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여유
마당과 중정 있는 집_39평
집은 짓는 것이지만, 공간을 창출하는 과정이라고 해도 맞는 말이다. 없던 공간을 만들거나 새로운 공간을 채우는 공간 창출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그동안 몰라서 그리고 경험하지 못해서 누리지 못했던 삶을 오롯이 담아내는 공간을 찾는 것을 말한다. 생각의 마당과 중정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찾아가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글 김동희(건축사사무소 KDDH 소장)
HOUSE NOTE
건물높이 5.90m
공법 경량 목구조
가상대지 400.00㎡(121.00평)
건축면적 126.40㎡(39.33평)
연면적 126.40㎡(39.33평) 다락 추후 협의
구조 중목구조+경량 목구조
외부마감
지붕 - 컬러강판
지붕 - 컬러강판
벽 - 벽돌 (T50 외단열 시스템)
내부마감
벽 - 고급벽지
벽 - 고급벽지
바닥 - 강마루(구정마루)
다락 바닥 - 강화마루(구정마루)
화장실 - 시트+우레탄 방수 위 타일, 편백(천장)
단열재
벽 - R23 글라스울
벽 - R23 글라스울
지붕 - R37 글라스울
실내 문 영림 기성문, 현장 제작, 한식창호(선택)
천창 벨룩스(FS, 533x962)
창호 독일식 시스템창호(삼익산업)
현관문 방화문 + 목재마감
보일러 콘덴싱 기름보일러(경동나비엔)
설계 건축사사무소 KDDH(내진 구조설계+인테리어 포함)
설계참여 손승희, 김현수
총공사비 2억 5000만 원(2020년 기준, 설계비별도)
※ 별도작업(별도비용) 건축+토목 인허가, 정화조, 지하수 개발, 조경, 담장, 데크, 특수조명, 싱크대, 태양 전기패널, 에어컨, CCTV, 기본 기초공사외 지반보강공사, 각종 인입비, 세금
집을 왜 짓는지에 대해 물으면 “살 곳이 없어서 짓는다”라고 답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과거에는 그 말이 맞았겠지만, 지금은 ‘내가 살고’, ‘내가 원하는 집을 짓기 위한 것’이라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증여나 상속 문제로 어쩔 수 없이 건축을 문의하는 예비 건축주가 부쩍 늘었다. 원인은 세금에서 시작했지만, 이 역시 결론은 본인들이 원하는 집을 짓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집’ 아는 만큼 보인다
집은 경제적 여유가 있어야 짓고, 여유 가진 사람이 주인 노릇을 한다. 베풀거나 더욱 욕심내는 것도 여유라는 경계선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제력이 꼭 건축의 가치를 좌우하는 건 아니다. 아는 만큼 보이는 예술작품처럼, 건축도 아는 만큼 자신이 원하는 집을 지을 수 있고 그만한 가치를 얻을 수 있다.
예산 때문에 건축에서 많은 것을 포기하더라고, 인문학적으로 접근하면 새로운 건축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건축에서 얻는 문화·경제·심리적 가치 등은 자신으로부터 생성되는데, 내적 충만감이 없이는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상상의 공간을 멋진 공간으로 현실화하는 건축은 당사자의 노력과 의지가 그만큼 중요하다.
많은 사람이 자신이 생각하는 상상속의 집이 완전하다고 믿고 쉽게 도전하기도 한다. 여기에 예산 범위에 맞추기 위해 주저하지 않고 구조역학관계를 소홀히 하면서 공간 채우기에 열을 올리기도 한다. 어떤 사람은 건축을 단순히 공장 생산물과 같은 것으로 치부하기도 한다.
집을 짓는 건 가족이 사용하는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을 적절하게 조합해 예산에 맞춰 규모를 결정하는 일이지만, 우리가 얻고 싶은 것은 이렇게 단순한 공간이 아니다. 건축은 공간을 비우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인데, 공간 채움에 익숙한 기존 생활 속 논리 구조와 잘 맞아떨어지지 않는 것도 당연하다. ‘삶을 즐기자~’라고 노래를 불러도 즐길 만한 공간이 없다면 무슨 소용인가. 어쩌면 쓸모없어 보이는 공간(무목적성 공간)이 우리에게 더 필요할지 모른다. 그래서 집을 짓기에 앞서 자신이 살고 싶은 공간이 무엇이고, 어떤 공간이 필요한지 진지하게 되물어 볼 필요가 있다.
이상적인 공간이란
마음에 여유를 가지고 편히 가라앉힐 수 있는 공간, 흩어진 삶을 보듬고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공간. 이러한 공간을 갖춰야 살만한 집이라 할 수 있다.
이 집은 마당을 바라보고 앉을 수 있는 툇마루, 그늘이 드리운 마당을 볼 수 있는 공간이 그러한 역할을 한다. 중정은 인위적인 공간이지만, 사람과 자연이 접점을 이루고 편안함을 제공하면서 몸과 마음에 쉼을 주는 곳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들은 ‘사람과 자연을 연결하는 장치’, ‘자연을 이끌어 들이는 장치’, ‘위요감을 주는 느낌의 공간’으로 주거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줄 것이다.
내부는 거실에서 남향으로 난 마당을 보면서 뒤편으로 중정도 볼 수 있는 열린 구조라 탁 트인 확장감과 공간감을 형성한다. 각 실은 필요에 따라 방과 방, 방과 거실, 방과 중정을 연결해 생활의 활력소를 주는 다양한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주방에 딸린 다용도실은 주차장과 가깝게 배치하고 주차장과 함께 중정을 형성하면서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중정은 작지만, 사랑방 툇마루에 앉아 아기자기하게 심은 가족 나무가 자라는 것을 보며, 풍요로운 삶을 기대할 수 있는 곳이다.
이 집의 소소한 만족감은 바쁜 현대인에게 충만한 여유를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