막으려면 세워쌓기를 한다. 간혹 황토벽돌 대신 시멘트 벽돌로만 칸막이벽을 만들기도 한다. 물론 완벽한 황토집을 구성하려면 앞의 방식이 바람직하다.

글 이동일
글쓴이 이동일 님은  (주)행인흙건축 대표이사를 역임했으며 (사)전원생활협회 이사, 수필가로 활동 중입니다. 저서로 <새집 줄게 흙 집 다오> <황토집 바로 짓기>등이 있습니다. 집은 모름지기 건축주와 시공사, 현장 일꾼이 함께 짓는 공동 작품임을 강조하며 40여 동의 현대 한옥 현대 흙집을 지었습니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황토집 바로 짓기- 황토벽돌 종류와 조적 벽체공사 등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