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오늘은 동창 모임, 모두 부러워하는 우리 집 거실로 초대했어요. 고급 카페 부럽지 않은 세련된 감각의 넓고 럭셔리한 거실, 한눈에 느껴지는 고급 마감재와 아름다운 센스가 적절히 가미된 인테리어들……. 우리 집 거실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마음 흐뭇해지는 품격이 있습니다."모 건설업체가 넓고 고급스럽게 디자인한 거실을 부각시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자 한 광고 문구다. 주거 내 다양한 공간들을 놓아둔 채 유독 거실에만 초점을 맞춘 까닭은 무엇일까. 가족 단위 전통 문화에서 비롯한 거실 위주의 주거 양식 때문이다. 가족 생활의 중심에 자리한 거실은 도시의 공동주택보다 자연 경관에 둘러싸인 전원주택에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글 윤홍로 기자





거실(Living Room)이란 말은 유럽 근대화 과정 즉, 영국에서 18세기 후반에 일어난 코티지(Cottage) 개량 운동에서 생겨났다. 성城과 영주 저택은 상류층 주거고 코티지는 원룸형 오두막으로 가난한 농민과 노동자의 주거였다. 당시 비위생적이고 사생활도 없는 코티지에 취침기능을 분리시키고자 홀(Hall) 또는 홀-키친(Hall-Kitchen)적 성격이 짙은 방 하나를 넣었는데 바로 거실이다. 현대로 오면서 복층 주택에서 거실은 1층에 가족 단란 공간인 가족실과 손님 접객 공간인 응접실로 나뉘어진다.

우리나라에선 1973년에서 1977년 사이에 마루 중심형 단독주택의 마루가 거실로 불렸다. 종전보다 마루가 한층 넓어지고 소파나 테이블 등 서구식 입식 가구가 놓이고 방열기 대신 방처럼 바닥을 난방한 게 특징이다. 그러나 당시 거실은 각 실을 연결하는 전통 가옥의 대청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거실을 마루와 마당의 기능이 복합된 내부화된 마당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전통 가옥의 대청이 현대 주택의 거실로

"대청마루를 보면 대개의 경우, 그 공간을 형성함에 사면四面이 벽체가 아니라 문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하나의 방이라기보다는 오히려'곳'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리빙룸은 … 하나의 완전한 방으로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 —이문보,《 住궀》8호,〈 住궀設計雜感〉1962 "사회 생활에 과중한 부담과 가족 구성 간에 아직도 잔존해 있는 봉건성 때문에 개방된 리빙룸 중심의 생활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 대부분 가족이 외출하고 주부 혼자서 지키는 광대한 리빙룸, 저녁 12시에서 아침 6시까지 이용하는 넓은 침실, 20분 내외 위복胃腹을 채우기 위하여 식사하는 식탁이 널려 있는 식당 등 그 얼마나 사치스러운 외래품인가?" —정인국,《 住궀》16호,〈 傳統的住궀걩〉1966 하나는 대청마루와 거실에 대한 차이를, 다른 하나는 봉건적 주거 사상으로 서구 생활 양식의 수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렇듯 대청이 서구식 거실로 변화하기까지 그 과정은 녹녹하지 않았다.

전통 가옥에서 공적 공간은 안방과 대청 및 사랑방과 누마루고 사적 공간은 부엌과 방이었다. 안방과 안채 대청에선 안손님을, 사랑방과 누마루에선 바깥손님을 접대했다. 겨울철엔 따듯한 구들방인 안방과 사랑방이, 여름철엔 시원한 대청과 누마루가 그 역할을 해냈다. 한편 안방은 안손님의 접객 공간 뿐만 아니라 주로 집안 식구만의 가족실이자 식당 그리고 안주인의 침실인 사적 공간이기도 했다.

전통 가옥의 안방과 대청 또 사랑방과 누마루 역할을 이어 받은 게 현대 거실이다.



개방감과 안정감을 동시에

거실은 각 실과 균등을 고려하여 배치해야 한다. 현관이나 식당 · 부엌에 가까우면서 햇빛이 잘 드는 전망 좋은 곳이 좋다. 거실이 주거의 중심이라 하여 한 가운데 배치하면 자칫 다른 실로 통하는 동선과 겹쳐져 안정감을 잃기 쉽다. 반면 폐쇄적인 거실은 안정감을 주지만 복도가 생기고 개방적 거실에 비해 가족 간 유대가 약하다.

따라서 거실 설계 시 개방감과 안정감을 함께 이끌어 내는 게 좋다. 또한 주택 전체의 규모와 가족 구성, 생활 방식, 가구의 종류 등을 고려해야 한다.

거실의 크기와 형태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기에 딱히 적정 치수를 규정하기 곤란하다. 대개 주택 면적이 100.0㎡(30.2평) 내외라면 약 20㎡(6.0평), 200.0㎡(60.5평)라면 0.0㎡(9.1평) 정도로 계획한다. 그러나 크기가 같은 거실이라도 전혀 다른 크기로 느껴지기도 한다. 일례로 규모가 작은 거실을 개방하여 식당과 연결하면 훨씬 넓고 시원해진다. 거실의 전체적 형태는 정방형보다 장방형이 공간 활용이나 가구 배치에 용이하다.

거실은 형태에 따라 독립형, 개방형, 복도형, DK 연계형으로 분류한다. 규모 면에서 보면 198.3㎡(60.0평) 이상인 주택은 독립형이 많고, 132.2(40.0평)∼198.3㎡ 주택은 독립형과 식당/주방 연계형이 혼재하고, 소형 주택은 식당/주방 연계형이 많이 나타난다.





<>

가족실(Family Room)

손님용 응접실이 없는 경우, 손님이 오더라도 다른 가족이 단란하게 모이는 곳이 가족실이다. 필요한 가구의 규모에 따라 가족실의 크기와 형태가 결정된다. 자녀가 어릴 경우 주부가 가사를 돌보면서 자녀와 함께 지내도록 부엌이나 부모방과 연결된 곳에 위치시키거나 식당을 넓혀서 사용하기도 한다. 자녀가 어느 정도 성장한 경우 자녀의 거실로도 사용되고, 오락실 성격이 강한 경우 지하실에 두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원주택의 공간 배치 특징은 1층 거실 외에 2층에 제2의 거실 또는 가족실 성격의 공간을 계획하는 것이다. 다른 나라에선 보기 드문 형식인데 2층에 위치한 가족실은 서양 주택처럼 독립 공간이라기보다 2층의 각 방을 연결하는 매개적 성격이 강하다. 미국은 대개 가족실을 2층보다 1층에 독립된 실 개념으로 구성한다. 거실을 가족실과 손님 접객을 위한 응접실로 분리하여 계획하기 때문이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SPECIAL EDITION 주택의 심장부 거실 설계 인테리어(1)] 가족 간 화목을 부르는 거실 - 햇빛잘드는전망좋은곳에배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