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패시브 하우스 디자인. 출처 http://inhabitat.com
지금 해외는?
유럽과 북미의 패시브 하우스 증가 속도는 놀라울 정도다. 유럽의 경우, 2001년부터 ‘패시브 하우스 시범 보급 사업’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독일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은 불과 몇 년 만에 2만 채 이상의 패시브 하우스를 보급하는 등 그 증가율이 매년 300%에 육박하고 있다. 현재 이 속도라면 모든 주택을 패시브 하우스로 전환하는 것도 머지않아 보인다. 영국도 2008년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시행하면서 2016년부터는 새로 짓는 모든 주택이 ‘탄소제로’를 달성해야 한다는 규정을 만들었다. 일본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세키스이社가 개발한 ‘탄소 제로 하우스’를 전국에 보급키로 하고, 관련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경남 함양 패시브 하우스
시동 걸린 국내 패시브 하우스
국내의 패시브 하우스 보급률은 아직까지는 저조한 편이다. 그러나 패시브 하우스로 가는 길목이라 할 수 있는 3ℓ 미만 저에너지 주택이 빠르게 전파되면서, 패시브 하우스에 대한 열기만큼은 날로 거세지고 있다. 협회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관련 교육과 정보 교환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정부도 관련 정책들을 속속들이 발표 중에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2017년부터 새로 짓는 주택은 패시브 하우스 수준으로 설계 기준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독일의 1.5ℓ 패시브하우스 성능의 건축 기준, 태양광 및 태양열, 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를 적용한 에너지 자족형 주택에 대한 건축기준 등을 꾸준히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들 건축기준에 따라 성능평가 기준과 설계 및 시공지침 결과가 나오면 법제화를 거쳐, 앞으로 건축물 신축 때 에너지 절감형 설계가 의무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건축 자재 상당부분을 국외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품과 비교했을 때 2~3배의 비용 차이가 나기 때문에 패시브 하우스 보급 속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지침서 마련만이 아닌 국가 차원의 보상 및 제도적 정착들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