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간밤에 몸이 으슬으슬 춥고 찌뿌둥했는데, 뜨근뜨근한 별채 구들방에서 몸을 지졌더니 개운해졌어요. 우리 부부만 살기에 집(본채)을 작게 하고, 그 대신 가끔씩 찾아오는 자식들을 위해 옆에다 구들방 별채를 지었어요. 군불 한 번 때면 온기가 이삼 일 가요. 평상시에는 문을 걸어 잠그니 관리하기도 편하고요." 경남 밀양시 산외면 다죽리 산 중턱에 경량 목구조 148.8㎡(45.0평) 본채와 목구조 황토집(구들방) 26.5㎡(8.0평) 별채를 지은 편도영·전순옥 부부의 얘기다. 요즘은 황토집은 물론이고, 목조주택이나 스틸하우스·ALC주택 등에도 방 하나쯤은 구들을 놓는 추세다. 바로'가장 과학적이면서 참살이(웰빙)에 적합한 난방'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온돌 대신 구들이란 말을 쓰는 까닭은, 온돌은 우리 글이 없던 시절 식자층이 궁여지책으로 쓴 한자기 때문이다. 구들을 형성하는 아궁이 부뚜막 불목 고래 구들장 개자리 굴뚝 등이 모두 순수 우리말인 데서도 알 수 있다.



글·사진 윤홍로 기자






주강현은《우리 문화의 수수께끼》에서 구들을'우리 민족의 영원한 탯줄'이라고 표현했다.

"펄펄 끓는 아랫목에서 산모가 몸을 푸는 곳, 추운 겨울날 할아버지의 입을 통하여 아버지에게, 아버지의 입을 통하여 자식에게 대를 이어가면서 구전의 역사가 펼쳐졌던'씌어지지 아니한 역사'가 저술되던'구술 문화'의 현장 그리고 사람이 마지막 운명을 다할 때 자손들의 손을 마지막으로 쥐던 곳…그러한즉, 구들을'우리 민족의 영원한 탯자리'라 부를 수 있는 것이다." 땔감용 구들, 연탄 구들, 보일러와 전기를 쓰는 개량 구들을 거쳐서, 그 원리를 이용한 온돌 침대마저 등장할 정도로 전통의 지속성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게 바로 구들이다.

우리네 조상들은 한번 뜨거워지면 잘 식지 않는 돌의 특성을 이용하여 추운 겨울에는 장작불로 돌을 달구어 따뜻하게 지내고, 더운 여름에는 돌의 차가운 성질을 이용하여 시원하게 지냈다. 아궁이에 불을 때 구들장에 축열하여 장시간 방을 따듯하게 하고, 방이 식을 때쯤 취사하여 다시 구들장에 축열한 것이다. 불이 타는 동안만 따듯하지 불이 꺼지면 이내 열기가 사라지는 서양의 벽난로와는 전혀 다르다. 어디 그뿐인가. 달구어진 구들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은 인체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또한 바닥의 더운 공기는 대류하면서 먼지와 세균 등의 확산을 막아 알레르기 같은 피부 질환과 감기·천식 등 호흡기 질환을 줄인다.



세계가 놀란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난방법



구들은 최근 10년 사이 세계 각국으로 급속히 퍼져나갔다. 전통적으로 페치카(벽난로)나 라디에이터(방열기)를 이용한 대류 난방 방식을 사용하던 독일·스위스·덴마크 등 유럽 국가에서도 신축 주택의 절반 가까이 바닥 난방 즉, 구들을 채택한다. 심지어 미국 백화점 인기 상품 가운데 하나가 제너럴 일렉트릭사의 소형 전기 담요인'미니 온돌'이다. 프랑스 국립과학기술연구소에서는 구들이 라디에이터보다 약 20%의 에너지를 절약한다며 신축 주택에 구들 설치를 권장한다.

중국은 2001년부터 한반도가 통일됐을 때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토 분쟁을 방지하고자 동북공정東겗攻呈을 주장한다. 고조선·고구려·발해 등은 고대 중국의 동북 지방에 속한 지방 정권인데, 북한과 한국 학자들이 이러한 사실을 왜곡하고 혼란을 부추긴다는 것이다. 구들은 이들 3국이 엄연한 한국사의 실체고, 고구려나 발해는 만주와 한반도를 동시에 영토로 삼았던 국가들임을 입증한다. 즉 중국의 동북공정 주장에 쐐기를 박는 것이 구들이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올해 9월 3일부터 10월 2일까지 연해주 중북부 지역에 위치한 발해 유적 콕샤로프키-1(평지성)을 발굴 조사했다. 그 결과 출토 유물과 구들 구조가 전형적인 발해 것임은 물론 고구려의 전통을 강하게 반영했음을 밝혔다. 기원전 5000년쯤 신석기 유적에서 처음 그 모습을 보이는 구들은 고조선을 거쳐 서기 4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나온다. 한편 중국에서는 최근 따뜻하고 쾌적한 구들이 부의 상징으로 떠오르면서 신규 아파트의 20%가 구들 방식을 채택한다.'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말을 구들을 통해 실감하는 사례다.


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간다는 간단한 원리를 실생활에 응용한 것이 굴뚝이다.

굴뚝이 높으면 연기가 잘 빠져나가 불이 잘 들지만 무작정 높게 하는 것은 좋지 않다. 연기가 올라가다 식으면 역류하기 때문에, 오히려 연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버린다. 그래서 굴뚝의 모습은 지역마다 다르다. 굴뚝의 높낮이나 보온 처리 여부는 그 지역의 기후적 특성에 따라 정해진다. 바람이 세차게 불거나 너무 추운 곳에서는 굴뚝이 식는 것을 방지하려고 짚으로 싸서 보온했다. 바람이 세찬 곳이 아니라도 굴뚝이 건물에서멀리떨어지면보온이필요하다.

한편 날씨가 별로 춥지 않아 불이 잘 들지않아도 그런 대로 지낼 만한 곳에서는 굴뚝과 연기를 다른 용도로 이용했다. 외암리 영암군수 댁 사랑채와 곡성 군지촌 정사에는 안채에 굴뚝이 없다. 이곳에서 나온 연기는 곧장 위로 올라가지 않고 바닥에 깔린다. 굴뚝의 연기를 그대로 날려 버리지 않고 해충을 없애는 데 사용했다. 나무나 짚으로 불을 땠기에 그 연기 냄새가 향긋하고 해롭지 않았기 때문이다.



- 최성호《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 이야기》에서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중국 동북공정을 잠재우다 - 건축 한류를 달구는 구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