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02. 이리저리 따져봐도 ‘전원 〉도시’

아무리 부동산 경기가 침체했다지만 아파트 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 떨어질 줄 모른다. 전세라도 구하려 해도 매매가와 비슷한 수준인데다가 이마저도 구하기 힘들고, 매달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백여만 원의 월세는 평범한 직장인에게 큰 부담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아예 아파트에서 떠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대출금에 이자, 월세 등 굳이 비싼 돈까지 치르며 아파트에서 살아야 할 가치를 느끼지 못하게 된 것이다. 차라리 그 돈으로 교외에 집을 짓고 살거나 다른 거주 방법을 이용하는 편이 더 낫다고 판단한 것.
실제로 최근 전원생활을 원하는 젊은 세대들이 늘어나고 있다. 교육을 위해 서울 등 대도시에서 살았던 과거의 양상과는 사뭇 달라지고 있다. 한편에서는 오히려 교육적 차원에서 도시보다는 농어촌이나 근교가 낫다는 의견도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농어촌 지역의 초중고등학교  수업이 오히려 더 나은 것 같다는 이야기도 엄마들 사이에서 심심찮게 돌고 있다. 선생 한 명당 담당해야 할 학생 수가 도시보다 적고, 기자재나 각종 교육 프로그램도 도시 못지않다는 소문이 돌면서 요즘 농어촌 지역 학교로의 유입이 상승세를 타고 있다.
아파트 가격으로 차라리 집을 짓는 경우도 많다. 빈 농가를 리모델링 하거나 토지를 구매해 주택을 짓는 가격이나 아파트를 사는 비용이나 큰 차이가 없다는 것. 여기에 내가 원하는 디자인의 집에서 아이들이 원하는 대로 뛰어놀 수 있고 자연학습이 일상이 된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교통 발달도 전원생활을 선택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일례로 지난 2006년 경의중앙선 팔당역이 들어서자 전원·단독주택들도 늘어나고 있다. 20년 넘게 수원 팔당댐 인근에서 거주 중인 김도연 씨는 “전철이 생기고 버스노선도 많아지면서 이곳으로 이사 오는 사람들이 늘었다”며 “적당히 서울과 가깝고 교통도 편리한 데다가 완전한 시골은 아니지만, 자연도 가까이 느낄 수 있다는 점이 서울 사람들의 구미를 당긴 것 같다”고 말했다.


INTERVIEW 
“아파트 탈출하니 아이와 가족에게 여유가 생겼죠” 

섬이라 하면 관념적으로 ‘외딴’이 떠오른다. 그래서 거제도는 섬보다는 육지에 가까운 느낌이다. 육지와 같은 거대함에 대기업 조선소가 있고 이곳에 약 4만 명의 직원이 있다. 거제도 시민의 20%에 달하지만, 이 숫자에 비하면 여자의 수는 헤아릴 정도다.
김유미, 박선아 두 건축주는 한 직장에 다니며 알고 지낸 지 10년 가까이 된 사이.  아이를 낳고는 육아 문제를 같이 의논하며 지내다 자매처럼 친한 사이가 됐다.
자녀가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누구나 같을 진데, 그 길은 부모 성향에 따라 각자 나뉜다. 김 씨와 박 씨는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있었다. 자연을 몸소 체험하며 지내는 게 아이를 위한 것이라는 믿음이다. 
“에너지가 넘치는 아이들에게 아파트는 제약이 많고 너무 좁아요. 공부도 중요하지만, 자라나는 환경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죠. 그래서 늘 아파트 탈출을 생각했어요.”
용기의 실현에는 결정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늘 곁에 있던 벗이 함께 하기로 하니 이보다 더 든든할 순 없다.
“서로 교육철학이 같아 얘기가 통했어요. 아파트를 벗어나고 싶은 마음도 같았죠. 같이 하고 싶은 일도 있고 휴식도 필요했어요. 그래서 같이 집을 짓기로 했죠.”
위치는 시내를 벗어나 한적한 마을을 선택했다. 마당에는 모래 놀이를 좋아하는 아이들을 위해 마당 한가운데 넓은 모래 놀이터를 계획했다. 아이를 위한 아이들의 집을 계획하고 집을 지었지만, 살수록 어른을 위한 공간으로 느껴진다고 한다.
“아파트에서 느껴보지 못했던 편안함. 그리고 아이들이 주로 밖에서 함께 놀고, 동생을 봐주고 하니 예전보다 여유가 생겼어요. 아파트에서 살 때는 아이들이 집에서 놀아 정신이 없었어요. 요즘엔 남아도는 시간은 나를 위해 알차게 보내죠.”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SPECIAL FEATURE 2. 이리저리 따져봐도 ‘전원 〉도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