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고집 있는 집짓기

아버지와 단 둘이 직접 55평 귀틀집 지어 도시탈출

어려운 과정을 겪으면서도 집은 조금씩 모양을 갖춰 나가기 시작했다. 2층 귀틀집 형태로 1층은 콘크리트 기둥을 세우고 슬라브를 쳤고 그 위에 낙엽송을 쌓아 벽체를 구성했다. 1층 벽체 역시 통나무를 쌓아 올려 벽체를 구성했다. 목재상에서 낙엽송을 구해다 규격대로 잘랐는데 굵은 나무와 가는 나무를 번갈아 쌓아 올렸고 가는 나무가 올라간 자리는 황토로 메웠다. 지붕은 아스팔트 싱글. 55평짜리 귀틀집이 완성된 것은 98년 3월 무렵이었다.

이제야 나
예서 쉴 수 있게 되었다.
흘러간 일년여의 시간들
피곤에 지쳐 쓰러져도
잠 못 이루며 뒤척이던 숱한 날들
물집이 터져도
망치로 손가락을 때려도
참아야했던 순간들
무엇이 이들을 견디게 했던가?

이제
사라진 시간과 기억들은
공간 속에 쌓여있고
지쳐버린 영혼과 육신은
쉼을 갈망한다


집이 완성되면서 그는 굴러다니던 기왓장 위에 이렇게 적었다. 그가 왜 이 곳에 와야했고 무엇을 원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이 녹녹치 않았음을 함축적으로 담았다. 당초 그가 모든 것을 버리고 산 속에 들어와 살겠다고 했을 때,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아내까지, 식구들의 만류는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잘 다니던 병원 약사직을 그만두고 산 속에서 살겠다고 나섰으니 흔쾌히 이해해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더구나 집 지을 돈이 없다거나 돈을 좀 아껴보자는 심산도 아닌데 굳이 직접 짓겠다는 이규헌씨의 생각을 가족들은 납득할 수 없었다.

그러나 줄곧 ‘도시탈출’을 꿈꿔 왔던 이규헌씨에게 주위의 만류는 소용없는 일이었다. 구체적으로 생각이 정리되고 부터는 아예 쉬는 날이면 시골 구석구석을 돌며 부지를 물색했다.

그러다 만난 곳이 지금의 제천시 봉양읍 명암리 땅. 95년 무렵 농가가 딸린 준농림 전 7천평을 2억원에 구입했다. 감악산으로 오르는 길목이지만 인적이 뜸하고 계곡을 끼고 있는 데다 햇빛도 듬뿍 받는 그런 곳이었다. 계곡 옆 바위에 맷돌이 조각된 흔적이 있고 여기저기서 옛날기와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 전엔 절터였거나 집터였을 것 으로 추정되는 곳이었다.

약사직을 그만 두고 본격적인 집짓기에 나선 것은 그로부터 2년 뒤인 97년 무렵. 그것도 손수 짓겠다고 나섰다. 남들처럼 시공업체를 선정하거나 인부를 고용해 이것저것 지시하는 선에서 짓겠다는 개념이 아니라 모든 것을 손수 짓겠다고 나선 것이다. 굳이 이유를 들자면 ‘그냥 지어 보고 싶다’는 것, 그 것 뿐이었다.

인부라고 해야 이규헌씨와 그의 아버지 단 두사람. 한 사람을 더 꼽는다면 그의 어머니 정도가 이 작업에 동원된 인력의 전부. 그나마 힘쓰는 일은 아버지와 이규헌씨 단 두사람의 몫이고 둘의 힘이 부칠 때 가끔 아는 분이 들려 거들어준 정도다. 순수하게 외부 힘에 의존한 작업은 토목공사와 보일러 시공뿐.

97년 3월 시작된 공사는 이듬해 3월까지 꼬박 1년이 걸렸다. 인력이 부족한데다 건축에 대해서도 문외한인지라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했다.

설계도면이라고 해야 그냥 흰 종이에 쓱쓱 형태만 잡은 그림 두어 장과 머릿속에 그려진 도면이 전부. 명확한 도면이 있던 게 아니다 보니 작업중 여러 차례의 수정이 불가피했고 경우에 따라선 임기응변 식으로 대처해야 하기도 했다.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한 번은 굴뚝이 무너져 애를 먹기도 했다. 무너진 굴뚝을 다시 쌓는 과정에선 어머니가 발을 헛디뎌 다리가 두 곳이나 부러지는 사고를 당하기도 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이번엔 불까지 나는 바람에 놀란 가슴을 쓸어 내려야 했다. 화재가 난 날엔 공교롭게도 눈이 내려 소방차가 근처에 왔다 진입을 못해 발을 동동 구르며 애를 태워야 했다. 다행히 잘 진화돼 산으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조사를 받느라고 몇 번을 경찰서에 드나들어야 했다.

불려 다닌 일은 이 것 말고도 또 있다. 지나가던 사람이 베어 놓은 나무를 보고 신고를 하는 바람에 조사를 나오고 한바탕 소란을 피웠다. 이미 벌목 허가를 받아놓은 상태였고 벌목 역시도 죽은 나무를 베거나 촘촘한 나무를 솎아내는 정도여서 결과적으로는 문제될 일이 아니었지만 한동안 이일 저일이 겹치며 고통스런 나날을 보내야 했다.

아버지와의 의견충돌도 적잖은 고통이었다. 단둘이 집을 짓고, 또 이렇다할 설계도면도 없이 서로 뜻을 맞춰가며 집을 짓다보니 서로의 생각이 다를 수밖에 없었고 그 과정에서 의견충돌도 다반사였다.

어려운 과정을 겪으면서 그래도 집은 조금씩 모양을 갖춰 나갔다. 2층은 귀틀집 형태로 1층은 콘크리트 기둥을 세우고 슬라브를 쳤고 그 위에 낙엽송을 쌓아 벽체를 구성했다. 1층 벽체 역시 통나무를 쌓아 올려 벽체를 구성했다. 목재상에서 낙엽송을 구해다 규격대로 잘랐는데 굵은 나무와 가는 나무를 번갈아 쌓아 올렸고 가는 나무가 올라간 자리는 황토로 메웠다. 지붕은 아스팔트 싱글.

55평짜리 귀틀집이 완성된 것은 98년 3월 무렵이었다. 꼬박 1년이 걸렸다. 총 건축비만 1억5천만원 정도. 차라리 시공업체에 맡겼다면 덜 들었을 것인데 여러 번의 시행착오와 건축에 대한 무지가 건축비를 부풀렸다.

정작 집이 완성됐지만 한동안 집에 들어가지 못했다. 워낙 고생을 했던 터라 집만 생각하면 머리가 아플 지경이었다. 본격적인 산속 생활이 시작된 것은 그로부터 1년이 지나 마음이 좀 안정되고 부터다.

사실 이 집을 짓기 전엔 이 곳을 명상의 장소로 이용할 생각이었다. 오다가다 사람이 들리면 차도 대접하고 이야기도 나누고 밤손님이 오면 잠자리도 제공하고 그야말로 산지기 생활을 하겠다는 생각에서 였다. 그가 늘 꿈꿔왔던 생활은 바로 그런 것이었다.

그러나 모든 게 그의 생각처럼 되지는 않았다. 시간이 지나며 손님이 늘었다. 손님들의 성화에 못 이겨 한참 뒤에는 ‘빈자의 노래’라는 푯말도 내 걸게 됐다. 손님이 늘었으나 이런 북적임이 그에겐 달갑지 않은 일, 조용히 지내려는 그의 꿈이 깨질 것 같은 불안감이 들었다.

점차 오던 손님은 물론이거니와 입소문이 전해지면서 일부러 찾아오는 손님까지 생기게 됐다. 먼 곳에서 일부러 오는 손님이 늘다보니 차만 으로는 부족해 식사 메뉴까지 준비해야 했다. 여름 한철엔 한 달에 1천만원 이상의 매출이 올랐다. 돈을 보고 왔다면 이 것도 부족하다며 더 많은 궁리를 했을 텐데 목적이 다르다보니 이런 결과가 여간 탐탁치 않았다. 힘에도 부쳤다.

당초 있었던 농가에 기거하던 부모들도 탐탁치 않게 여기긴 마찬가지. 쟁반을 들고 이리저리 다니는 아들 모습이 못내 못마땅할 따름이었다. 결국 그는 2년 남짓한 그 곳 생활을 청산하고 다시 도시로 갔다. 그는 지금 제천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며 다시 약사라는 본업으로 돌아왔다. 이유는 여러 가지였지만 다분히 현실적인 측면을 간과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남편으로서 아빠로서 등 가장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 그가 그토록 고대하던 ‘그 영혼의 쉼터’를 뒤로 한 유일한 이유는 바로 그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지금의 현실에 대해 잠시의 외유일 뿐이라고 말한다. 어느 정도 안정이 되면 다시 자연인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한다.

‘지쳐버린 영혼과 육신은 쉼을 갈망하는데..’ 그 유일한 쉼터가 바로 그 곳이라는 확신에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글·사진 류재청

건축정보

위치: 충북 제천시 봉양읍 명암리
부지면적: 준농림전 7천평
부지구입년도: 95년
부지구입금액: 2억원
건축공사기간: 97년 3월∼98년 3월
건평: 55평
실내구조: 1층 숙박시설(방 3개), 2층 홀
건축비:1억5천만원
방위: 정남향
건물형태: 철근 콘크리트 + 귀틀집
벽체구조: 1층 숙박시설(철근콘크리트). 2층 홀(낙엽송)
내외벽마감: 낙엽송, 황토
지붕마감: 아스팔트 싱글
식수공급: 지하수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아버지와 단 둘이 직접 55평 귀틀집 지어 도시탈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