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경기도포천지장산자락어처구니숲학교는예술가들의손에단장되는중이다". 예술가들이숲에 휴식처를 제작하며 예술문화를 기반으로 한 숲 치유 프로그램을 기획해, 질병으로 고통 받는 이웃과 숲학교를 일구고 있는 홍순각·서광자 부부에게 지속적인 활생문화공명을 기대합니다."어처구니 숲학교 프로젝트를 기획한 문화살롱 공 박이창식 대표의 설명에 따라 예술가들의 온기가 번져 더욱 정겨운 언덕으로 올랐다.


박지혜 기자 사진 백희정 기자 취재협조 문화살롱 공 070-7642-9876 cafe.naver.com/spacegong
어처구니 숲학교 010-9335-5595 cafe.naver.com/eocheoguni

 

 

인적 뜸한 경기도 포천시 지장산자락, 숲속에 조각가 설치예술가 들이 뚝딱대며 뭔가 만드는 데 열심이다. 언덕 위 나무 기둥을 세워 철망을 설치한 닭장이 한창 설치되고 있으며 또 저쪽에는 생태화장실이 세워지는 중이다. 그 위쪽으로는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하며 걷는 산책길이 생겨나고 있다.
이곳은 홍순각·서광자 부부가 운영하는'어처구니 숲학교'부지. 네 명의 작가가 숲학교에 필요한 시설물을 만드는 중이다.
"예술가들은 그들만의 특별한 안테나가 있는 모양이에요. 나는 대수롭지 않게보던곳이었는데,' 느낌좋다'며'여기에뭘만들고저기에뭘만들고'하는 거예요. 시설이 부족해 프로그램 진행이 불편했는데 이렇게 도와주시니 감사하죠."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문화바우처 사업
숲학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문화살롱 공'박이창식 대표는"경기문화재단 후원을 받아 문화바우처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중입니다"라 설명한 다. 덧붙여"문화바우처는 문화상품권이나 공연을 보는 등 일회성으로 끝나는데 그것보다 당사자들의 삶 속에 파고드는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문화바우처 사업을 해보자는 생각에서 시작했어요"라고 설명한다.

문화바우처란 기초생활수급자 등 경제적 어려움으로 문화예술 활동 참여에 제약 받는 국민들에게 공연 전시 영화 도서 등 문화예술 프로그램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2005년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예술가들은 숲학교 사업을 진행하는 동안 수시로 이곳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프로젝트를 논의하고 있다. 시설물을 완성한 후에도 숲학교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란다.
예술가들이 작업하는 모습을 지켜보던 홍순각 씨는"아마 과거의 나 같으면 이곳을 굴삭기로 싹 밀어 콘크리트 박스를 올려 편리하게 만들었을지 모르죠. 그러나 숲에 살다 보니 무위無爲라는 것이 뭔지 서서히 알게 됐어요"라 말한다. 콘크리트 박스로 채워진 숲이었다면 백혈병을 앓던 아들의 치료는 어땠을지 생각게 한다.
홍 씨는'숲의 위력'에 대해 다시금 말한다.
"프로그램을 마쳤는데도 아이들은 집에 안 가려고 울기도 해요. 그렇게 2시간 떼를 쓴 적도 있어요. 어른 눈에는 잘 보이지 않는 것들이 아이들에게는 훌륭한 장난감으로, 숲에 풀어 놓으면 아주잘 놀아요. 그 과정에서 숲 자체가 아이들에게 힘을 주는 걸 보면 새삼 놀라기도 해요."그는 땅에 떨어진 낙엽을 주우며 낙엽이 부스러져 섞인 부엽토는 항암 작용을 한다고도 알려준다.

 

  

예술가들이 꾸미는 생태 공간
마을을 발아래 두고 동남향으로 터져 있는 숲학교 부지는 속세와 단절된 곳이란 느낌을 준다. 그만큼 자연 그 자체다. 언덕을 오르다 보면 나비처럼 생긴 나비나물, 멍개잎, 개암나무, 생강나무, 취나물꽃, 표고버섯, 노란 양지꽃, 보라 엉겅퀴가 보인다. 태평농법으로 가꾼 텃밭도 있다. 갈지 않는다, 농약 안 친다, 풀 안 뽑는다. 이 3무無를 지켜 키운 텃밭 작물들은 홍 씨 가족에게 돌아오는게 거의 없다. 벌레가 파먹기도 하고 고슴도치, 멧돼지, 고라니 등 산짐승이 먹어치우기 일쑤다.
이런 생태적인 곳에 어울리는 것은 콘크리트보다 나무로 된 시설물이다. 그래서 작가들은 거의 모든 재료를 이
곳에서난나무로쓰고직접재단, 가공해사용하고있다.
제일먼저만나는작품은닭장이다." 아이들은어른과 달리 동물을 무서워하지 않고 아주 좋아하기에 이곳에 어울리는 닭장을 생각했습니다."생태적이며 생명주의적 작업을 실천하는 조각가 정기현 씨는 스스로 닭을 사육한 경험을 살려 닭장을 만들고, 직접 부화시킨 토종 병아리 10여 마리를 이주시킬 예정이다.
닭장 조금 위에는 하정수 씨가 생태 화장실 2개를 만드는 중이다. 3주에 걸쳐 진행하고 있다. 그는 아이들이 와도 사용할 화장실이 부족해 보여 생태화장실을 생각해 냈다. 무엇보다 화장실에서 난 배설물을 태평농법으로 짓고 있는 텃밭에 훌륭한 자양분으로 거듭날 것도 고려했다.

 


기존 있는 것을 다듬는 일이지만 어찌 보면 가장 큰 규모의 작업을 맡은 이종균 씨. 수백 미터 길이의 오솔길을 새로 내고 있다. 이름 하여 생태탐방로." 이미만들어진넓은길은다니기편하지만좀지루해요. 그래서 자연과 함께해서 마음이 절로 즐거워지고 간간이 쉬어갈 수 있는 길을 만들고 있어요."눈을 찌르거나 발을 거는 나뭇가지를 치우고 흙바닥을 정리해 편하게 다니도록 하고 가파른 경사는 돌을 괴어 계단을 만든다. 걸터앉을 수 있는 넓적 바위로 이어지는 길도 내고 길이 끊어지는 좁은 계곡 위로는 단단한 물푸레나무 가지를 엮어 다리도 만들었다. 주변과 어우러진 오솔길은 마치 세월에 따라 만들어진 듯 자연스럽다. 이종균 작가 는 길 혹은 이동이라는 모티브로 예술작업을 쭉 해 왔는데 그런 그에게안성맞춤인 작업이다.


"일주일간 만들고 있어요. 한 400미터 될까요? 물리적으로 아래쪽 닭장과 생태화장실 그리고 위쪽 캠프장까지 쭉 이어주고, 추상적으로 각 작품들과 작가들을 연결하는 비유적 장치이기도 해요."
또한 조각가 나규환 씨는 자신의 작업장에서 난로를 제작 중이고 강지수 씨는 마임을, 황보림 씨는 숲 명상 프로그램을 기획 중이다. 이들 덕분에 어처구니 숲학교는 날로 풍요로워지고 있다.

 

 

 

문화살롱 공 박이창식 대표는 사라지는 옛것에 대한 백서 만드는 일도꾸준히 진행한다. 3년째 경기북부 수몰지역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금은 숲학교 인근 중리 수몰지역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수몰돼 사라지는 운명에 처한 50년 된 근대 가옥 도롱이집을 사진작품 등 기록으로 남기고 해체 후 복원하는 프로젝트다. 복원한 도롱이집은 26가구가 살게 되는 이주 지역 커뮤니티 센터로 활용, 수몰지 관련 전시장으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교동 장독대마을 사례처럼 전통문화 계승과 마을 기업을 만드는 등 마을 활력과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사업도 한다. 하루하루 생활에 급급한 이들에게 문화예술은 사치라고들 한다. 그처럼 문화예술은 일상과 동떨어진 특별한 것으로 간주하는 이가 많다. 먼발치에서 보며 감상에 젖는 예술작품이 아닌 생활 속에 문화예술을 퍼트리는, 그들의 재능을 마을 깊숙이에서 나누는, 이들예술가들이 세상에 주는 울림이 크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異色田園 치유와 나눔의 숲 가꾸는 - 어처구니 숲학교와 예술가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