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은퇴 후 주거계획 보고서'를 통해 100세 시대를 맞아 60세에 은퇴하면 40년 동안 살게 될 주택 문제에 대해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며 'ABC 원칙'을 제시했다.
먼저 '자신의 집에서 보내는 노후(Aging in place)를 생각하라'는 것이다. 고령자들이 자신의 집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꾸려가며 삶의 질을 유지하는 주거 형태를 가지라는 것으로, 반대되는 개념이 노인요양시설이다. 또한 60대 가구주의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85.6%로, 부동산 자산 편중 현상이 심각한 상태라고 밝히면서 부동산과 금융 자산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주택 과소비(Housing over-consumption) 여부 판단도 중요하다며 네덜란드의 사례를 들며 가구원 수보다 방이 1개 많은 형태가 적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일반 가정은 부모와 1∼2명의 자녀로 이뤄진 '보통'에 해당하다가도, 자식들이 성장해서 집을 떠나면 주택 '과소비'가 된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높은 부동산 자산 비중과 주택 과소비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불안정한 부동산보다는 매달 현금소득이 생기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마디로 '부동산의 연금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사회적 고립을 피할 지역(커뮤니티)를 찾으라'고 소개했다. 전원주택을 마련할 시에는 몸이 불편할 때를 대비해 대중교통과 의료 혜택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은퇴 후 주거계획 수립 시 고려할 10가지 팁도 제시했다.
▲주택 과소비를 피하라 : 전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을 적정 수준으로 낮추고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가구원 수와 방 수 비교 등을 통해 적정 크기의 주택을 소유해야 한다. ▲은퇴까지 남은 기간과 자녀독립 시기를 감안해 주택 소비 수준을 조정하라 : 자녀 독립 후 은퇴한다면 별 문제가 없으나 자녀 독립보다 은퇴가 빠른 경우 주택 소비 수준을 적정하게 조정해야 한다. ▲주택 소비 수준을 낮추려면 크기를 줄이거나 집값이 싼 지역으로 이사하라 : 집값이 싼 지역으로 이사할 때는 교육 여건, 생활환경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하고, 자녀 교육때문에 거주 지역을 옮기기 어렵다면, 주택 크기를 줄여야 한다. ▲현재까지 준비된 평생 소득(Lifelong income, 은퇴 자산)을 계산하라 :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을 합친 은퇴 자산이 얼마인지 계산해 볼 필요가 있다. ▲부족한 평생 소득 보충 방법을 찾아라 : 주택 다운사이징을 한 다음 일시납 즉시연금에 가입하거나 주택연금 가입 등의 방법으로 은퇴 자산을 보충해야 한다. ▲부부가 함께 희망하는 은퇴 후 주거 형태를 선택하라 : 은퇴 후 주거 형태로는 도심 아파트, 전원주택, 실버타운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부부가 함께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따져 자신들에게 맞는 형태를 선택해야 한다. ▲자신의 집에서 보내는 노후에 적합한 주거 형태를 택하라 : 오랫동안 자신의 집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하고 싶다면 어떤 주거 형태가 적합할지 고려가 필요하다. 70세 이후에는 전원주택을 유지, 관리하는 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과 실버타운의 편의시설이 큰 장점이 된다는 점 등을 감안해야 한다. ▲자신의 집에서 보내는 노후를 위해 필요한 준비를 갖춰라 : 도심 아파트에서 노후를 보내더라도, 낙상 방지 시설 등 고령자가 자신의 집에서 안전하게 생활하는데 필요한 준비를 미리 갖춰야 한다. ▲은퇴 후 사회적 고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지역(커뮤니티)을 찾아라 : 은퇴 후 사회적 고립의 위험이 커짐에 따라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춘 지역(커뮤니티)을 찾아야 사회적 고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거주할 지역에서 주변과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살기위한 준비를 갖춰라 : 은퇴 전후에 취미 활동, 봉사 활동, 종교 활동 등을 통해 인적 네트워크를 미리 구축해야 한다.

 

 

 

 

 

 

 

정리 홍정기 기자 자료협조 삼성생명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은퇴 후 주거계획 ABC 원칙 - 주택 과소비를 피하라 등 주거 계획 ‘팁’ 10가지 제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