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벽난로와 인테리어 
“이것은 난방기가 아니다”

주택 실내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 화분이나 어항을 들여놓곤 한다. 식물이 자라고 꽃을 피우는 모습이나 물고기가 수조에서 유영하는 장면은 인공물이 대신할 수 없는 생동감이 있다. 집에 생동감을 주는 요소로 불꽃도 빼놓을 수 없다. 일렁이는 불꽃은 온기를 제공함으로써 시각뿐만 아니라 몸으로 주택의 생기를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다. 특히, 조명이 꺼진 실내에 발갛게 타오르는 난로의 불빛은 집 안에 있는 공간을 하나로 모아 오붓한 분위기를 만든다. 오늘날 불꽃은 세련된 쇼케이스 속으로 들어가거나 대리석과 타일로 마감한 벽체와 어우러져 실내의 분위기를 장악하는 디자인 요소로 활용된다. 

강창대 기자      사진출처 wikipedia

불꽃 자체가 실내 분위기를 돋우는 요소이기는 하지만, 벽난로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또한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인테리어에 효과적인 소재가 될 수 있다. 우선 벽난로에 부속된 요소들을 살펴보며 디자인 요소로서의 가능성을 따져보자. 

장식 요소가 풍부한 벽난로
전통적으로 벽난로는 주로 건물 1층에 있는 거실과 식당 등 공용공간에 놓인다. 벽난로는 불이 있는 부분과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나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굴뚝으로 나뉜다. 불이 있는 부분 즉, 화실火室(firebox)에는 화상(火床, grate: 난로의 격자형 받침쇠)과 장작받침대(andiron, firedog)가 있고, 그 앞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철망(fire guard, fire screen)이 놓인다. 종종 화실 안쪽에 묵직한 금속 반사판(fireback)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반사판은 화재 예방뿐만 아니라 열을 모았다가 재방사하는 축열판 역할을 한다. 화실 바로 밑에 있는 바닥을 노변爐邊(hearth)이라고 하며 불이 붙지 않는 재료로 마감한다. 노변을 비롯해 벽난로 주변에는 건조를 위해 장작바구니가 배치되기도 하고, 불을 관리하기 위한 부지깽이, 부젓가락, 삽, 빗자루 등을 놓아둔다.

화실의 형태는 단순한 사각형이나 장방형, 아치 형태 등으로 설계된다. 화실의 모양과 더불어, 이를 둘러싼 면(facing)의 마감재에 따라 러스틱시크에서부터 매우 현대적인 느낌까지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화실과 페이싱 외곽에는 선반과 같은 형태의 수직면이 감싸는데, 이를 맨틀Mantel이라고 한다. 맨틀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는 선반, 그리고 이를 떠받치는 설주와 인방이다. 모던하고 현대적인 디자인에서는 페이싱과 맨틀의 구분을 생략해 단정하게 디자인하기도 하지만, 전통적인 벽난로 형태에서 이 부분은 가장 화려하게 장식되는 곳이기도 하다. 

서구의 전통 주택에서 벽난로는 굴뚝과 연결된다. 굴뚝이 지붕 바깥으로 나온 머리라면, 실내 벽면에서 돌출한 형태의 몸체가 있다. 이를 침니브레스트chimney breast라고 일컫는다. 맨틀의 윗면 즉, 선반은 다양한 소품으로 장식하고, 침니브레스트에는 화려한 거울이나 조형물을 걸어 장식한다. 침니브레스트는 벽돌이나 타일, 석재 등으로 마감해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파이어스크린과 반사판 등도 인테리어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파이어스크린을 여러 사물을 본떠 만들거나 가운데 철망을 기하학적 패턴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또, 반사판 역시 다양한 문양을 양각으로 주조해 멋을 부리기도 한다. 그리고 화실을 대신해 스토브를 설치하면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또 다른 분위기를 만들 수도 있다. 이외에 연료를 보관하는 바구니, 부지깽이와 부젓가락도 훌륭한 장식 요소가 될 수 있는데, 그을음이 묻은 오래된 집기는 빈티지하고 러스틱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르네상스 시기 독일에서 활약했던 화가 한스 홀바인Hans Holbein(1497~1543년)이 스케치한 벽난로 디자인. 화실과 페이싱, 맨틀, 침니브레스트 등에 화려한 문양과 상징들이 섬세하다. 설주를 고대 그리스의 기둥양식으로 디자인해 한껏 멋을 부린 점이 도드라지다.‘셜록 홈즈 박물관’에 전시된 빅토리아 풍의 실내와 벽난로. 파이어스크린의 도금한 테두리가 블랙톤과 어우러져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서양 주택에서 볼 수 있는 소박한 벽난로. 파이어스크린으로 철망 대신 체인을 이용한 점이 눈길을 끈다. 선반과 침니브레스트에 걸린 성상이 이 공간에서 벽난로가 가진 의미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부지깽이와 부젓가락, 빗자루, 그리고 페이싱에 묻은 그을음이 정겹게 느껴진다.러스틱한 분위기의 거실에 설치한 가스 벽난로. 정방형 화실이 실내 분위기와 다소 동떨어져 있지만 인조장작을 넣어 장작불처럼 보이게 해 분위기를 맞추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공간을 장악하는 힘을 가진 벽난로
벽난로는 자체의 형태나 장식에 따라 실내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디자인 요소가 되기도 하지만 놓이는 위치에 따라 주택의 평면과 입면을 좌우하는 건축적 요소가 되기도 한다. 

전통적인 벽난로는 벽과 함께 건물의 구조를 이루는 부분이었고, 무엇보다 난방이라는 기능적 의미가 더 강했다. 그러나 모더니즘 건축의 두 거장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와 프랭크 라이트Frank Lloyd Wright의 실험적 건축에 의해 벽난로의 의미는 난방 못지않게 공간을 구성하는 건축적 요소로서의 의미에 더 무게가 실리게 됐다. 라이트가 1938년에서 1939년에 완공한 주택 윙스프래드Wingspread는 벽난로를 중심에 놓고 주택의 각 실을 배치함으로써 주택의 형태를 결정하는 능동적인 요소로 활용했다. 르 꼬르뷔제에게서 벽난로는 디자인 요소로서 더욱 적극적으로 해석됐다. 사각과 원통 등 절제된 단순한 형태의 벽난로는 기하학적 공간을 구성하며 책장이나 부엌과 결합함으로써 디자인 요소로서의 가능성이 확대됐다. 또, 벽난로는 조형적 오브제로서 건물 구조로부터 독립적으로 다루어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기성제품인 난로(stove)를 벽난로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예도 있다.

선구자들의 노력 덕분에 벽난로는 건축에서 다양한 의미를 갖게 됐고, 그 개념도 유연해졌다. 주택 구조의 한 부분이었던 벽난로는 실내 디자인 요소로, 혹은 가구처럼 비건축적 요소와 동일한 오브제로 다루어지기도 한다. 건축 구조에서 분리된 결과, 벽난로와 스토브의 경계도 희미해졌다. 이처럼 벽난로와 스토브를 엄격히 구분하지 않는 경향은 ‘온돌’을 주요 난방으로 사용하는 우리나라에서 뚜렷한 양상을 보인다. 벽난로와 스토브로 구분하기보다는 설치 방식에 따라 매립형과 노출형으로 구분하거나 연소 원료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또 한편, 벽난로는 공간을 장악하는 힘이 있어 놓이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심점으로 작용한다. 사각의 실을 가정했을 때, 한쪽 벽면에 벽난로를 놓아 방 전체가 바라보이게 배치할 경우, 벽난로가 위치한 벽면은 그 공간의 성격이나 위상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부여 받는다. 전통적인 형식에서 이러한 배치가 주를 이룬다. 또 한편, 윙스프래드 주택의 사례처럼 벽난로가 방의 중심에 놓이면 공간구성의 중심이 된다. 그러나 벽난로를 배치하며 지나치게 독립성을 강조할 경우, 벽난로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그곳은 죽은 공간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벽난로는 공간의 확장성을 고려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난로와 크리스마스 양말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 아이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인물이 있다. 바로 산타클로스다. 물론, 산타클로스는 가상의 존재이지만, 실제 모델이 존재한다. 산타클로스의 원형은 성직자 성 니콜라우스Saint Nicholas의 이야기다. 이 이야기는 동로마제국이 있던 4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루는 성 니콜라우스가 길을 가다가 어느 가난한 집안의 딸이 지참금이 없어 결혼을 못하게 됐다는 안타까운 사연을 듣는다. 그래서 그는 그 집 굴뚝으로 금화가 든 주머니를 몰래 떨어뜨렸다. 그런데 마침 벽난로에 걸어둔 양말 속으로 금화주머니가 들어갔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산타클로스가 착한 아이에게 선물을 준다는 설화가 만들어졌고, 크리스마스이브에 양말 모양의 주머니를 만들어 벽난로에 걸어두는 풍습이 생겼다고 한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12월호 특집]벽난로와 인테리어 “이것은 난방기가 아니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