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단지를 찾아서

옹기종기 황토집 4채 모여 있는 ‘솟대전원마을’

솟대전원마을은 이천시 호법면 안평리에 위치해 있으며 야트막한 산자락으로 둘러싸여 있다. 마을 외곽으로 인접한 남향받이 터에 황토집 4채가 작은 마을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황토집에는 진달래동, 개나리동, 민들레동, 들국화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으며 각 건물에는 다양한 형태로 본채와 별채, 정자와 연못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다. 필지당 대지면적은 1백85평이며, 건축면적은 44∼47평(툇마루 제외) 정도다.


솟대 전원마을’ 황토집들은 별채, 다락방, 정자, 찜질방, 복층구조 등을 기본 요소로 다양한 형태의 우리식 건축양식을 현실화 시켰다. 특히 자연과의 연계성을 높인 툇마루와 정자, 별채(사랑방)등은 가장 큰 특징중 하나.
이천시 호법면 안평리에 위치해 있으며 야트막한 산자락으로 둘러싸여 있다. 마을 외곽으로 인접한 남향받이 터에 황토집 4채가 작은 마을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황토집에는 진달래동, 개나리동, 민들레동, 들국화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으며 각 건물에는 다양한 형태로 본채와 별체, 정자와 연못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다.

흙건축 행인(대표:이동일 031-284-8230)에서 설계, 시공했으며 필지당 대지면적은 1백85평, 건축면적은 44∼47평(툇마루 제외) 이다. 대지가격은 평당 40만원이며, 건축비는 평당 2백90∼3백10만원대로 2채는 99년 8월 중순 건축준공을 마쳤으며, 나머지 2채는 2000년 8월 준공을 마쳤다. 분양가는 대지, 건축을 합하여 2억3백8십만원~2억1천8백 8십만원(심야전기 보일러 포함)이다.

건축설계

건축 설계의 기본은 ‘황토집의 현대화와 대중화’에 중심을 두었다. 한옥으로 대표되는 흙집의 단조로운 평면 설계 대신 현대인의 생활양식에 맞도록 아파트형 배치를 적용했다. 목구조 골조방식과 현대화된 아스팔트 지붕을 결합, 황토집을 현대 건축물로 재해석해 적절한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진달래동(46.46평)은 대지 입구에 사랑채(별채와 정자)를 배치하고, 본채에는 다락방을 배치했다. 개나리동(46.21평)은 본채 안쪽으로 별채를 만들고 툇마루로 본채와 연결시켜 서재 또는 독립된 공부방 기능을 강화했다. 민들레동(1층 32.83평, 2층 11.6평)은 복층형으로서 1층은 동향, 2층은 남향으로서 각 공간의 향 배치와 전망을 최대한 살려냈다.

2층은 독립된 기능(방, 주방, 거실, 화장실, 발코니)을 모두 갖춘 공간으로 복층집이 갖는 장점을 황토집에 적용시켰다. 들국화동(46.38평)은 동문에 남향집의 전통을 계승하고 ㄱ자형 배치 및 넓은 툇마루, 찜질방, 정자와 연못을 배치함으로써 선조들의 건축 양식을 현대에 적용시킨 모델로 삼았다.

부지조성 및 토목공사

부지의 양옆에 야트막한 소나무 숲 가운데 남향받이 터를 4개의 동(전용 대지면적 1백85평)으로 나누었다. 세대별로 약 80㎝∼1m 높이로 자연석 쌓기로 단을 주고 조경을 해 구분이 되도록 했다. 지하수는 1백30m 암반층의 물을 수중 모터로 끌어올려 저수조를 통해 공급하도록 하였으며, 난방은 심야전기 보일러로서 지중매설을 통해 전력을 공급케 했다.

정화조는 수질보전권역이기 때문에 합병정화조를 설치하였으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화조 앞에 맨홀을 설치하고 오수관과 하수관을 분리하였다. 이밖에 부지의 지형을 고려해 약 10평 정도씩 텃밭도 배치했다.

건축 기초공사

일반적인 단독주택의 경우 줄기초 방식이 기본이지만 튼튼한 집짓기의 기본으로서 확대기초 방식을 택했다. 건축물이 앉을 자리의 사방 외곽 1m 정도에 콘크리트 메트를 치고 3자 높이의 옹벽을 올려 되메우기를 한 후 방바닥 콘크리트 메트를 침으로써 아래위를 한 덩어리로 물어주어 기초가 허술해 벽에 금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했다.

골조공사

한옥 목구조 방식의 기둥, 보 결합방식으로 골조를 세웠다. 8치(약25㎝) 두께의 사각기둥과 보로 골조를 세우고 현대적인 트러스 공법으로 지붕을 만들었다. 대들보 방식의 일자형 전통가옥의 단조로움을 현대적인 트러스 공법으로 처리해 목조 주택의 지붕 모양에 뒤지지 않는 지붕선을 만들 수 있었다.



지붕·처마 공사
황토집이나 한옥의 지붕은 대개 기와 또는 초가나 너와를 먼저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현대적인 아스팔트싱글로 지붕재를 마감하므로써 고정관념을 깨고 중저가대의 황토집 보급이 가능하도록 했다.

그러나 황토와 아스팔트싱글이라는 건축 소재가 갖는 불협화음이 존재하기 때문에 처마를 서까래와 대나무로 처리함으로써 전통과 현대적 감각이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특히 처마의 대나무 사이딩은 지붕안의 공기 순환을 자연스럽게해 주기 때문에 매우 실용적인 방법이다. (지붕재가 기와일 경우는 서까래와 부연으로 모양을 잡아주고 거실은 가천정을 만들어 대들보 시공이 가능하다.)

벽체공사

황토벽을 만드는 방식에는 몇 가지가 있다. 대표적인 게 싸릿대를 엮어 흙을 양쪽에서 치는 심벽방식과 담틀을 이용한 담틀방식 등이 있으나 기간과 비용, 내구성을 고려해서 기계압을 이용한 강도 높은 흙벽돌을 사용했다.

그러나 흙벽돌은 모양이 단조롭고 투박하다는 점 때문에 문양을 넣은 미려한 황토벽돌을 사용했다. 요즘 나오는 재래식 흙벽돌은 짚을 섞기도 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백회나 시멘트 등을 섞어 사용하지만 모든 이물질을 제거한 순수 황토만으로 황토벽돌을 제작했다.

전기 및 설비공사

벽체 공사가 완료되기 전 전선은 흙벽에 매립하여 전기 배선을 하고, 콘센트 및 전화, 유선 등은 바닥 배선을 하였다. 물을 많이 쓰는 화장실 및 다용도실은 방수를 위하여 흙벽돌 안쪽에 시멘트 벽돌을 쌓고 방수미장 후 타일로 마감하였다. 난방은 심야전기를 이용한 전기보일러를 설치했다.

내장공사

천정은 석고보드로 마감하였으며, 벽은 황토벽돌에 메쉬(망)를 치고, 벽 미장용 황토몰탈(황토분+향나무톱밥+무기바인다)로 마감하였다. 바닥엔 80㎜ 스티로폼을 단열재로 넣고 엑셀 난방 배관 후 콩자갈을 채운 뒤 약 4㎝ 바닥용 황토몰탈로 미장하였다. 벽지는 한지벽지를 사용하였으며, 방은 한지장판, 거실은 온돌용 마루를 마감했고, 등은 고급 원목등을 설치해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창호공사

외창은 우드샷시(5㎜그린유리), 내창은 조선살이 들어간 창살 목창 (창살을 가운데 두고 각 3㎜ 투명, 불투명 유리)으로 시공하여 단열과 멋을 동시에 이루었다. 문은 자체 제작한 창살문과 나왕 원목문을 사용하였으며, 현관문은 한옥 대문 형태로 자체 제작하였다.

외장공사

기초의 노출 콘크리트면은 인조석(강돌, 산성돌, 계곡돌) 등으로 마감하여 황토벽돌과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벽체는 별도의 미장을 하지 않고 황토 벽돌을 그대로 살려 방수 줄눈 (황토색) 처리만 했으며, 현관 바닥은 문경석으로 마감하여 단아함을 주었다.

기타

건축 설계에 따라 매립 또는 노출 형태의 벽난로로 겨울을 따뜻하게 보낼 수 있는 배려도 했다. 사우나용 찜질방도 실험성이 강한 것으로 한국적인 온돌방 형태의 찜질방으로 발전시켜가고 있다.田

■ 글·사진 류재청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옹기종기 황토집 4채 모여 있는 ‘솟대전원마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