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고택을 찾아서

 

은행나무 아래서 학문을 닦다
맹씨행단孟氏杏壇

 

충남 아산시 배방면 중리에 위치한 맹씨행단孟氏杏壇(사적 제109호)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집으로, 조선 세종 때 청백리淸白吏로 유명한 고불 맹사성(1360∼1438)이 살았다. 행단은'은행나무가 있는 곳'이란 뜻으로,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고사를 따라 공자와 같이 은행나무 아래서 학문을 닦고자 하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맹사성은 고려 말 장군인 최영崔瑩의 손자사위로, 최영에게 맹씨행단을 물려받았다고 한다. 현재는 본채와 사당인 세덕사世德祠두 채만 있다. 1920년대만 해도 앞에 행랑채와 은행나무 가까이 사랑채가 있었다. 본채도 좌측 3칸과 우측 1칸이 더 튀어나와 지금처럼 완전한 H자 형태는 아니었다.

 

맹씨행단은 최영이 1330년에 지었다고 전하나, 당시는 그가 15세였기에 부친인 최원직이 지었을 것이다. 어쨌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집이다. 현재까지 큰 변화를 보면 1482년 좌향坐向이 손좌건향巽坐乾向(북서향)에서 정좌계향丁坐癸向(북북동)으로 바뀌고, 1642년 중수重修하고, 1759년 서남쪽 기둥을 교체하고, 1964년 앞부분의 부엌을 철거했다.
맹씨행단은 현재 완벽한 대칭 구조로 가운데에 대청을, 그 좌우에 3칸 구들방을 배치했다. 대청은 전면 2칸에 깊이가 칸 반이고 전퇴가 반 칸이다. 부엌을 철거했기에 원래 대칭 구조였는지 예단하기 어렵다. 최근 발굴 결과 헐린 앞 부분에서 적심이 안 나왔기에 후대에 늘렸을 것이다.

 

 

 

동물 배설물을 땐 초기 구들
맹씨행단이 당초 모습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 모습으로 바뀌었는지 주목할 만하다. 건물 자체는 특이한 형태 외에는 눈여겨볼 만한 부분이 없다. 그러나 이 집 하나에 우리나라 건축사가 고스란히 담겼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바로 구들 도입에 따른 생활 양식(입식에서 좌식으로 바뀜)과 집의 구조 변화다.
조선 초기만 해도 구들이 보편화하지 않았다. 사대부가士大夫家대부분은 구들을 설치하지 않았다. 세종 때 재상들에게 방전(네모 반듯한 벽돌)을 나눠줬다는 기록이 바로 그 증거다. 맹씨행단도 1482년 좌향을 바꾸면서 구들을 설치했을 것이다. 구들은 부넘기가 없는 초기 형태다. 부넘기가 있다면 방바닥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부넘기가 없기에 아궁이에서 방바닥까지 그 높이가 다른 집보다 낮다.
부넘기를 설치하지 않은 것에 대해 정연상은"옛날에는 난방재로 동물의 배설물을 말려 사용했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한다. 부넘기와 개자리는 불을 넓게 들이고 재를 정리하기 위한 시설이다. 즉 동물의 배설물을 사용한 초기 구들은 부넘기와 개자리가 필요 없다는 것이다.

 

 

한옥 변천사를 한눈에
맹씨행단 여러 곳에서 옛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이 종도리를 받치는 소슬합장과 복화반이다. 소슬합장은 조선 초기까지 사용하다 곧 사라진 구조다. 복화반 역시 조선 초기 후에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들보에서 종보를 받치는 동자주에 장혀를 받치고자 설치한 첨차도 조선 후기에는 드물다.
또한 여러 곳에서 우리가 아는 한옥 구조와 다른 점이 보인다. 머름과 문은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특별한 모습이다. 대청 전면에 문짝을 칸마다 셋으로 나누어 달았다. 무늬도 조선 후기에 일반적인 세살이 아닌 넉살이다. 문의 머름도 상하로 설치했는데, 고려시대에 지은 부석사 무량수전과 수덕사 대웅전의 것과 같은 형태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서면서 머름은 하부에만 설치했다. 머름동자도 문설주를 내려 설치했다. 대청 전면 6개의 문짝은 좌측 칸 3짝 중 가운데만 여닫이고, 나머지 5짝은 들어열개다. 마루를 깔기 전 설치한 문짝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다음으로 눈여겨볼 곳이 기둥에 설치한 익공과 비슷하게 만든 화공花拱이다. 조선시대에는 신분에 따라 집 치장을 제한했기에 민가는 대부분 민도리집다. 민가에 화공을 설치한 예는 왕실 집안 외에는 없다.

 

 

"대소 신민의 가옥이 정한 제도가 없어, 이로 말미암아 서민의 가옥은 참람하게도 공경公卿에 비기고 공경의 주택은 참람히 궁궐과도 같아서, 서로 다투어 사치와 화미華美를 숭상하여, 상하가 그 등위等位가 없으니 실로 온당하지 않은 일이다. 이제부터 친아들 친형제와 공주는 50칸으로 하고, 대군은 이에 10칸을 더하며, 2품 이상은 40칸, 3품 이하는 30칸으로 하고, 서민은 10칸을 넘지 못할지며, 주춧돌을 제외하고는 숙석熟石을 쓰지 말 것이다. 또한 화공과 진채眞彩·단청丹靑을 쓰지 말고 되도록 검소·간략한 기풍을 숭상하되, 사당祠堂이나, 부모가 물려준 가옥이나, 사들인 가옥, 외방에 세운 가옥은 이 제한을 받지 않는다."-조선왕조실록 세종 13년 1월 12일/조선왕조실록사이트.

 

이러한 세종의 하교로, 조선시대에는 집을 모두 검박하게 지었다. 당시 색도 사용하지 못하고 포작으로 치장도 못했기에 화려하게 장식한 집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맹씨행단에는 두공 장식이 있다. 장식이 익공집과 닮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조금 다르다. 익공은 주두를 감싸고 올라가 주두가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지만, 맹씨행단의 기둥 장식은 주두를 익공처럼 완전히 감싸지 않았다. 전면의 쇠서는 주두 하부에서 튀어나왔지만 후면부는 익공처럼 주두를 감싸며 보를 받치고 있어 익공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맹씨행단에서는 시야가 넓게 펼쳐진다. 당시 생각하기 힘든 북향집이지만 전망은 시원스럽기 그지없다. 집터는 이 집을 지은 사람의 기풍을 느끼게 한다. 이런 곳에서 자란 사람이라면 매우 편안하고 포용력도 많았을 것이다. 맹사성을 처음 보는 사람은 그를 정승이라곤 생각지 않았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꾸밈이 없는 데다 편안한 인품을 가졌기 때문이다. 환경이 사람을 만든다는 말이 전혀 틀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사는 환경은 어떠한가, 그곳에서 태어나 자란 우리 후손의 심성은 어떠할까.田 글 최성호 사진 윤홍로 기자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맹씨행단孟氏杏壇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