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난로의 매력,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불꽃
난방과 취사 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한 오늘날에도 상당수 단독·전원주택의 거실에는 장작을 때는 벽난로[Fireplace]가 자리하고 있다. 공동주택의 거실에서도 굴뚝이 필요 없는 전기, 가스, 바이오에탄올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Stove]를 볼 수 있다. 벽난로와 난로, 즉 불[火]은 어떤 매력이 있기에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일까. 모름지기 바쁘게 돌아가는 번잡한 일상에 지친 개인에게 사색思索과 성찰의 공간을, 그리고 가족 간에 소통의 공간을 제공해줌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글 윤홍로 기자
“공기 중에 적당히 맴도는 장작 타는 냄새. 보기만 해도 몸이 녹을 것 같은 짙은 오렌지색 불빛. 따듯한 벽난로 앞 흔들의자에 앉아 뜨개질을 하고 책을 읽는 할머니. 곁에 고양이도 한 마리 앉아서 자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시간.” _ (《태양의 여행자》, 손미나, 삼성출판사).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거실 난롯가의 풍경을 잘 표현한 글이다.
불은 인간에게 어떤 의미일까. 그리스 아테네의 헤라 신전에서 2017년 10월 24일 채화된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화가 현재 우리나라 전국 곳곳을 돌고 있다. 올림픽에는 태양광에서 성화를 채화採火하는데, 그 이유는 ‘태양의 밝은 빛은 신이 인간에게 주는 계시를 상징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전국체전 때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서 성화를 채화한다. 단군이 제천祭天하던 참성단에서 불을 취하는 것은 ‘태초의 불로 지상의 불을 재생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문화지리학자인 칼 사우어Carl Sauer는 “불의 사용은 전 시대를 통하여 인간이 만들어낸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일 것이다. 불은 주행성인 인간을 밤 동안 다른 야수로부터 보호해주었으며, 불 주변은 사회생활의 출발점이며 성찰과 정보 교환 장소 역할을 한다”고 환경의 변화에 따른 불의 역할을 강조했다(《휴면 임팩트》, 앤드루 가우디, 푸른길). 이처럼 인간이 불을 사용하기 시작한 구석기시대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불은 환경 변화에 맞춰 따듯함과 빛의 원천으로 인간 생활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칼 사우어가 얘기한 사회생활의 중심은 인간이 물질적·정신적으로 성장하는 토양인 집일 것이다.
철학자 사무엘 스마일스Samuel Smiles는 “영어로 ‘컴포트Comfort’라고 표기하는 그 말의 의미를 외국어로 온전하게 옮기기에는 불가능하다. 안락함이라는 말은 가정의 화목을 뜻하는 난롯가[Fireside]라는 말과 연결되어 있다”면서, “집은 안락해야 하며, 안락하지 않으면 집이 아니다”라고 했다(《검약론》, 사무엘 스마일스, 21세기북스). 물리적 공간으로의 난롯가란 집에서 가족 간에 소통이 이뤄지는 중심 공간인 거실을 뜻한다.
한편, 가난하고 실패한 사람들의 친구로 불린 프랭클린 루스벨트Franklin Delano Roosevelt가 4선 대통령이 된 배경에는 ‘노변정담爐邊情談’이 한몫했다는 일화가 있다. 이전까지만 해도 신문과 무성無聲 뉴스 필름 속의 대통령 이미지에만 익숙해진 유권자들에게 루스벨트는 라디오를 통해 난롯가에서 친구처럼 정겹게 대화를 나누듯이 연설했다. 이를 통해 루스벨트의 깊고 낭랑하며 솔직한 목소리는 미국 각 가정의 벽난로가 있는 거실 깊숙이 파고들어 유권자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이다.
거실의 난롯가는 따듯하고 안락한 공간으로 가족을 불러 모아 소통하게 한다. 이처럼 난롯가는 그 날 있었던 일들을 성찰하고 이튿날 할 일을 계획하며 하루를 마무리하는 공간이다. 많은 학자가 난롯가와 가정을 동의어로 보는 이유이다.
중세 시대 벽난로는 부의 상징으로, 그 숫자로 사회 계층을 구분할 정도였다.
벽난로, 넌 어디에서 왔니
서양의 벽난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온돌, 중국의 캉Kang, 일본의 고타츠[火?] 등 전통 난방 방식은 모닥불을 가두고 모으는 화덕[Hearth]에서 비롯한다. 화덕이 지역의 기후와 생활에 맞게 발전하면서 오늘에 이른 것이다. 화덕은 원시주거나 고대주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기에 독일의 건축가인 고트프리드 젬퍼Gottfried Semper는 불의 장소, 즉 화덕을 대지, 벽, 지붕과 함께 건축의 4요소로 꼽기도 했다.
서양의 경우 원시시대의 개방된 난로 형태인 화덕이 그리스로마시대까지 이어졌고, 중세에 들어와서 화덕이 벽난로와 굴뚝[Chimney]의 형태를 갖췄다. 중세 주택에서 벽난로는 부의 상징으로, 그 숫자로 사회 계층을 구분할 정도였다. 또한, 벽난로는 각 시대의 건축양식을 반영하는 장식적 요소였다. 바로크 양식의 딱딱한 선, 그리고 로코코 양식의 부드러운 선이 벽난로 디자인에 그대로 적용됐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벽난로가 실의 중요한 요소로, 그 위에는 항상 왕을 상징하는 조각이나 초상화, 유명한 조각가의 작품, 또는 고가高價의 거울과 같이 집 안의 귀중한 물건들이 놓여 있었다는 것이다(<건축공간구성에 있어서 벽난로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수진·전명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벽난로를 건축의 요소로 끌어들인 것은 13세기 무렵 등장한 굴뚝이다. 이 전까지는 불을 모으고 가두기에 급급했기에 연기처리에 애를 먹었다. 서양에서는 창을 윈도우Window라고 하는데, 그 어원은 윈드 아이 홀Wind Eye Hole로, 직역하면 ‘바람의 눈’ 또는 ‘바람구멍’이다. 즉 환기 구멍에서 유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집 안에서 난방과 취사를 겸하던 화덕과 관련이 깊다.
예전 서양에는 삼거지악三去之惡이 있었다. 새는 지붕과 바가지 긁는 마누라 그리고 집 속의 연기였다. 서양인들은 굴뚝이 등장하기 전까지 연기와 함께 생활했던 것이다. 굴뚝이 없었을 때는 집 안의 화덕 연기가 처마 밑의 틈이나 출입구로 빠져나갔기에 고통을 받았다. 그 후 벽에 조그만 구멍을 냈는데, 이것이 중세 게르만어로 빈트아우게Windauge, 즉 ‘연기의 아들’이다.
난로는 난방 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집의 중심 공간인 거실에서 난방뿐만 아니라 장식 요소로서 기능하며 온 가족을 불러 모으고 있다. 현대주택에 어울리는 모던하고 심플한 디자인은 물론 한 번 투입한 장작을 10시간 이상 때는 장시간 버닝 타임Burning Time, 360도 회전하는 화구 기능, 그리고 무엇보다 실내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원시시대의 화덕이 세계 각 지역의 환경 변화에 맞춰 다양한 난방 형태로 발전해 왔듯이 최근에는 서양의 벽난로가 우리나라의 주거 환경에 맞춰 진화하고 있다.
벽난로를 건축의 요소로 끌어들인 것은 13세기 무렵 등장한 굴뚝이다.가정과 동의어인 난롯가는 따듯하고 안락한 공간으로 가족을 불러 모아 소통하게 한다.
벽난로와 창문세
17세기 영국에는 창문세[Window Tax]라는 세금이 있었다. 당시 윌리엄 3세 국왕은 잘 사는 사람들에게 부유세를 물리기로 했다. 그는 무엇을 근거로 세금을 물릴까 고민하다 창문의 수를 세기로 했다. 벽난로가 있는 집은 난방에 문제가 없어 창문을 많이 만든다고 본 것이다. 당시 벽난로는 부유함의 상징이었는데, 각 가정에 들어가 벽난로가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기 힘들었다. 그래서 밖에서도 셀 수 있는 창문 수에 따라 세금을 부과했다. 그랬더니 사람들이 세금을 내기 싫어 창문을 없애고 어두컴컴한 데서 살기를 마다하지 않았다고 한다. _ 《경제는 착하지 않다》(심상복, 프린스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