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나는 어렸을 때 한옥에 살았다. 볼품없는 ㄱ자 한옥이었다. 아주 어렸을 때이지만 그 작은 한옥의 추억은지금도 생생하다. 1970년대 초 한옥에 살았던 기억을 회상하는 것은 마치 연어가 본능적으로 자기가 태어난 곳으로 거슬러 올라가듯이 자연스럽다. 그만큼 유년기의 주거공간은 그당시뿐 아니라 일생에 두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
손바닥만한 마당을 중심으로 칸칸이 ㄱ자로 배치된 어릴 적한옥은 전형적인 서민 주택이었을 것이다. 거칠면서 푸근한나무 구조에 흙으로 마감된 벽, 햇빛이 부드럽게 번지는 한지를 붙인 창호, 머리에는 검은 기와를 인… 그런 한옥이었다. 2남 2녀의 막내로 태어난 나에게 몇 칸 되지 않는 그 한옥은 특별한 놀이 공간이 되었다. 지면에서 붕 떠 있어 내게높기만 했던 대청마루는 불편하다기보다 뛰어오르고 뛰어내리는 놀이의 공간이 되었고, 마루 아래는 식구들의 신발이나물건을 숨기거나 무료할 때 그 속을 괜스레 들여다보는 상상의 힘을 주는 공간이었다. 해초를 가미한 회반죽으로 아버지가 정성껏 지붕을 보수하던 걸 지켜보던 기억도 생생하다.
한옥에선 많은 일이 벌어졌다.
지금 생각하면 해외에 나가 며칠 지나면 자연스럽게 생각나는 구수한 된장국 같은 어릴 적 한옥에 대한 기억이지만 그 당시에 우리 4남매는 하나같이 미끈한 양옥을 우러러봤다. 한창새마을운동이 일어 집을 시멘트벽돌로 짓던 무렵 우리도 그바라고바라던양옥으로둥지를옮겼다.
집은 우리 가족을 따라다니며 우여곡절을 겪게 했는데 좋은집에서 잘살아 보겠다는 가족사가 건축가로 살아가는 나에게 일종의 건축학 개론이 되지 않았나 싶다.

 

 

우리 목조건축의 비전은?
현재보다 더 나은 주거공간을 바라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은 불변의 법칙과도 같다. 요즘 중산층 사이에 불고있는 듀플렉스(일명 땅콩집) 열풍을 봐도 그렇다. 아파트에싫증을 느끼고 단독주택에 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경제적가격으로 마련할 수 있는 듀플렉스를 선택한다.
최근 갑작스럽게 늘고 있는 듀플렉스는 대체로 경골 목구조방식으로 짓는다. 경골 목구조는 짧은 기간에 건축주가 원하는 구조와 인테리어까지 마무리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장점인데 여러 장점에도 경골 목구조에 익숙지 않은 건축주의 입장에서는 목구조가 결정의 주요 변수가 되기도 한다.
건축 설계를 하는 나 역시 마찬가지다. 목구조의 장점 앞에서 망설이는 실수요자들만큼이나 목조주택 설계는 내게 아쉬움을 준다. 그런 연유로 7월 10일부터 19일까지 참가한 목조주택의 나라 캐나다 답사(캐나다우드 주최)는 목조건축물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장기적인 가능성과 비전을 갖게 된 좋은 기회였다. 특히'목조주택 시장의 현재'라는 화두를 품은 나에게 자연스럽게 한국과캐나다 주택을 비교하는 재미도 쏠쏠했다.
크고 곧은 나무가 제대로 없는 한국과 대조적으로 하늘을 찌를 듯 쭉쭉뻗은 침엽수림이 창궐한 나무의 나라 캐나다의 목조건축은 태생적으로느낌이 다르다. 캐나다는 우리나라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대량생산되는 목재의 적절한 사용이 나라 경제에 도움을 준다. 캐나다에서는 콘크리트 건물에 비해 20%나 저렴하게 지을 수 있는 게 목조 건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꿈도 못 꾸는 중층 목조 건물을 곳곳에서 쉽게접할 수 있으며 공공건물에는 목재를 반드시 적용하도록 하는 연방정부의 방침에 따라 어느 건물이나 목재 사용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주로 저층, 주거용에 적용하는 우리나라 경골 목구조 시장과 훨씬 다양하고 풍부한 요소를 지닌 캐나다 시장을 서로 비교하면 상당히 재밌다.
워낙 목재에 대한 다양성이 많은 터라 캐나다의 목조 건물은 다양함을넘어 우리 눈에는 기괴하기까지 한 것들도 즐비하다. 그에 비하면 국내목조주택은 정돈되고 제한된 느낌을 주는데 캐나다의 다양한 목조 건물을 참고삼아 국내 목조주택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만하다.

 

캐나다에서 발견한 목재의 새로운 면모
캐나다 건축물에서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는 공학목재의 사용이 인상적이었다. 공학목재 글루램*과 패럴램*은 구조재이자 장식적 효과를노린다.' 끝없이크고, 강하면서아름답게…'큰구조물이라면당연히한 자리 차지하고 있는 글루램에 대한 느낌이다.
목재를 조립해 구조체를 제작하는 목구조 공장 Structure Craft사에서본 글루램의 다양한 생산 및 조립은 참신했다. 공학목재를 직접 제작현장에서 보니 목재 사용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실감하기에 충분했다. 작은 나무 조각들이 모여 큰 나무가 되는 것, 그래서 친환경적이라고 주장하는 캐나다의 공학목재, 이것은'콜럼버스의 달걀'과도 같은것이 아닐지.
우리나라는 목재 가격이 캐나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로 상용하지는 않지만 구조와 미적 관계를 함께 풀어줄 재료 하나쯤 찾아본다면 바로 글루램이 답이라고 생각한다. 100미터 이상의 긴 경간을 자랑하는리치몬드 올림픽 경기장 천장에 적용한 글루램을 보면 그 규모감에 입이 떡 벌어지고 그 장쾌하면서 아름다운 곡선에 군침이 돈다.
우리나라 경골 목조주택은 목구조재를 외피로 가려 목조주택인지 아닌지 분간이 안 된다. 그런데 경골 목조주택에도 다양한 형태의 목재를가미해'목재를 어디까지 표현하고 어디까지 숨길 것인지'를 한번쯤고민할 필요도 있겠다. 가령 대공간을 연출하기 위한 장스팬에 글루램을 적용하는 것은 구조 공학적 요구에 따른 것이기도 하거니와 공간 사용자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자연친화적 느낌을 전달하는 요소로 작용할수있다.
시멘트벽에서 일깨워진 유년시절의 추억은 없지만 한옥의 나무 기둥과보에서 자라난 추억은 성인이 된 지금도 계속 자라나고 재생산된다. 건물의 구조가 된 나무는 단순히 구조에 그치지 않고 생활의 일부가 되고기억의 일부가 된다. 그 특유의 따듯함은 우리의 세포 속으로 들어와따듯한 성품을 품게 한다.
목구조 듀플렉스 신축을 앞두고 목조건축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생각을 갖게 한 이번 캐나다 답사는 의미가 크다. 나무와 목조건축을 마음껏 보고 느끼게 해준'캐나다우드'에《월간 전원주택라이프》지면을 빌어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한다.田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건축가의 시선 ① 목조건축의 변주를 확인하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