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부터 10월까지 세계 정원인들을 대상으로 열리는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의 실내 정원 공모전에'정원일의즐거움'이란 작품으로 당선돼 화제를 모은 오랑쥬리 주례민정원사. 최근 그가 일반인을 위한 정원스쿨을 열었다. "정원이 있거나 만들 계획이 있는 이들이 정원계획이나 관리를 어떻게 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고 교육 과정을 신설하게 됐다"는그는 "전문가가 되려는 이들을 교육할 때와는 다른 재미와 감동이 있다"고 말했다. "기회가 주어지면 아이들을 위한 정원교육을 하고 싶다"는 주례민정원사를 분당에 있는 그의 사무실에서 만나 어떻게 하면 정원일이 즐거울 수 있는 지 물었다.
글 홍정기 기자 사진 최영희 기자 취재협조 오랑쥬리 031-8017-3850 www.orangery.co.kr
Q. 얼마 전 일반인을 상대로 정원 스쿨을 열었는데 그 이유와 교육생들의 반응이 궁금하다.
A. 회사를 시작했을 때는 정원 디자인과 시공을 주 업무로 했는데 일을 하다 보니 지식이 부족해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이들을 모아 사무실에서 간단한 정원 관리 방법을 알려준 게 교육의 시작이었다. 그러다 플로리스트 등을 위한 전문가 반을 개설했고 차츰 소문이 나면서 일반인들의 교육 문의가 늘어나 6월에 취미반을 열었다. 기대한 것보다 반응이 좋고 전문가가 되려는 이들을 교육할 때와는 다른 재미와 감동이 있다.
Q. 정원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가꿔야 하는지 어려워하는 사람이 많다.
일반인이 쉽게 접근할 방법이 있으면 알려 달라.
A. 정원을 만드는 이들 대부분은 일단 잔디부터 깔고 본다. 푸르기도 하고 시공이 어렵지 않아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는데 잔디 관리는 결코 쉬운 게 아니다. 수시로 잡초를 제거하고 파손된 부분을 손봐야 한다. 1, 2년 정원을 가꾸다 포기하는 십중팔구의 원인은 무성하게 자라는 잔디때문이다. 돌아서면 자라는 잔디로 정원 전체를 콘크리트로 덮어 버리는 사례도 봤다. 따라서 경험이 부족해 관리에 자신이 없다면 잔디 면적을 줄이는 대신 손이 덜 가는 마사토를 깔고 가끔 물을 줘도 잘 자라는 식물을 심는 게 좋다.
Q. 정원을 만들어야겠다는 계획이 서면 무엇부터 해야 할까.
A. 원예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도 자신이 선호하는 식물이 있기 마련이다. 정원을 만들기 전에 본인 취향을 고려해 직접 디자인해 보는 게 정말 큰 도움이 된다. 내가 원하는 정원이 어떤 모습인지, 어떤 식물을 심을지 대충이라도 그려보기를 권하고 싶다. 무엇보다 내가 정원에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명확히 하는 게 정원 만들기의 시작이다.
Q. 많은 이들이 비용면에서 부담을 느낀다. 적은 비용으로 아름다운 정원을 꾸밀 수는 없을까?
A. 상담하면서 늘 안타깝게 생각하는 게 많은 사람이 소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 보기에 좋은 고가의 나무를 선호한다는 점이다. 이런 나무들은 자체가 비싸기도 하고 운반비, 인건비도 만만치 않아 많은 돈이 들 수 밖에 없다. 비용 부담이 크지 않은 초화류가 나무를 기르는 것보다 더 큰 정원 일의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여러 가지 식물이 어우러져 꽃이 피고 지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감동을 받는다. 그리고 본인이 직접 공사에 참여하면 부대비용을 줄이고 정원에 애착을 갖게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는다.
Q. 정원 디자인도 유행이 있다고 하는데 요즘 추세는 어떤가.
A. 최근 트렌드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자연스러움이다. 마사토나 다년생초화류, 계절감이 있는 억새 수크령 사초류 등을 심는 드라이 가든이나 그라스 가든이 유행하는데 정형화되지 않고 화려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느낌을 강조하는 디자인이 인기다. 그리고 예전에는 예쁜 꽃과 멋진 나무를 보는 것에 만족했다면 지금은 그 속에서 어떤 행동이 일어나길 원한다. 텃밭을 조성해 작물을 재배하고 작은 사육장을 둬 병아리나 토끼 등을 키우는 사례가 늘었다.
Q. 잠깐 언급했는데 근래 텃밭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A. 도시에 살다 보면 먹을거리에 대한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다. 본인이 직접 텃밭을 가꾸면서 먹을거리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너무 여기에 치중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텃밭을 정원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다른 것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게 좋겠다.
Q. 한편 힐링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정원에도 힐링 바람이 불고 있는데.
A. 정원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근본적인 이로움이 바로 힐링이다. 초록의 나무와 꽃을 보고 만지면 심신이 안정되는 효과가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이야기돼 왔다. 일주일에 한 번 교육장을 찾는 한 직장인은 흙을 만지는 순간 회사에서 받았던 스트레스가 없어진다고 한다. 그에게는 흙을 만지는 것 자체가 힐링이다.
Q. 실내 정원에 관한 관심은 어떤가. 문의가 많나.
A. 십 년 전만 하더라도 실내 정원이라고 하면 소나무 등을 활용한 분재가 전부였지만 지금은 아파트나 상업용 혹은 공공 건축물에서 작게나마 꽃을 키우고 채소를 재배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환경을 지닌 곳에서는 벽면 녹화도 각광 받는다. 실내 정원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본다.
Q. 실내 정원에 어울리는 식물은 따로 있을 것 같다. 얼마 전에는 공기정화식물이 큰 인기를 끌었는데 각 주거 공간에 어울리는 식물을 추천해 달라.
A. 밖에서 보는 다년생 식물을 실내에서 키우기는 어렵지만 공기정화 효과가 있는 식물이나 잎을 볼 수 있는 관엽식물은 충분히 기를 수 있다.
공간별로 추천하자면 음식 냄새 등이 많은 주방에는 스파티필룸이나 스킨답서스가, 조도가 약하고 습기가 많은 욕실에는 수경재배한 스킨답서스나 냄새 흡수에 효과적인 관음죽이, 먼지가 날릴 우려가 있는 도로변 창가에는 잎이 넓고 생육이 활발한 필로덴드론 스킨답서스 알로카시아가, 해가 부족한 침실이나 공부방은 산세베리아 등의 다육식물이 좋다.
Q. 인기에 힘입어 이동식 박스 정원 등 다양한 형태의 실내 정원이 등장했는데 주택에는 어떤 것이 어울린다고 생각하나.
A. 개인적으로 큰 플랜트를 이용해 만든 박스 형태의 정원은 추천하지 않는다. 물 관리가 어려워 물이 차기 쉬운데 이로 인해 식물 하나가 고사하게 되면 전체로 퍼져 플랜트 안 모든 식물이 죽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서는 각각의 화분에 식물을 심고 모아심기를 하고 싶다면 특성이 비슷한 것들을 큰 화분에 같이 기르는 게 좋다.
Q. 영국에서 정원 공부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 영국과 우리나라의 정원문화에 차이가 있다면.
A. 가장 큰 차이는 역사다. 영국인들은 평소 설거지를 하고 세제를 사듯 꽃과 화분을 산다. 오랜 시간 일상에 묻어 왔기에 관련 산업도 발달했다.
이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아직 초보 단계가 아닌가 한다. 이제 사람들이 조금씩 정원에 관심을 갖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Q. 끝으로 향후 계획이 있다면.
A.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아이들을 상대로 정원 교육을 하고 싶은 마음이 오래전부터 있었다. 어렸을 때부터 정원을 접하면 성장하면서 정서 안정에 도움이 되고 자연스레 정원 문화도 발달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