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풍수지리

옛날에는 배가 재물과 사람을 운반했기 때문에 배에는 사람과 재화가 모인다고 하여 배모양의 땅에 묘를 쓰거나 집을 지으면 동네는 물론 집안이 번창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옛날에는 강을 낀 마을이 크게 발전하였고 삼랑진, 청주, 공주, 제물포, 마포, 강화도 등 진, 주, 포, 도의 지명를 가진 마을이 크게 번창했음을 알 수 있다.

행주형(行舟形)은 행운의 터

배형(행주형)은 개인의 집터뿐만이 아니라 읍이나 도읍지와도 관련이 깊은데 경주, 부여, 평양은 모두 이 같은 형국이라고 믿고 있다. '진, 주, 포, 도'자가 지명의 끝에 붙은 고을 이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런 행주형(行舟形)의 집터는 행운을 불러오는 길지(吉地)로 여긴다. 그러나 조리형이나 삼태기형국은 차면 쏟아버리는 격이므로 돈을 벌면 이사해야 하듯이 행주형은 배의 성질상 항해를 요하기 때문에 떠나는 배를 잡아두려 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배에는 많은 것을 싣는다. 어전에는 잡은 고기를, 상선에는 팔 물건을, 화선에는 온갖 잡화를 가득 싣는다. 따라서 항해하는 배는 부귀영화를 나타낸다. 그러나 배는 물에 떠 다니는 까닭에 언제나 위험이 뒤따른다. 예로부터 행주형 길지의 안전을 위해 어려가지 금기를 시키고 특별한 시설을 해 두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전북 고창군 흥덕읍에서는 뒤산이 배의 형국이므로 무거운 짐을 많이 실으며 위험하다고 여겨서 상류가옥 지붕에도 기와를 못 쓰고 반드시 짚을 덮었다. 우물을 파면 배에 구멍을 뚫는 것이라 하여 이것도 경계하였다. 경북 안동시 남문 밖에 세운 철재 기둥이나 전남 나주시 동문밖에 세운 돌탑도 배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한 돛이다.

배의 형국이 길지라는 논리는 현대적 사고로는 거리감이 있다. 그러나 옛날에는 배가 재물과 사람을 운반했던 문명의 이기로 배에는 사람들은 물론 재화가 모인다고 하는 뜻에서 배모양의 땅에 묘를 쓰거나 집을 지으면 동네는 물론 집안이 번창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옛날에는 강을 낀 마을이 크게 발전하였고 삼랑진, 청주, 공주, 재물포, 마포, 강화도 등 진,주,포,도의 지명를 가진 마을이 크게 번창했음을 알 수 있다.

강, 즉 물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어서 현대의 도시건설에서도 제일 첫째는 사람이 생활 수 있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강을 끼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로 지형적인 조건에서는 얕고 평탄한 구릉지나 분지가 발달해 있어야 하고 세 번째로 교통 즉, 도로여건이 최우선으로 꼽힌다.

연화부수형과 겹친 하회마을도 행주형이지만 제일 잘 알려진 곳은 대동강변에 자리한 평양이다. 그리고 청주와 공주는 물론 전북 무주도 행주형으로 알려져 있다.

평양시 연광정 앞 깊은 물에 닻을 내려 놓았다는 말이 옛부터 떠돌았다. 1923년 가뭄 때문에 물이 줄어들자 큰 쇳덩이가 나왔으며 사람들은 이것을 강가에 건져 놓았다. 바로 그 해 평양에 큰 물이 나서 온시내가 물바다를 이뤘다. 사람들은 배의 닻을 건져 놓은 탓이라 여긴 끝에 다시 강에 집어 넣었다 한다. 그때서야 사람들이 연관정 앞에서 꺼낸 그 쇠덩이가 풍수지리의 비방으로 선조들이 만들어 넣은 행주형국의 닻이라는 것을 알았다.

비녀, 반지형국은 자손이 번성할 터

가락지는 여성의 대표적 장신구로서 꿈에 가락지를 보면 딸을 낳는다고 한다. 가락지는 여성의 전유물인 동시에 보물이요, 재산이고 여성 자체를 나타내며 우리네 설화에는 가계를 계승하는 상징 내지 인간과 인간을 맺어주는 수단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여성은 곧 다산을 의미하므로 금가락지나 금비녀들은 부귀영화를 예고하는 징표가 된다. 더구간 금은 악귀를 물리치고 재운을 불러들이는 물질인 만큼 집터나 마을로서 이상적인 지형이라 하겠다.

금가락지터로 널리 알려진 곳은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와 금내리 일대로서 현지에서는 구만돌이라 부른다. 비기(秘記)에 이곳 어딘가에 금거북터, 금가락지터, 다섯보물터의 세 명당이 있다고 일컬어 왔던바 이 가운데 금가락지 터를 유씨네가 차지하고 부귀를 누린 사실이 알려지자 나머지 두 터를 차지하려고 구한말 무렵부터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으며 이 때문에 다른 곳의 땅값이 내릴 때에도 이곳만은 오히려 오르기도 했다.

금비녀가 땅에 떨어졌다면 금속성을 내게 되어 사람들의 이목을 모으게 마련이다. 이런 이치로 이런 곳에 자리를 잡으면 인물이 나온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오행의 상생 이치로 따져도 금이 땅에 떨어졌다면 토생금(土生金)이 되어 많은 재화와 자손이 번영한다고 풀이하고 있다. 여기서 혈장은 말할 것도 없이 비녀의 머리부분이 되는 것이다.

금체절각 낙지형이라는 것도 있는데. 이는 비녀의 머리 부분만 땅에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가락지터의 금환(金環)도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은 말한 것도 없다. 금고리, 즉 금반지가 땅에 떨어졌다는 것은 손가락에서 빠져나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환은 프로이드의 학설을 빌리지 않더라도 여성의 상징이며 성교의 열쇠다. 옛부터 여인들이 성행위나 분만을 할 때는 반드시 비녀나 반지를 벗는 습속이 있다.

구례 오미동 운조루와 인접해 있는 환동의 박씨들은 이 곳에 이사와 집의 담장을 둥그렇게 쌓아 비기의 금가락지 터에 자리를 잡았다고 하는데 금거북터, 금가락지터, 다섯보물터의 세명당이 있다고 알려져 풍수지리적 연유로 아직도 이곳을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삼태기, 조리, 반달형국은 이사해야할 터

삼태기, 조리, 반달형국은 처음에는 그 기가 일어나 운세가 뻗어 나가지만 세월이 가면 쇠퇴한다고 한다. 이런 형세들은 모두 재물을 긁어 모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처음에는 운세가 뻗어 나가지만 삼태기나 조리는 가득차면 한꺼번에 엎질러져 버리는 관행이 있어 망하게 되면 아주 망한다고 본다. 반달은 온달을 향해 점점 커가는 상태에 있으므로 융성하는 기운, 늘어가는 수명, 높아지는 벼슬을 나타낸다. 풍수지리에서 반달을 길지로 여기는 까닭은 이 때문이다.

그러나 반달은 만월이되면 더 이상 커지지 못하고 퇴락의 상태를 맞는다. 이는 반달이 차서 온달이 되었다가 다시 반달로 돌아가는 이치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충남 서산군 안면도 박씨집은 반달형의 집터인데 조부때에 흥했던 박씨대에 이르러 가세가 기울었는데 이는 반달이 차서 온달이 되었다가 다시 반달로 돌아가는 이치때문이라 설명하고 있다.

경북 경산군 용성면 곡란동 최씨집은 조리형국으로 잘 알려진 집이다. 최씨집 앞산은 해발 435m의 용산. 원래 그 모양이 매와 비슷해서 매봉으로 불렀으나 이 산에 살던 구렁이가 하늘로 승천한 뒤로 용산으로 바뀌었다는 내력도 있다.

이 산줄기의 한자락이 최씨 집터를 향해 뻗어내려왔는데 바로 이 능선이 조리의 자루에 해당되고 최씨의 집터는 조리바닥이라는 것이다. 조리는 쌀을 일 때 쓰는 부엌용구로 물속에서 쌀을 담아 올리지만 엎으면 다 쏟아지게 되므로 한 세대에는 재산을 모으지만 다음대에서는 모두 써버리는 과정을 되풀이해 왔다는 것이다.

산세가 좁은 곳에서 좌청룡우백호를 따지다보면 조리형이나 삼태기 형국은 많을 수 밖에 없다. 광산촌 대부분 삼태기형을 이루고 있는데 광부들 중에 죽도록 벌어서 하룻밤 노름에 전 재산을 날리는 사람이 많다. 돈벌면 이사해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말들하고 있지만 쉽지않은 모양이다.

쌀을 이는데 쓰는 조리 또한 부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복조리라하여 정월 초하루날 새벽에 누구보다도 먼저 이것을 사서 엽전 몇닢을 담아 대청이나 안방머리에 걸어 둔 것도 조리가 재운을 불러 주리라 믿었기 때문이다.

또 이것을 살 때 값을 깎으면 복을 그만큼 더는 것으로 생각하여 부르는대로 주었다. 해가 지난 새조리를 사는 경우에도 헌 것을 버리지 않고 덧걸어주는 것도 같은 이치다. 한편 조리는 한 번 엎으면 정성껏 걸러 낸 쌀이 모두 없어지므로 조리형 또한 재산의 탕진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삼태기, 조리, 반달형국은 한 대에서는 재산을 모으고 다음대에서는 모두 써버리는 과정을 되풀이한다고 풀이한다.

■ 글·청운 김영운(풍수지리연구가 02-845-5645)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행주형(行舟形)은 행운의 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