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요즘 설계되는 집들은 단순히 거주만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다채로운 활용을 모토로 삼고 있다. 작업실이나 공방, 갤러리, 민박 등 일반적인 주거의 목적을 넘어서, 일과 삶이 공존하는 공간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현대 사회의 다양한 욕구가 주거에 반영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주거 공간과 다른 목적의 공간들은 어떻게 결합해야 할까. 이는 도심, 근교, 자연 등 주택을 짓는 지역에 따라 공간의 구성 방식을 달리해 해결할 수 있다.
    
진행&구성 이수민 기자
홍만식(리슈건축 대표), 홍예지(건축 전문 작가)
사진 김재윤(창원 다믄집, 파주 수수재), 김용순(통영 지그재그 하우스)
참고자료 『마당 있는 집을 지었습니다』 포북

홍만식 건축가에게 들었다
작업공간 설계 노하우 06
01 주거와 일터의 공존을 꾀하라
최근 지어지는 단독주택들은 휴식과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멀티 공간을 두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휴식처에 국한된 것이 아닌, 일터라는 생산 활동 범위와 어우러지는 것이다. 이에 주거 영역과 작업 영역을 구분해 배치하면 작업실 겸 보금자리 기능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02 경사진 지형을 활용하라 
독특한 지형은 설계 시 더 이상 불필요한 요소가 아니다. 각 영역을 층으로 구분할 수 있어 오히려 좋은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한 예로, 경사진 지형에 펜션과 주택을 동시에 설계할 경우, 층별로 수영장, 객실, 주택 등의 공간을 대지의 레벨 차에 따라 배치해 각각 특별한 공간으로 완성할 수 있다.
    
03 마당으로 영역을 구분하라
주거와 작업 공간을 자연스럽게 구분 짓기 위해서는 마당을 적극 활용해보자. 가운데 마당을 중심으로 외부 출입구와 가까운 곳에 작업실, 안쪽으로 주거 공간을 배치해 사생활을 보호한다.
    
04 지역별 특성에 따른 공간으로 구성하라
대지의 면적이 좁은 도심 지역은 지하나 다락을 활용해 작업 공간을 설계하는 편이 좋다. 반면 도심 지역에 비해 면적이 넓은 근교나 자연 지역은 건물의 구분을 통해 주거와 작업 공간을 나눌 수 있다. 이어 작업 공간을 외부인의 접대 공간으로 확장한다면, 주거 공간을 보다 프라이빗하게 즐길 수 있다.
    
05 작업 공간 종류에 따라 계획적으로 반영하라
작업 공간은 건축주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공방, 미술 작업실, 음악 작업실, 농가형 펜션, 갤러리 등 프로그램에 따라 각 실의 기능은 다르게 고려된다. 음악실의 경우에는 방음, 갤러리는 전시의 채광 방식, 목공방은 방진 시설, 민박은 동선 분리 등 각각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각기 다른 고려 사항을 계획적으로 반영하면 공간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06 작업 공간의 다목적 활용도를 고려하라
주거와 공존하는 일터로서의 작업 공간은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추후 작업 공간이 필요 없을 때 다른 목적으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작업 공간의 경우에는 주택이 아니라, 근린생활로 구분해 놓으면 추후 임대해줄 수 있다. 또한 면적이 협소한 주택인 경우, 작업 공간으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주거 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끔 계획하면 생활의 만족도도 높아지게 된다.

도시 위의 오아시스 창원 다믄집
다믄집은 지인들에게  ‘갤러리가 있는 집’이자 놀 유遊, 쉴 휴休라는 글자를 따  ‘유휴채’라고도 불린다. 미술을 전공한 아내는 갤러리를 겸한 개인 작업실을, 의사인 남편은 개인 공간인 취미실을 원했고, 자녀와의 소통도 중시했기에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마당은 필수 요소 중 하나였다.
    
이에 전체적인 설계는 한옥 배치 프로그램을 변용해 가로수 길 쪽에서 다물어진 ‘ㄷ’자형 배치로 매스를 계획했다. 내부 중정을 중심으로 길에 면한 부분은 갤러리와 취미실, 나머지 ‘ㄱ’자 매스에는 2개 층의 주거 공간을 꾸몄다. 덕분에 내부 중정은 길에서 분리된 가족들만의 프라이빗한 마당이 됐다. 한편 대지의 중심에 만들어진 1층 마당은 각 실과 관계를 맺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소통과 프라이버시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다믄집.

공간 구성 특징
-아내의 작업실은 길에 면한 개방된 공간을 통해 공유된다.
-안쪽 안마당을 중심으로 가족들만의 프라이빗한 주택으로 완성했다.
-1층에는 가족이 공유하는 주방과 거실, 손님방을 두고 2층은 침실 위주의 공간으로 구성해 효율성을 높였다.
-2층에 위치한 방들은 테라스 마당과 연계해 확장된다.

길에 면해 있는 테라스 마당과 갤러리 전경.
거실에서 바라보이는 안마당 전경으로, 우측으로는 갤러리가 위치해 있다.
건축주 가족이 프라이빗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안마당.
따스한 분위기가 느껴지는 주방과 안마당.
지하에 위치한 남편 취미실.

HOUSING PLAN
위치 경남 창원시 의창구
가족구성 성장기 남매를 둔 부부 내외
건축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건축구성
지하 1층 - 취미실
1층 - 거실, 주방, 다용도실, 손님방, 욕실 1, 갤러리
2층 - 안방+드레스 룸+욕실 2, 자녀 방 1+다락, 자녀 방 2+다락, 욕실 3
대지면적  336.00㎡(101.64평)
건축면적  160.74㎡(48.62평)
연면적  지하층 48.59㎡(14.69평)
지상층 241.99㎡(73.20평)

ㄷ자 배치를 통해 가사의 편의성을 도모한 주방.
붙박이 수납장을 통해 부족한 수납공간을 확보한 다믄집 내부.
창의적인 생각이 샘솟을 것만 같은 딸아이 방의 다락 공간.

목공방과 주거 공간의 콜라보 파주 수수재
도심 근교에서 목공방을 운영하는 부부의 마당집이다. 도심지에 비해 넓은 면적 덕분에 인위적인 느낌보다는, 자연 요소를 살리는 방향으로 설계를 집중한 것이 특징이다. 마당 역시 지형을 그대로 살려 특별함을 더했다. 작업실과 창고 사이 비워진 공간에 생긴 마당이 그 예다. 덕분에 기존의 경사 지형이 마당에 레벨을 만들며 목공방과 연계된 외부 공간으로 자리하게 됐고, 이는 동서 양쪽의 자연 풍경을 자연스럽게 담아내는 결과를 가져왔다.

파주 수수재 전경.

공간 구성 특징
-마당을 중심으로 길에 면한 매스는 목공방을, 뒤쪽으로는 2층에 주택을 배치했다.
-2층에 위치한 주택은 프라이빗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별도 마당을 구성해 조망을 확보했다.
-목공방은 마당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이벤트가 가능하다.
-마당은 주변의 자연을 담아내는 또 다른 장소가 된다.
-건물의 옹벽들은 연결되어 흐르듯 지형과 어우러지며 경계가 모호한 ‘하나’가 된다.

사이 마당에서 보이는 목공동.
도로에서 바라본 파주 수수재.
주택과 목공동 사이 마당 공간.
목공동 내부 공간으로, 마당과 바로 이어지도록 설계해 활용성을 높였다.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창고나 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널찍한 다락.

HOUSING PLAN
위치 경기 파주시 하지석동
가족구성 목공방을 운영하는 아내와 촬영 감독인 남편
건축규모 지상 2층
건축구성
1층-작업실, 창고
2층-거실, 주방·식당, 손님방, 다용도실, 욕실, 안방
대지면적  859.00㎡(259.85평)
건축면적  337.37㎡(102.05평)
연면적  406.91㎡(123.09평)

2층 테크에서 본 마을 풍경.
주택 거실에서 바라본 풍경.
높은 층고로 개방감이 느껴지는 주택 내부.

홍만식(리슈건축 대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쳤다. 원도시건축과 구간건축, 에이텍건축에서 실무를 쌓았다. 2006년 디자인과 디벨럽이 합쳐진 리슈 건축을 설립했다. 현재까지 ‘공존을 위한 병치’, ‘사이 존재로서의 건축’ 등의 질문을 던지며 설계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에서 겸임교수(2012~2017)로 역임했으며, 2013년 대한민국 신인건축사 대상, 최우수상(국토교통부 장관상) 등 다수 건축상을 수상했다.

02-790-6404 https://blog.naver.com/richuehong2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일과 삶이 공존하는 공간 작업실이 있는 마당 집 2-1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