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전기설비 공사

--------------------------------------------------------------------------------
미국식 목조 주택에서의 전열 콘센트를 위한 배선을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골구조 벽체이므로 샛기둥(Stud) 사이에 배선하게된다. 다음에 나올 전화나 TV 연결 콘센트와 같이 충분한 수량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건축주의 직업이나 취미에 따라 특별한 전기 기기를 쓰는 경우도 고려하여 설계시 필요한 위치를 결정한다. 전원 주택인 경우 옥외 작업을 위하여 외벽에 몇 개의 전열 콘센트를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는 방수형 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물론 지하실에 습기가 차는 부분 및 보일러실과 화장실에도 방수형 콘센트를 설치한다. 또한 박공지붕 천장 속에도 경우에 따라서 콘센트를 한 두개 정도 설치하여 두면 건물 유지 보수시 편리할 수 있다.
--------------------------------------------------------------------------------


글 싣는 순서

제1편 개요
1) 개요 (Introduction)
2) 목구조 건축의 종류
3) 목구조 건축의 특징

제2편 자재와 공구
4) 자재 (Materials)
5) 공구 (Tools)

제3편 건축공사
6) 가설공사 (Temporary Work)
7) 토공사 (Excavation)
8) 기초공사 (Foundation)
9) 바닥공사 (Floor Joist)
10) 벽체공사 (Wall)
11) 지붕공사 (Roof & Gutter)
12) 창호공사 (Doors & Windows)
13) 단열공사 (Insulation Work)
14) 내벽공사 (Dry Wall)
15) 내장공사 (Finish Work)
16) 외장공사 (Siding)
17) 온돌 공사 (Panel Heating)
18) 방수 공사 (Water Proofing)
19) 금속 공사 (Metal Work)
20) 굴뚝과 벽난로 (Chemney and Fire Place)
21) 계단 (Stairs)
22) 데크 (Deck)
23) 붙박이장 (Cabinet Installation)
24) 칠공사 (Painting Work)


제4편 설비공사
25) 위생 난방 설비 공사 (Plumping Work)
26) 전기 설비 공사 (Electrical Work)

제5편 건물 유지 보수
27) 건물의 유지 보수 (Maintanance)
28) 건축 용어 해설 (Glossary of Bldg. Terms)


지난 호에서 위생난방 설비공사(Plumbing Work)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제 마지막으로 전기 설비 공사(Eloctrical work)에 대하여 설명하므로써 건축공사 및 설비공사에 대하여 마무리 하고자 한다.

전기설비는 전열, 전등 설비 같은 강전설비와 전화, 인터폰, TV 등 약전설비로 구분된다.

미국식 목조주택에서 전기설비에 대한 사항 중 중요한 점은 콘크리트 구조나 조적조에서는 전선을 배선하기 위하여 전선관을 콘크리트나 벽돌 벽을 뚫고 난 후에 그전선관에 전선을 끼워 넣는 것이 일반적인 공사 방법이다.

미국식 목조주택에서는 벽체의 샛기둥(Stud) 부재에 구멍을 뚫고 직접 배선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는 전선관의 배관 없이 배선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선관이 없더라도 안전한 일반전선이 아니라 외부 피복이 잘된 특수한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수전설비

주택에서는 전등부하가 15∼30VA/㎡, 동력부하 10∼35VA/㎡ 냉방부하가 20~30VA/㎡ 합계 45∼95VA/㎡ 가 필요하게 되어 큰 용량의 전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수전설비(변전설비)를 특별히 할 필요는 없고 계량기만 설치하면 된다.

물론 이 계량기함은 옥외에서 검침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외부 계량기에서 옥내 내전반으로 전력이 공급되는데 배전반에는 누전차단기를 비롯하여 과전류 차단기(Circute Braker)가 설치된다.

이 배전반은 전기 공급의 중추적 역할을 하며 건물 내의 부위에 전류를 공급하게 되는데 각층별, 용도별로 회로를 구분하여 구분된 회로마다 별개의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고, 차후 증설될 전력 소요에 대하여 여유 있는 여분의 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옥외에 대한 회로는 물론 별도로 하여 누전시 다른 실내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선하는 것도 고려할 점이다.

분전반의 위치는 보수나 조작이 편리하도록 복도나 계단부근의 벽에 설치하는 것이 좋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전에는 나이프스위치(Knife Switch)가 사용되었으나 요즈음은 모두 노푸즈 브레이커(No Fuse Breaker)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며 분전반의 설치 간격은 분기회로의 길이가 30m이하가 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회로를 사용하는 것은 전기 설비의 모든 기기들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고장이 생겼을 경우 그 피해정도를 줄이고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배선방식에는 단상 2선식, 단상 3선식 220/110V, 3상 삼선식, 3상 4선식 등이 있는데 주택에서는 특별한 동력기기를 쓰지 않는 한 단상 2선식의 200V부하가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전등설비

배선은 조명용과 동력용을 구분 배선한다. 분기 회로는 간선으로부터 분기 과전류 보호기를 거쳐 전등 또는 콘센트와 같은 부하에 이르는 배선을 말하는 것으로, 전등의 각층 또는 옥내·외 분기회로마다 자동차단기를 설치하면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그 회로만 차단할 수 있으므로 다른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아 수리가 용이하다.

조명방식에는 ▲직접조명 ▲간접조명 ▲반간접조명 ▲전반조명 ▲국부조명 ▲전반 국부 병용조명 등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각 기능에 맞는 조명 방식을 택하고 특히 옥외에도 충분한 조명시설을 하되 옥외에는 우천시 대비할 수 있는 방수형의 조명 설비를 설치한다.

건물외부에 부착하는 조명기구도 필요 위치에 충분히 설치하고 특히 스위치 위치도 잘 고려하여야 하며 계단 및 지하실 등에는 3로(3way) 스위치를 설치하여 전등의 켜고 끄는데 편리하도록 한다.

좋은 조명 조건을 얻기 위하여 서는 ▲조도 ▲광속 발산도분표 ▲눈부심(Glare) ▲그늘 ▲광색 ▲기분 ▲의장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조명기구를 선택한다.

전열설비

미국식 목조 주택에서의 전열 콘센트를 위한 배선을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골구조 벽체이므로 샛기둥(Stud) 사이에 배선하게된다. 다음에 나올 전화나 TV 연결 콘센트와 같이 충분한 수량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건축주의 직업이나 취미에 따라 특별한 전기 기기를 쓰는 경우도 고려하여 설계시 필요한 위치를 결정한다.

전원 주택인 경우 옥외 작업을 위하여 외벽에 몇 개의 전열 콘센트를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는 방수형 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물론 지하실에 습기가 차는 부분 및 보일러실과 화장실에도 방수형 콘센트를 설치한다.

또한 박공지붕 천장 속에도 경우에 따라서 콘센트를 한 두개 정도 설치하여 두면 건물 유지 보수시 편리할 수 있다.

전화, 인터폰 설비

전화의 경우 주택이라 할지라도 충분히 내선을 설치하여 여러 번호의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요즈음은 PC를 위하여 통신 선로가 각 방마다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여유 있는 전화선로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즈음은 휴대전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기존 선로에 의한 전화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고는 하나 그래도 장래에 어떠한 변화에도 대비할 수 있는 충분한 배선이 될 수 있도록 필요한 단자 위치도 충분히 설치한다.

인터폰은 대문 또는 현관과 실내의 연락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요즈음 좋은 도어폰(Door Phone) 및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기기가 되고 있으므로 여러 가지를 알아보고 선택하면 된다.

TV 및 안테나 설비

각방에서의 텔레비전의 배치를 고려하여 필요한 위치에 TV, 안테나 연결 콘센트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또한 각 방마다 설치하는 것이 좋다.

각방마다 전화, TV 잭을 설치하더라도 공사비 증가가 전체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전원주택인 경우 좋은 화질을 위하여 안테나(antenna) 설비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에는 건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시공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안테나는 풍속 90m/s에 견디도록 한다.

안테나는 피뢰침 보호각 내에 들어가도록 한다.

원칙적으로 강전전류선으로부터 3m이상 띄어서 설치한다.

정합기 설치높이는 일방적으로 바닥에서 30cm 높이로 한다.

방향성 결합기나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plug)에는 더미로드(dumy load)를 부착한다.

지붕에 설치할 경우 안테나 설치로 인한 지붕에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피뢰침

일반적으로 주택에서는 피뢰침 설치가 필요하지 않으나 전원주택인 경우에는 피뢰침을 설치하므로써 낙뢰에 의한 주택 내 각종 가전 제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건축법에는 지반면상 20m 이상의 건물에 반드시 피뢰침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전원주택의 경우 주위에 건물이 없이 외따로 떨어져 있는 경우 꼭 피뢰침 설치를 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피뢰침 구조는 돌침부, 피뢰도선, 접지 전주로 구성되며 돌침은 동, 알루미늄 또는 용해 아연도금을 칠한 철로써 지금 12mm 이상의 봉 모양의 전도체로 한다.

피뢰 도선은 30㎟이상의 동선이나 50㎟이상의 알루미늄의 도선을 사용하며 접지판의 재료로는 1.4mm, 1.5mm, 1.6mm의 3종류와 크기가 900mm 각과 1000mm 각을 사용한다.

배설 깊이는 3m 정도이며 단독일 경우 20Ω이하 2개 이상을 설치할 경우는 그 종합 저항이 10Ω이 되도록 한다. 田

■ 글·이종우(우정목조 건축학교장 02-552-0295)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기설비 공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