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깊은 밤에 누군가가 손전등을 비추고 서 있는 모습, 이른 아침에 빨리 나오라고 보채며 발을 동동 구르는 모습……. 화장실이 욕실이라는 이름으로 집 안 깊숙이 들어오면서 이제는'그 때를 아십니까'라는 텔레비전 프로에나 나올 법한 광경이 됐다. 모름지기 주택에서 욕실은 주방/식당과 함께 눈에 띄게 발전한 곳이다. 최근에는 욕실에 목욕과 세면, 배설 등의 기능에다 휴식과 건강까지 더해지면서 생활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 삼기도 한다.

윤홍로 기자 도움말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www.rrdi.go.kr


우리는 욕실, 화장실, 변소, 세면장… 등 많은 용어를 사용한다. 실내 건축 설계 분야에서는 이것을 세분화하여 변기만 있으면 '변소', 세면대만 있으면 '세면실', 욕조만 있으면 '목욕실', 변기+세면대가 함께 있으면 '화장실' 그리고 욕조+세면대+변기가 함께 있으면 '욕실'로 구분한다. 이 모두는 가족의 건강과 위생을 위한 공간으로 무엇보다 깨끗한 환경이 필요하다.
욕실은 입욕과 세면, 배설이라는 생리 위생 공간이라는 기존 이미지에서 벗어나 이제는 쉬기도 하고 책과 신문도 보는 문화 생활 공간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기능은 욕실 설비와 분위기에서 유발되므로 욕실은 물이 많은 곳, 냄새나는 곳이라는 이미지를 없애야 한다.

욕실의 위치… 급·배수와 동선을 고려해야

욕실은 매우 사적인 공간이므로 침실에서 가까운 곳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급·배수와 동선 문제를 무시할 수 없다. 주택에서 욕실을 주로 주방/식당이나 현관 근처에 배치하는 이유이다.

규모가 큰 주택은 대부분 욕실을 2개 이상 마련한다. 가족 공용 욕실은 동선의 분기점이 되는 현관이나 계단 근처 혹은 거실 등 단란공간 가까이에 배치한다. 그리고 부부 침실에 딸린 부부 전용 욕실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노부모 방에 노인용 설비를 갖춘 욕실을 배치하는 추세다. 부부용 욕실은 연계성이 깊은 드레스룸이나 파우더룸을 통과한 자리에 배치하는데 샤워 부스와 월풀 욕조를 함께 설치하다 보니 가족 공용 욕실보다 면적이 훨씬 넓은 편이다.

대부분의 주택에서 욕실은 어둡거나 이용이 뜸한 공간 또는 다른 실을 배치하고 남은 공간에 자리한다. 전원주택에서 부부 침실에 딸린 욕실의 경우 낮에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밤이면 달빛과 별빛을 즐길 수 있는 공간에 배치하고 있다. 욕실 안에 자연을 끌어들인다. 이것은 전원주택이 아닌 고밀도 고층 아파트에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욕실 형태는 크게 통합(Bath Unit)형, 조합형, 분리형으로 나눈다. 전원주택에서는 욕조+세면대+변기가 한 공간에 함께 있는 바스 유닛형이 주류를 이룬다. 이것은 설비 문제와 내부 마감 처리, 이용상의 편리함 그리고 면적의 효율적인 활용 면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가족 구성원이 많은 주택에서는 불편함과 독립성 결여라는 문제점이 있다. 조합형은 3가지의 욕실 설비 중 변기+세면대, 혹은 욕조+세면대 등의 형태로 주로 부부 전용 욕실에서 많이 보인다. 분리형은 욕조, 변기, 세면대를 칸막이로 분리한 형태로 가족 구성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서로 다른 용도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욕실이 부른 서구식 건축 구조의 한국화

전원주택 건축 유형의 주류를 이루는 서구식 경량 목조주택의 한국화는 바로 욕실에서 비롯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는 서양에 비해 욕실에서 물을 많이 사용한다. 습관적으로 바닥에 물을 부어서 사용하므로 미국이나 유럽에서 들어온 경량 목조주택이나 스틸하우스의 설계 시공도 여기에 맞추어질 수밖에 없다.

그 대표적인 예로 욕실 바닥에 방수 처리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자 같은 층의 바닥보다 5㎝ 이상 낮추고 있다. 그래야만 욕실에서 사용하는 신발을 벗어놓는 공간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벽면의 경우 바닥에서 높이 1m 이하 부분에 대한 방수에 신경을 쓰고 있다.

방수층 확보를 위한 바닥 마감 두께의 확보를 위해서 바닥 장선의 두께를 낮출 경우 여기에 작용하는 하중을 검토하여 바닥 장선에 대한 보강 계획을 세워야만 한다. 특히 욕조를 설치할 경우 욕조에 물을 채우고 목욕할 때의 하중에도 대비해야 한다.

목조주택은 콘크리트 건물에 비해 물이 샐 경우 구조적인 안전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높기에 보다 철저한 방수 처리가 요구된다. 욕실 출입문의 문지방 높이, 문틀과 문의 재질, 재료의 내수성 등의 사항들도 하나하나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

목조주택은 구조부가 경량인 관계로 욕실에 대한 차음 성능 향상에도 신경 써야 한다. 이중 스터드(샛기둥) 또는 교차 스터드 방식의 적용이나, 차음 단열재 또는 차음재의 사용 등을 통해 그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욕실에서는 물의 사용이 많기에 하수구에서 악취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악취가 역류해 집 안에 퍼지면 주택 내부의 공기 오염 및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지붕에 배기구를 설치하고 하수관 및 오수관에 U트랩 및 2중 배수관을 설치하는 등의 대책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田


Tip. 전원주택 욕실 계획 어떻게 할 것인가

욕실의 기본 기능은 세면과 목욕이며 화장실은 배설이다. 우리나라 주택에서는 통상적으로 이 2가지 기능을 하나로 묶어 사용한다. 그러나 고급 주택이나 문화적인 차이가 있는 외국에서는 2가지 기능을 구분해서 적용하는데, 면적이 허락한다면 그것이 바람직하다.
현대의 욕실에서 무엇보다 요구되는 기능은 건강과 휴식으로 계획 단계에서 세밀하게 접근해야 한다. 예전의 일반적인 규격으로는 다양해진 위생 기구를 배치하기 어려우므로 각종 기구의 제원과 이용 특성을 파악한 후 적용해야 한다.
예전에는 자주 사용하기 편리한 샤워 중심의 목욕 방법으로 욕조를 잘 들이지 않다가, 웰빙 트렌드와 반신욕이 유행하면서 다시 욕조를 적용하는 추세다. 요즘에는 보다 고급화되어 물 분사로 마사지와 수水치료 효과를 내는 욕조와 가정용 사우나 시설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장시간 입욕을 위해 독서, 음료를 위한 보조 도구 또는 수납과 TV시청까지 할 수 있는 시설을 요구하기도 한다.
욕실과 화장실에 배치되는 위생 기구는 욕조, 샤워 부스, 가정용 사우나 도크, 세면대, 양변기, 비데, 욕실장, 방습거울과 각종 액세서리들이 있다. 욕실의 기능이 확대됐으나 설계자에게 부여되는 면적은 항상 부족하기 마련이다. 때문에 더욱 많은 고민을 통해 원활한 사용과 효율적인 배치를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욕실과 화장실은 물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같은 습식 공간인 다용도실, 기계실과 함께 모아주고 상하층간에도 일체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각종 배관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하자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며 수리에도 편리하다. 또한 바닥을 방바닥보다 낮게 하여 실내화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단 차이를 이용한 구조적인 방수 형태를 만들고 내구적인 방수 시공으로 물을 편하게 사용하는 우리의 주거 습관에 맞도록 계획해야 한다.

이재헌<㈜UNI 건설 대표이사>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Bath Room(1) 생활수준을 가늠하는 척도, 욕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