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우리 몸은 근본적으로 소금을 원하고 있다. 인체는 체중의 60~80퍼센트가 수분이며, 이 수분은 농도 0.9퍼센트의 소금물로 되어 있다. 일상 식사를 통해 공급을 충분히 받기 어려운 미네랄을 얻기 위해 소금을 먹어야 하지만, 문제는 과연 어떤 소금이 좋으냐는 것이다. 죽염과 천금을 권한다. 미네랄이 풍부한 양질의 소금은 미네랄 결핍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질환, 즉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등의 생활 습관병, 면역력 저하, 빈혈, 사고 능력 감소 등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하다.


현대 서양 의학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소금은 해로우므로 가급적 적게, 또는 무염식으로 먹으라고 말한다. 정제염의 경우에는 옮은 말이다. 정제염이란 흔히 맛소금, 꽃소금으로 불리는 것으로, 자연염인 천일염에서 간수 성분을 99.8퍼센트 이상 제거시킨 화학·기계염이거나 또는 나트륨(Na)과 염소(Cl) 두 화합물질을 화학적으로 조합하여 만든 소금을 말한다. 이들은 순수 염화나트륨(NaCl)의 결정체로 단지 짠맛만을 가지고 있다.
삼위일체 건강법을 주창한 안현필 선생 역시 “정제염은 1그램도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양질의 천일염이나 죽염의 경우는 다르다. 이는 인체에 필요한 각종 미량 미네랄의 보고이자, 우리 몸의 생리적 활성을 도모해 줄 수 있는 좋은 식품이다. 어떤 이들은 이것들을 여러 질환의 치료와 건강의 유지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소금에 대한 오해

우리 몸은 근본적으로 소금을 원하고 있다. 인체는 체중의 60~80퍼센트가 수분이며, 이 수분은 농도 0.9퍼센트의 소금물로 되어 있다. 하루에 땀과 소변으로 배출하는 수분의 양을 약 2.5리터로 봤을 때, 음식 등으로 섭취하는 0.5리터 외의 물 2리터를 인체의 자연염도에 맞춰 섭취하려면 하루 최소 15그램의 소금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렇게 우리 몸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소금이건만, 왜 소금은 유해하다는 지탄의 대상이 됐을까?

소금이 고혈압과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는 소금 유해론은 1904년 암바드와 보자르에 의해 처음 제기됐다. 이들은 저혈압 환자의 경우 소금 섭취로 혈압이 높아지고, 고혈압 환자의 경우 거의 무염식의 과일식사로 혈압이 떨어졌다는 임상 결과로, 이와 같은 주장을 했다. 그후 1922년 알렌과 세릴, 1933년 톰슨, 1950년 롤 등이 유사한 내용의 논문을 제출했고, 국내에서도 이런 주장들(62년 서울의대 내과학교실 이 하 씨 논문, 63년 김도진 씨 논문, 91년 한양대의 이정권 교수의 논문 등)이 있었다. 그러나 그후 소금의 위해성에 근본적으로 반박하는 주장들이 위스콘신대 실험팀과 부상대 박건영 교수팀에 의해 제기되면서 이 문제는 아직까지 의학적으로 혼선을 이어가는 형국을 보이고 있다(태웅출판사 刊, 차상기 著 <신비의 물과 소금요법> 166~168 참조).

여기서는 소금의 유해·유익성을 과학적으로 논증하기란 곤란한 일이므로 몇 가지 점만을 지적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첫째, 식염을 적게 먹는 에스키모인들의 고혈압 발생률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의 평균 수명은 40세에 불과하다. 반면 오랜 세월 간장 된장 김치 등 발효식품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한 소금을 훨씬 많이 먹어온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은 70세에 달한다. 또 우리보다 평균 5그램 이상의 소금을 더 먹는 독일인의 경우 평균 수명은 더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소금이 고혈압을 유발시킨다고 하지만 바다 속(소금 농도 30/1000)에 사는 고기들은 고혈압에 걸리지 않는다. 인간과 다르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나트륨이 체내의 수분압을 조절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들이 고혈압에 걸리지 않는 이유는 바닷물에는 나트륨 외에 다른 미네랄들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셋째, 인간은 모태의 양수 속에서 10달 동안 성장하는데, 양수의 성분은 바닷물과 유사하여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염소(Cl) 등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다. 이런 소금물을 먹고 마시며 태아는 모태 속에서 건강하게 자라나는 것이다.

나트륨은 세포외 체액에 다량 존재하면서 세포체액의 균형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소금(NaCl)을 다량 섭취하면 몸 안에서 이온화된 나트륨 성분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희석하기 위해 수분이 혈관으로 들어가 혈액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혈압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칼륨, 칼슘, 마그네슘(Mg) (특히 K) 같은 미네랄이 함께 존재하게 되면 길항적 작용을 통해 혈압을 낮추게 된다.

소금은 미네랄의 공급원

사실 현대인들은 소금 외의 방법으로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각종 식품첨가물에는 아황산나트륨이, 화학조미료에는 L-글루타민산나트륨이, 기타 가공 식품에도 많은 양의 나트륨이 많이 담겨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급적 무염식을 권장하면서 야채와 곡식을(여기에 담긴 K 등의 미네랄 섭취를 위해) 먹으라고 권장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무염식주의자들의 말도 일리는 있다. 하지만 야채 등으로부터 섭취되는 미네랄의 흡수율은 그다지 높지 않으며(20~50%) 게다가 오늘날의 야채들은 미네랄이 거의 없는 화학비료를 먹으며 산성비로 미네랄이 유실된 토양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부족한 미네랄을 얻기 위해 미네랄의 보고인 소금에 눈을 돌려야 하는 것이다.

원래 우리가 먹던 천일염은 아주 좋은 미네랄 공급원이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각종 오염물질과 중금속들이 바다로 흘러들고 있어 그것을 그대로 복용하는 것은 위험해졌다. 또 최근까지 우리가 주로 섭취해 온 소금은 정제염과 같은 기계·화학염이 주였는데 사실 이것은 인간의 먹을거리라기보다 공업용에 적합한 것이다. 소금은 각종 공업용 물품인 티슈, 알루미늄 호일, 신문, 합성고무, 전차레일 등에 들어가는데 이때 인체에는 유익한 미네랄들이 불순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 이온식 교환막의 개발로 소금의 순도를 높여왔고 그것이 결국 우리의 식탁에도 올랐던 것이다.

일상 식사를 통해 충분히 공급받기 어려운 미네랄을 얻기 위해 소금을 먹어야 하지만, 문제는 과연 어떤 소금이 좋으냐는 것이다. 필자는 죽염과 천금(1000도씨 이상에서 장시간 고열 처리한 순수 소금으로 천일염에 붙은 중금속 등을 제거한 것)을 권한다.

천금을 개발한 고달삼 목사님은 매일 1.5리터의 물에 티스푼으로 소금 세 스푼을 복용함으로써 수십 년간 건강을 유지해 왔다고 한다. 필자 역시 이 요법을 오랫동안 시행해 오면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또 이를 주변의 지인들에게는 숙변을 제거하는 요법으로 권해 좋은 효과를 보아왔다.

미네랄이 풍부한 양질의 소금은 미네랄 결핍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질환(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등의 생활 습관병, 면역력 저하, 빈혈, 사고능력 감소 등)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소금은 짠맛(鹹味)의 식품으로 오행(水) 기운의 편중되어 있는 사람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대개 심·소장이 실한 화형체질과 비·위장이 실한 토형체질에는 효과가 크겠지만, 신·방광이 실한 水형체질자들은 맥의 변화를 살펴가면서 가급적 단기 복용할 것을 권한다.田


글 명성환<오래된 한의원 원장>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건강산책] 한방과 먹을거리 II - 水에 해당하는 짠맛, 소금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