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난방용 or 장식용, 
벽난로 사용 목적 분명해야

벽난로(난로 포함)의 종류는 연소 연료, 방열 형태, 설치 위치 및 장소, 외장 마감, 연소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연소 연료에 있어 원시시대에서 고대까지는 생활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장작이나 동물의 말린 배설물을 사용했으며, 벽난로의 형태를 갖춘 중세 이후부터 석탄과 갈탄 등 화석연료를 장작과 함께 사용했다. 현대에는 장작, 석탄, 갈탄, 펠릿, 석유, 전기, 가스(또는 가스 장작 겸용), 바이오에탄올 등 다양한 연소 연료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80% 정도 장작 벽난로를 사용하고, 굴뚝(연도)을 낼 수 없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20% 정도 전기, 바이오에탄올, 가스 등의 벽난로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장작용 벽난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윤홍로 기자 
참고 문헌   <건축공간구성에 있어서 벽난로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수진·전명현,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벽난로의 화실에서 장작이 타면서 열을 내는 에너지는 복사, 대류, 전도 세 가지가 있다.

복사열[Radiant-Heat] _ 화실의 측벽과 후벽, 디플렉터Diflector의 경사로 인해 화점에서 발산하는 열에너지가 피드백되어 연소부에 되돌려 보내진다. 이러한 활동은 장작이 탈수록 활발해져 세라믹 유리로 밀폐돼 있거나 오픈된 벽난로의 화구를 통해 실내로 방출(복사열)된다. 참고로 세라믹 유리가 있는 벽난로는 여기에 그을음이 붙으면 빛의 차단으로 복사열이 방출되지 못해 발열량이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세라믹 유리에 그을음이 들러붙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을 적용한 벽난로가 바람직하다. 

※ 디플렉터: 화구 위쪽 스모크 챔버와 화실 사이에 있는 방열판. 세라믹 유리로 제작된 벽난로에서는 디플렉터, 재래식 화구 오픈식 벽난로는 연붕[Smoke-Shelve]에 해당한다.

대류열[Convection-Heat] _ 세라믹 유리가 장착된 벽난로 가동 시 복사열에 의해 화실의 측벽과 후벽의 외피를 타고 흐르는 열에너지다.

전도열[Conduction-Heat] _ 세라믹 유리가 장착된 벽난로 가동 시 화실 내피의 화점에서 후벽 및 측벽, 디플렉터에 직접 가열돼 전도되는 열에너지다.

현대 벽난로에서 열을 얻는 방식은 사용 목적과 문화, 현장 디자인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선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벽난로는 거실이나 부엌에서 난방과 조리 등의 기능을 한다.

노출형 vs 매립형
벽난로는 방열 형태에 따라 열효율 중심의 노출형[Freestanding Type]과 인테리어 중심의 매립형[Insert Type]으로 구분한다.

노출형 _ 벽난로 자체의 형태가 마감재이며, 몸체를 노출시켜 시공한 후 장작을 연소시켜 열을 얻는 형태이다. 열원 즉, 벽난로의 몸체와 연도가 노출되므로 공랭식으로 공기를 순환시켜 열효율이 매립형에 비해 3배 이상 높다.

매립형 _ 벽난로의 몸체를 매립하거나 내화벽돌로 화실을 제작하여 외장을 벽돌, 자연석, 대리석 등으로 치장하여 완성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벽난로의 외장을 거실의 콘셉트에 맞춰 치장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치장 소재에 따른 디자인의 변화가 가능하다. 반면, 벽난로의 열원인 몸체에서 나오는 복사열과 대류열이 매립되므로 노출형에 비해 열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벽난로로 난방 효과를 높이려면 매립형에 비해 열효율이 3배 정도 높은 노출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노출형 중에서도 기술적 완성도가 높은, 즉 1회 장작 투입 후 연소 시간[Burning Time]이 5∼10시간으로 길고, 화구 앞의 세라믹 유리가 깨끗하게 유지되어 복사열의 방열이 활발하며, 장작의 연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벽난로가 좋다.
노출형 벽난로매립형 벽난로

벽난로 설치 위치
벽난로는 어느 위치에 설치하는 게 좋을까. 벽난로 전문 업체에서는 ▲실내에서 가장 바라보기에 좋은 곳 ▲창과 함께 배치해 장작불과 외부의 풍경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곳 ▲창에서 들어오는 차가운 공기를 중화시키면서 실내 곳곳에 열기를 보내줄 수 있는 곳 ▲동선에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는 곳 등을 원칙으로 한다.

벽난로는 설치 위치에 따라 중심형, 측면형, 모서리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벽난로는 공간의 중심보다 대부분 측면형과 모서리형이 많다. 

중심형 _ 벽난로가 벽체에서 독립하여 공간의 중심에 있음으로써 공간을 분할하고, 공간에 중심성을 부여하는 형태이다. 이 때 벽난로는 특별한 장소, 즉 앉아서 책을 보거나 뜨개질을 하거나, 또는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고, 거기에서 잠이 들 수도 있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측면형 _ 벽난로가 하나의 벽체에 평행하게 접한 형태이다. 실의 형태에는 변함이 없지만, 공간의 성격은 달라진다. 왜냐하면 벽난로는 불의 이미지가 함께하기 때문에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심리적인 힘을 갖고 있어서, 그 주변으로 모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벽난로가 접해 있는 벽체는 공간에서 중심점 역할을 한다.

모서리형 _ 두 면이 만나 생기는 모퉁이는, 그 표면과 달리 첨가 요소에 의해 시각적으로 부각될 수 있다. 이러한 모퉁이에 벽난로가 위치함으로써 모서리 공간은 더욱 부각되고 장의 성격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이 때 모서리에 위치한 벽난로는 모서리를 공간의 중심부와 동등한 가치를 지닌 오브제Objet로 표현하고 건축의 주도적 조형 요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중심형측면형모서리형

벽난로 설치 시점
노출형은 연도를 외부로 노출하는 방법이 비교적 자유로워 거주하는 중에도 대부분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매립형은 벽난로 상부 디자인의 여건상 많은 제약이 따르므로 건축 계획 단계에서 설계자와 충분한 의사 교환이 이뤄져야 한다.

목조주택에서 노출형 벽난로는 매립형에 비해 조적 등의 습식작업이 없어 시공이 간단하고 공기工期도 대부분 하루 정도 걸린다. 내·외부 마감 후 거실 온돌마루를 깔기 전에 시공하면 된다. 단, 바닥재와 벽지 등의 마감재가 완공된 후 시공이 들어갈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반면, 매립형 벽난로는 내부 마감 공정상 제일 먼저 시공한다. 벽난로의 몸체가 거실 외부로 ‘ㄷ’자로 나갈 경우, 내부 및 외부 굴뚝을 단열한 후 외부 연도와 사이딩을 마감해야 한다. 따라서 내부 목공 작업 전에 벽난로를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12월호 특집]난방용or장식용, 벽난로 사용 목적 분명해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