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시골 마을의 가을은 벼가 누렇게 익어 가는 들판과 붉은 고추가 햇볕에 말라 가는 집 마당, 그 한쪽 토담에 보름달처럼 둥글고 붉은 호박이 걸려 있는 풍경일 것이다. 올 가을은 장마처럼 질기게 내린 비 때문에 그런 풍경을 보기 힘들 것 같다.

농부들은 누렇게 물드는 논둑에 서서 영글어 가는 벼이삭을 한 번, 구멍 뚫린 것 같은 하늘을 한 번 올려다보며 한숨짓고 있다. 처서가 지나서 내린 비로 수확을 앞둔 벼들이 엎어져 논에 그냥 방치된 것도 볼썽사납고 가슴 아픈데 수확을 앞둔 마당에 비까지 몰고 오는 태풍이 원망스럽기만 하다.

“우리 ‘서동요 호박’ 좀 인터넷에 띄워서 대박 나게 해줘유.”

인터넷에 뜨기만 하면 다 대박 나는 줄 아는 어르신 한 분이 우리 집에 찾아와 호박 한 덩어리를 촌지(?)로 내려놓고는 애교 섞인 으름장을 놓고 가셨다.
부여군의 명물이 된 충화면 드라마 세트장에는 봄에 심은 호박이 결실을 맺어 관광객에게 심심찮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이강년(59) 씨를 비롯한 세트장 관리인들은 울타리마다 호박을 심어 정성들여 가꿔왔다. 그 결과 맷돌처럼 단단하고 잘 익은 호박들이 관광객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작은 것들은 말만 잘하면 덤으로도 주고 거저도 줄거유. 어차피 큰 것들은 즙내서 보약으로 먹으니께 공짜로 먹겠다는 사람들은 없어유.”

자칭 ‘서동요 호박’이라는 브랜드까지 지었다는 이강년 씨는 드라마가 끝난 세트장이 허전하지 않게 초가 지붕에 박을 올리고 울타리 밑에 호박을 심었다고 한다.

애호박은 여름내 된장찌개로 비오는 날 부침개로 식탁의 단골 메뉴로 오르다가, 붉게 익는 가을에는 강장식으로 웰빙 음식 재료로 또 다시 인기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호박은 잎이며 호박꽃이며 잘 여문 호박씨까지 못 먹는 부분이 없는 정말 알뜰한 채소다. 거기다 기르기도 쉬워서 도심 변두리 자투리땅에도, 어느 한적한 주택가 마당에도 심겨 있어 옥상으로 올린 호박 넝쿨을 보는 일은 어렵지 않다.

예부터 늙어서 좋은 것은 호박뿐이라는 말처럼 호박은 붓기를 빼고 다리 힘을 단단하게 하는 약성을 지녔다고 해서 보약을 준비하는 가을이면 빠지지 않는다. 호박즙은 산후 회복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산모들의 필수 음식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비타민과 칼륨, 섬유질이 풍부해 부침개와 떡 케이크, 호박죽 등의 웰빙 요리에 응용해도 좋은 가을의 대표 식품이다.

“어렸을 때는 호박 먹기가 왜냥 싫었는지 몰라유. 신짠지에 호박 가셔(썰어)넣은 된장만 맨날 먹으니께 신물이 난거쥬. 그래서 하루는 삽짝 울타리를 타고 올라가 먹기 좋게 매달린 애호박마다 말뚝을 박아 따 버리며 놀다가 엄니가 부지깽이 들고 쫓아오면 냅다 도망갔어유. 해가 져서 집에 몰래 들어오면 윗목에 또 호박잎 넣어서 끊인 멀건 된장 수제비가 퉁퉁 불어 있었는디……. 그래도 그 호박 수제비는 맛있었다니께유”

누구에게나 음식에 얽힌 추억만큼은 나이가 들수록 더 그리워지는 법이다. 겨울이면 건넌방 윗목에는 고구마를 얼지 않게 보관했던 고구마 바자가 한 자리를 차지하고, 그 옆에는 늙은 호박도 두어 덩어리는 놓이곤 했다. 집안에 해산을 앞둔 아녀자가 있으면 그 호박은 혹여 썩을까 보물 단지처럼 위해졌다.

퇴직한 아버지는 고향집 마당과 할아버지가 물려준 텃밭에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퇴락해 가는 고향집 토담 아래 아버지는 가장 먼저 호박을 심고 넝쿨을 올렸다. 첫째를 제치고 먼저 시집간 둘째 딸에게 태기가 있어서 당신 손으로 직접 재배한 호박으로 몸조리시키겠다는 뜻이었다.

“너도 얼른 시집가. 그래야 아빠가 심은 이 호박으로 몸조리하게 해주지.”

“에이, 아빠는 그깟 호박 때문에 맏딸을 헐값에라도 처분하고 싶으세요?”

“너도 자식을 낳아 봐야 부모 심정을 알지.”

내리 세 딸을 둔 아버지는 첫딸부터 순서를 지켜 시집보내지 못한 아쉬움을 겨우내 늙은 호박을 안방 문갑 위에 장식품으로 놓아두고 애지중지하는 것으로 달래는 것 같았다. 행여나 그 호박이 해를 넘겨서도 제대로 쓸모를 못 찾고 썩기 전에 호박죽으로 끓여 먹어버리겠다는 엄마의 성화에 없어지지 않기를 기원하며 노처녀 큰딸이 신랑감을 데리고 올 날을 기다렸다. 그렇게 두어 해를 더 보내고 나서야 큰딸의 혼삿말이 오갔다.

“요즘은 우리 밭에 호박꽃들이 막 웃는다.”

셋째딸까지도 시집보내고 나서야 신랑감을 데려온다는 골칫덩어리 큰딸을 보며 아버지도 모처럼 늙은 호박처럼 풍성하게 웃었다.

요즘은 애호박만한 크기의 단호박도 인기 몰이를 하는 추세다. 우리 동네에도 올해는 담배를 수확한 밭에 거의 다 단호박을 심었다. 단호박은 고구마 맛이 나게 그냥 쪄 먹기도 하고 속을 파내서 쌀을 넣고 쪄먹는 등의 요리로 한창 주가를 올리는 중이다. 핵가족이 대세인 요즘에는 한번에 먹어 버릴 수 있는 작은 단호박이 더 실용적이다. 그래도 고향의 정취가 남아서 더 정겹고 부모 마음이 서려 있어서 더 애잔하고 맛 나는 것은 고향집 토담에 매달린 보름달 같은 호박일 것이다.

추석 연휴 동안 시골 고향집에 다녀가는 분들, 향수로 가득한 호박 한 덩이씩 싣고 가세요! 드라마가 있는 부여의 ‘서동요 호박’도 사 가세요!田


오수향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일기] 서동요 호박 대박났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