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시공사 대표 2인이 보는 현장 트렌드 
슬기로운 집콕...맞춤 공간으로 변화
코로나 시대는 ‘언택트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인 환경에서는 공동주택보다는 단독주택을 선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재택근무 등으로 집에만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주택의 공간 활용이나 인테리어 등 리모델링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도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단독주택과 리모델링의 급증으로 인해 목재가격이 급등했고 이는 현재 진행형이다. 우리나라 역시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이는 코로나가 종식될 때까지는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나라마다 주거형태나 문화가 다르고 생활양식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같을 수는 없지만 우리나라도 인구구조의 변화와 세대수 증가에 따라서 서서히 단독주택 형태가 보편화될 수 있을 것 같다. 가족 구성원 각자의 생활공간과 취미공간이 많아질 듯하고, 특히 집콕 문화가 형성이 되면 더욱 더 그러한 현상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에 자기 주택이 있으면서 근거리에 주말주택을 원하는 경우에는 소형주택 수요가 증가할 것이고, 또한 캠핑문화가 발전하면서 이동식 소형 공간도 발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가 주택으로서 단독주택 생활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공간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서 중대형 주택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슬기로운 집콕 생활을 하기 위해 주방이 부각되고 있고, 사무실용으로 겸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요구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코로나 이후에도 지속돼 새로운 문화로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용진(더존하우징 대표이사)
더존하우징은 대한민국 단독주택 시공 1위 기업으로 설계부터 시공, 사후관리까지 전문화된 부서조직과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2018년 고용노동부장관상 수상 등 지역의 우수한 건축물 및 우수 경관 주택으로 다수 선정됐다.
1644-3696 www.dujon.co.kr



시공사 대표 2인이 보는 현장 트렌드 
단독주택 수요 증가 공간별 개성 뚜렷
코로나19로 인해 경제, 사회적인 이슈가 계속되고 있다. 집은 이제 오래 전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공간에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니즈가 더욱 강해지고 있는 추세였지만 더 나아가 집에 대한 더욱 다양한 기능들을 요구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택근무의 증가로 오피스와 주거를 통합하는 공간,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취미생활 등을 해소할 수 있는 공간을 원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환기장치와 같이 건강에 관련한 기기 장치 및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팜과 같은 집 안 속 자급자족할 수 있는 시설 등에 대한 시장도 확대될 것이다.
예전의 전원주택이나 단독주택은 은퇴 후 도시를 벗어나 자연을 즐기며 여유를 즐기고자 하는 이들이 많았다. 그래서 대형 평수의 주택이 주로 지어졌지만 점점 삶에 대한 여유는 즐기면서도 합리적이고 실속 있는 소비를 하는 이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단독주택은 지속적으로 다운사이징 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주택의 소형화가 아닌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춘 개성들이 짙어지고 있다. 그 변화는 계속될 것이다. 대가족에서 핵가족화 되던 가족구성원들이 다시 세대를 합친 합거 주택에 대한 수요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들어서는 전세금을 가지고 단독주택을 지어 볼 계획을 세워보려는 분들의 문의도 늘고 있다.
그리고 코로나 이전에도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한 단독주택에서는 홈시어터룸이나 운동실 같은 취미실로 사용 가능한 알파룸에 공간을 할애하기도 했지만, 코로나 이후 조금 더 목적성이 짙은 개인 공간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앞으로 그러한 경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공강민(한다움건설 대표이사)
한다움건설은 중목구조와 경량목구조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2016년 6월 설립했고, 2017년 ‘갤럭시하임’, ‘포러스 홈’ 중목구조 브랜드 런칭 및 업계 최초 간편견적 시스템 특허를 출원했다. 2020년 중소기업경영혁신대회에서 주택업계 최초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21년 04월 특집 4] 시공사 대표 2인이 보는 현장 트렌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