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보'한 조각'마다 '한 땀' 정성을
담아 하나로 다양한 분위기 연출
할머니가 장에서 사오신 암탉, 설빔으로 만들어 입을 고운 옷감, 고향집에 다녀온 사람들의 양손 가득 쥐어진 갖가지 음식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보자기에 싸여져 있다는 것이다. 오랜 시간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에 쓰여진 보자기는 이처럼 그 용도에 따라 형태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최근에는 물건을 담거나 싸는 기능을 넘어 그 범위가 매우 넓어졌다. 특히 천 조각을 이용해 만든 조각보의 경우, 새로운 예술품으로 인정을 받는 등 또 다른 시각으로 보여지고 있다. 전통적인 분위기의 소품을 이용해 설날 손님맞이 준비를 하는 것은 어떨까. 선물을 싸는 보자기에서부터 벽걸이 장식용 보자기 등 다양한 보자기의 모습을 담아보았다.
물건을 싸거나 덮기 위해 만든 보자기는 복(福)을 담아 두는 도구로 상징되기도 한다. 물건을 운반하는 데에 수시로 사용했던 보자기는 크게 수를 놓은 ‘수보’와 천 조각을 이어서 만든 ‘조각보’로 나뉘어진다. 한 땀, 한 땀 정성을 담아 만든 조각보는 어떤 대상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 연상되기도 한다. 이처럼 복을 비는 마음을 대신했던 조각보는 ‘쪽보’라고도 하며, 지방마다 밥부재, 보재기, 보래기, 포대기, 보자, 보따리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불려
우리나라의 보자기는 일상생활에서 매우 가깝게 사용해 온 생활용품이다. 물건을 싸고, 담고, 덮는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그에 따라 옷보, 이불보, 상보, 예물보, 예단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이러한 보자기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이 대부분이며, 특수한 상황에 따라 사주단자나 예물을 담을 때에는 변형된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해 왔다.
삼베나 모시, 명주 등으로 의복을 만들고, 남은 옷감을 그냥 버리기에 너무 아까워 한 조각씩 모아 만들었던 조각보에서 조상의 근검절약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쌀 한 톨이라도 아끼며 살아야 했던 일반 서민층에서 주로 사용된 조각보지만, 최근에는 그 예술적 가치를 더 인정받고 있는 추세다. 조각보의 명인으로 인정받은 김현희 씨의 경우, 일본에서 단독으로 전시회를 가졌고, 그의 작품은 일본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표지에 실려 있을 정도다.
관리방법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조각보의 재료는 모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모시는 천연섬유질을 추출하여 만든 옷감으로 손질하기가 매우 까다로워 주의가 필요하다.
중성세제를 사용해 세탁할 경우, 오랜 시간 담가두지 않도록 주의하고 반드시 손세탁을 한다. 짜는 방법은 비틀지 않고 위아래로 가볍게 눌러 짜야 모양의 변형이 없다.
인사동에 밀집한 전문점
이러한 조각보가 최근에는 집안이나 실내를 장식하는 데 훌륭한 소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름철에 사용하는 발이나 커튼을 대신해 실내에 장식되는가 하면, 테이블을 장식하는 테이블러너, 밋밋한 벽면의 미술작품을 대신하는 등 실생활에 사용되는 범위가 매우 넓어진 것이다. 남은 자투리 천을 이용해 만들었던 옛날과는 달리, 기하학적인 무늬를 디자인하며 다양한 색상으로 직접 손바느질로 잇는 조각보는 이제 더 이상 생활용품이 아닌 ‘작품’으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인사동에는 이러한 조각보를 한두 점 걸어놓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많은 수의 매장에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서로 다른 모양의 무늬와 색의 천을 하나씩 이어 만든 방석과 쿠션부터 핸드폰 고리, 찻잔 받침, 핸드백 등 조각보를 응용한 생활용품이 다양해 보는 즐거움도 가득하다. 특히 외국관광객들의 조각보에 대한 감탄은 끊이지 않는다. 우리 선조들의 생활 속의 지혜가 현대에 와서는 새로운 구성미로 재평가 받고 있는 것이다. 田
보자기에 담긴 다양한 의미
보자기는 ‘보자(褓子)’라는 한자어에 접미사 ‘-기’가 더해져 만들어진 말이다. 한편, 보자기 외에도 ‘보따리, 보퉁이’ 등이 있고, ‘보’가 단독으로 쓰이는 것에서, ‘보(褓)’라는 한자어에 접미사 ‘-자’가 더해져 이루어진 말로도 볼 수 있다.
‘보(褓)’자의 본래의 뜻은 강보(襁褓), 곧 포대기 또는 어린아이의 옷이었는데, 후에 물건을 싸는 ‘보’의 뜻으로도 전의되어 쓰였다.
복을 기원하며…
보자기는 전통혼례 때에 사주 단자나 채단을 겉은 다홍색, 안은 청색인 보자기에 싸는데, 이것은 청홍(靑紅) 보자기가 복을 부르는 매체이며, 복을 싸 두는 도구라는 데에 기인한다.
수보는 조각을 이어 만드는 조각보와 달리 많은 문양을 수를 놓아 만든 것이다. 나무와 꽃을 비롯하여 학, 봉황, 공작 등 상서로운 새와 나비, 풀벌레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런 것을 보에 수놓은 까닭은 이들이 지닌 상징적 의미 때문이다. 민속에서 나무는 신성시되고, 꽃은 부귀영화를 누리는 부(富)를, 열매는 다복(多福), 다산(多産), 다남(多男)을 상징한다. 새나 나비는 기쁨과 복을 상징하고, 원앙은 부부 간의 금실을 상징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양을 수놓은 수보 또한 초복의 도구임을 알 수 있다.
간직하려는 마음을 상징…
물건을 싸는 보자기는 푸는 행위보다는 싸는 행위가 강조된다는 점에서, 간직하려는 심리적 태도와 비밀로 하려는 마음을 상징한다. 조선 시대부터 우리나라에는 물건을 보자기에 싸서 메고 다니며 파는 봇짐 장수가 있었다. 보부상(褓負商)이라고도 불리는 이들의 이미지는 고전 문학에서 두루 나타난다. 그러나 현대 문학의 경우, 보부상의 이미지가 아니라, 봇짐을 이고 다니며 행상하는 여인들의 이미지가 주로 나타난다.
서양에서는 보자기가 물건을 싸는 의미로서보다는 무엇을 덮는 베일(veil)의 의미가 더 보편적이다. 특히 이슬람의 전통에서 베일로 덮는 것은, 이 세상과 격리시켜 혼자만의 내면에서 신과 만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집트에서도 베일은 신의 최상의 보호물로 인식되는데, 남의 눈에는 보이지 않으면서 남을 볼 수 있는 능력의 획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출처 한국문화 상징사전/동아출판사
글·사진 조영옥 기자
촬영협조 솝리(02-725-2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