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과 건축 Dwelling and Architecture
글 양성필 건축사(건축사사무소 아키제주 대표)
CONTENTS
01 건축사
02 상식의 차이
03 집과 건축
04 내 집을 내가 그리면 안되나
05 내 집을 내가 지으면 안되나
06 디자이너와 엔지니어
07 지역주의
08 좋은 집
09 대화와 선언
10 삶을 통해 집을 설계할 수 있다면
11 계획설계와 설계비
12 집을 지을 수 없는 땅
집과 건축
건축을 영어로 ‘아키텍처Architecture’라고 합니다. 저희 사무실의 이름인 ‘아키제주’도 건축을 의미하는 아키텍처의 아키와 제주를 합성해서 만들었습니다. 단순한 이름이지요. 아키제주는 제주의 건축이란 뜻을 갖고 있습니다. 제주건축이라고 하니까 제주에서만 건축설계를 하겠다는 소극적인 의미로 들리네요. 저는 적극적으로 제주에서만 설계하는 건축사가 되려고 했을 뿐입니다. 하긴 부산이나 서울 혹은 광주 같은 도시에서 제게 설계를 의뢰할 리가 없지요. 제가 제주라는 한정된 지역에서 설계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이유를 또다시 설명할 것입니다.
아주 예외도 있지만, 건축사들은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한 사람들이지요. 건축사들에게 건축이란 용어는 어떤 의미일까요? 건축사들은 건축이란 용어에 매우 친숙해져 있습니다. 너무 일상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건축이란 용어 자체에 별 의심을 해본 적이 없지요. 우리는 너무 흔한 것에 오히려 관심을 잘 갖지 않습니다. 마치 물과 공기처럼 귀한 것들에 대해서 무감각한 것처럼 말이죠. 하긴 건축이란 용어를 건축사가 만든 건 아니니까요.
여기에서 제가 건축이란 용어에 대해 학문적인 정의를 내리거나 철학적으로 변명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전공이 건축이고 늘 해오는 일이지만, 그것이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진지하게 생각해 본 시간이 의외로 적었다는 것에 대해 반성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건축이란 용어를 통해 만들어 놓은 건축사들에게 친숙한 이미지가 일반인의 생각과 혹 다르지 않나 생각하고자 합니다. 또한, 그 이미지가 제가 추구하는 건축사의 모습과 또 다른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려는 것입니다.
제가 처음 건축사사무소를 시작했을 때만 해도 의뢰인에게 건축설계는 단순히 먹고 자고 생활하는 집을 만드는 과정이 아니라 좋은 작품을 만드는 과정이란 것을 설명하느라 진땀을 흘렸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건축물의 모형을 만들고 도면에도 색칠하고 이미지를 스케치하면서 소위 브리핑이란 것을 했습니다. 그러면서 어떤 디자인으로 만들지 애써가면서 설명하곤 했습니다. 제가 배워온 건축은 그런 훌륭한 예술작품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건축은 ‘공간 조형 예술’이라고 했습니다.
예술이란 용어에는 독특한 마력이 있습니다. 건축이 예술이라고 하니까, 저도 덩달아 예술가가 된 느낌도 들었습니다. 예술과 비슷한 문화라는 매력적인 용어가 있습니다. 문화라고 하면 뭔가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고상하고 수준 높은 생활양식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문명이 인간의 물질적인 풍요에 초점을 맞춘 용어인데 비해 문화와 예술은 인간의 정신적인 활동에 초점을 맞춘 용어라는 점에서 더욱 매력적으로 들립니다.
하지만, 인간의 정신활동에 초점을 맞췄다고 해도 문화든 문명이든 자연적인 삶을 거부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인간이 만든 도덕이 무엇입니까? 동물에게는 도덕이란 것이 없습니다. 물론, 동물에게도 자식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볼 수 있지만, 그것은 도덕이 아니라 본능입니다. 도덕은 인간이 사이좋게 모여 살기 위해서 본능을 거부하고 지켜야 할 규율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도덕을 더욱 강화한 것을 법이라고 합니다. 당연히 수많은 사람이 도시를 이루고 공동체를 이루면서 서로 불편하지 않게 살아가려면 도덕을 지켜야 합니다. 인간은 도덕이 없이 본능만으로 평화로운 공동체를 이루기 어렵습니다.
예술활동도 자연적인 삶의 형태는 아닙니다. 음악이나 미술, 조각 등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해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술은 도덕과 달리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이성적인 규율도 아닙니다. 예술적인 감성이나 열정은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정신활동이 분명합니다. 만약, 동물들도 이성을 가지고 생각하고 말할 수 있다면, 인간의 예술활동을 틀림없이 미친 사람들이 보여주는 이상징후라고 생각할 겁니다. 문화와 예술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이성적이고 감성적인 활동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건축설계도 대단히 감성적인 접근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그래서 건축을 교육할 때, 건축설계도 예술의 한 부분으로 정의하고 설명합니다. 물론, 건축을 미술이나 음악처럼 순수예술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형태와 공간을 다룬다는 측면과 감성적 활동이란 측면을 놓고 보자면 분명히 중요한 예술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건축설계의 예술적인 측면을 자꾸 부각하는 것은 또 다른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용도가 있는 공예와 가구와 같은 실용예술을 미술과 음악과 같은 순수예술과 조금 다르게 봅니다. 건축도 용도와 기능이 중요한데, 그러면 건축은 실용예술인가요? 건축은 다른 실용예술과는 또 차이가 있습니다. 도예와 가구 그리고 현대의 제품 디자인 등도 용도와 기능이 중요하지만, 먹고 자고 생활하는 집과는 그 절실함이 다릅니다.
집은 인간이 생존하기 위한 기본적인 문화활동인 의식주의 한 가지입니다. 마치 음식이 없으면 생존할 수 없는 것처럼 집은 있으면 편리한 도구가 아니라 없으면 안 되는 생존조건이란 것입니다. 건축이 예술일까요? 생존조건의 두 가지 형태인 요리와 패션이 예술인 것처럼 건축도 예술이겠지요. 하지만 먹을 수 없는 음식을 요리라 할 수 없고 입을 수 없는 옷을 패션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렇듯이 먹고 자고 생활한다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그것은 건축이 아니지요. 건축에서의 용도와 기능은 반드시 완성시켜야 하는 조건이고 존재 이유이니까요.
저는 여기에서도 ‘집’과 ‘건축’이란 용어를 섞어서 쓰고 있습니다. 이제 ‘집’과 ‘건축’이란 용어가 갖는 뉘앙스를 생각해 보지요. 얼핏 비슷하게 보이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차이가 많습니다. 마치 ‘땅’과 ‘육지’가 같은 대상을 가리키는 것 같지만, 그 느낌이 다르듯이 말이지요. 땅은 하늘, 육지는 섬 혹은 바다를 염두에 둔 말이지요. 아이들이 손바닥 놀이할 때에 ‘하늘과 육지!’하면서 외치면 얼마나 웃기겠어요. 제주 사람이 육지 사람을 가리켜서 ‘육지 것’이라고 말한다고 간혹 비판하는데, 그것은 제주사람이 스스로 ‘섬 것’이라고 인정하는 말이지요. 만약, ‘땅 것’이라고 불렀다면, 제주 사람이 ‘하늘 것’이 될 텐데 말이지요.
같은 대상을 가리키는 말인 듯 보이는 ‘건축’과 ‘집’에 어떤 다른 뉘앙스가 숨겨져 있는지 한번 볼까요. 어느 대지에 건물을 세울 때 우리는 두 가지의 표현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건축을 한다’와 ‘집을 짓는다’. 그렇게 보면 건축이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건물’과는 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을 한(하)다’라고 표현할 때, ‘~’에 어떤 행위가 명사화된 경우 그렇게 쓰게 됩니다. ‘글을 쓰다’와 ‘글쓰기를 하다’의 차이와 같습니다. ‘그림을 그리다’와 ‘미술을 하다’와의 차이처럼 말이지요. 그러면 건축이 건물처럼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건물을 만드는 행위를 포함한 용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집은 ‘짓는다’고 하지, ‘한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집은 행위가 아닌 정확히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러고 보면 집과 비슷한 말은 건축이 아니라 건축물이니까, ‘건축디자인’은 ‘건축물디자인’으로 바꿔야겠지요. 서울에 있는 건물들을 소개할 때에 ‘서울의 건축’이 아닌 ‘서울의 건축물’이라고 해야겠네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건축물과 건축이란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많이 사용합니다. 그만큼 건축이란 용어가 일상화된 이유일 것입니다.
그렇다고 ‘집’과 ‘건축물’은 같은 용어도 아닙니다. 일상생활에서 건축 혹은 건축물보다 집이란 말을 훨씬 많이 사용합니다. 물론, 건축사 모임에서는 빼고 말입니다. 이를테면 건물을 구입하면 ‘집값이 얼마냐’, ‘건물값이 얼마냐’라고 묻지, ‘건축물값이 얼마냐’라고 묻지 않습니다. 이처럼 일상적인 대화에서 건축 혹은 건축물이란 용어를 쓰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건축사나 건축직 공무원이야 흔히 의뢰인을 건축주라고 하지만, 글쎄요 일반인은 건물주라는 말에 더 익숙하지 않을까요.
건축사인 제가 느끼는 ‘건축’과 ‘집’의 차이를 말해 볼까요. 가장 중요한 차이는 집이란 말은 주로 주택처럼 사람이 자고 먹고 쉬는 등의 일상생활을 하는 건물에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큰 빌딩이나 학교, 미술관 등은 건축물이라고 부르지만, 집이라고 잘 표현하지 않습니다. 보통 집이란 말은 삶의 보금자리라고 할 수 있는 주택에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집에는 가정이란 의미를 포함합니다. 가령 ‘아무개네 집이 요새 편안한가’라는 물음은, 그 건축물이 무사한지 묻는 것이 아닙니다. 그 아무개 가족이 무사하게 잘 지내는지를 묻는 것이지요. 건축 혹은 건축물이란 용어에는 이러한 가정이란 의미는 전혀 없습니다. 때문에 좋은 건축과 좋은 집이란 말에는 대단히 큰 뉘앙스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 때문에 ‘건축은 삶의 보금자리를 만드는 것이다’라는 명제는 잘못된 것이지요. 삶의 보금자리를 가리키는 말은 ‘집’이지, ‘건축’이 아닙니다.
집과 건축이란 용어의 쓰임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제게 많은 의미가 있습니다. 건축설계를 전공으로 선택한 이래로 늘 사용해 온 용어는 건축 그리고 건축물이었습니다. 그리고 건축 분야에서의 화두는 늘 작품이었습니다. 건축설계를 열심히 한다는 것은 좋은 건축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건축설계는 예술활동이라는 것이지요. 그런데 점차 살림살이인 집이 건축작품 또는 예술작품과는 어울리지 않는 다른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예술적 의미의 건축이란 말을 사용하면, ‘좋은 건축’의 이미지는 훌륭한 작품으로서의 건축물을 연상하게 합니다. 세간에 쓰이는 건축가라는 호칭도 예술활동을 하는 작가라는 의미를 건축사에게 부가하여 존칭한 호칭이지요. 저는 구차하게 건축가라는 용어를 사용하자고 주장하고픈 생각이 없습니다. 예술로서의 건축보다는 삶의 보금자리인 집을 디자인하는 제 직업의 중요성을 말하고 싶으니까요.
다시 집이라는 말을 사용해서 ‘좋은 집’이 주는 이미지를 생각해 보지요. 편안하고 행복하게 사는 가족을 연상하게 합니다. 그렇습니다. 집의 설계가 작품보다는 행복한 삶을 담을 수 있는 공간 만들기이면 좋겠습니다. 물론 두 가지 다 만족스럽다면 더욱 좋겠지만요.
건축물을 예술적인 대상으로 여기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건축물을 디자인한 사람을 작가로 불러준 것은 16세기 르네상스 이후부터입니다. 그 이전의 훌륭한 건축물들도 특별히 누가 디자인했는지 남겨놓지 않았습니다. 다른 분야의 예술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항 이후 서구식 건물이 들어서면서부터 건축 디자인에 누구의 작품이라고 명명하기 시작했습니다. 겨우 100년이나 되었을까요.
반면, 집이 등장한 시기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합니다. 동굴 또는 나무 위에 대충 만든 형태라고 하더라도 생활공간으로서의 집은 매우 일찍이 시작되었습니다. 건축사라는 직업이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건축의 역사를 르네상스 이후로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한 집은 인류가 지구에서 생존을 포기하고 사라지는 순간까지 지속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족이 있고 가족이 생활하는 공간이 필요하다면, 건축사의 역할도 계속 필요할 것입니다. 대기업에서 대량으로 생산한 집을 각자의 삶에 맞게 고쳐주는 역할이 될지도 모르지만요. 마치 카센터처럼 말입니다.
누군가 저에게 ‘어떤 디자인을 추구하느냐’고 묻는다면, 저는 망설이지 않고 ‘좋은 건축물’이 아니라 ‘좋은 집’이라고 답할 것입니다. 건축물보다는 집이라는 용어가 주는 느낌이 제가 생각하는 건축 디자인에 더 가깝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다 보니 요즘 들어 의뢰인에게 건축설계는 작품이 아닌 편안하고 생활하기 좋은 집을 만드는 과정이라는 것을 설명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이제는 오히려 의뢰인들이 건축사에게 좋은 작품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의뢰인은 ‘예술을 하자’고 말하고, 정작 건축사는 ‘건축은 예술이 아니다’라고 말하니 참 아이러니하지요. 이것도 앨빈 토플러가 말하는 정보화 사회의 징후가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