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실내외 공간 유연하게
연결한 커브가 있는 집
사람들은 흔히 자신만의 공간을 꿈꾼다. 누구나 집을 불편한 공간으로 두고 싶은 사람은 없고, 온전히 나를 들여다보고 몸을 누일 수 있는 아늑한 거처를 바라는 게 보통이다. 건축가들은 그런 보통의 바람에 부응해 집을 설계한다.

김동희(건축사사무소 KDDH 소장)

HOUSE NOTE
가상대지 330.77㎡(100.06평)
건축면적 141.38㎡(42.77평)
건폐율 42.7%
연면적
234.59㎡(70.96평)
1층 114.00㎡(34.48평)
2층 120.59㎡(36.48평)
용적률 70.9%
설계 건축사사무소 KDDH www.kddh.kr
자궁은 상념 없이 오롯이 나일 수 있었던 최초의 공간이다. 무덤은 모든 것을 내려놓고 맞이하는 최후의 공간이다. 인간이 태어나고 생을 마감할 때의 공간은 ‘평수’라는 개념이 무의미하다. 좁고 어둠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상통한다. 그 공간이 우리가 꿈꾸는 안락함과 가장 닮아있을지도 모른다. 실제 내가 살아가는 동안 머무는 공간은 그렇게 좁지 않겠지만, ‘대문을 통해 들어가는 행위 자체가 최초와 최후의 안락함으로 향하는 의식처럼 작용한다면 어떨까’라는 발상에서 스케치를 시작했다. ‘커브가 있는 집’은 사회적 공간인 외부에서, 사적인 공간인 내부로 들어갈 때 인간이 느끼는 안락함을 공간으로 연출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 주택은 본채와 별채가 담으로 이어져 외부에서 보면 한 건물로 보이는 ‘ㅁ’자 구조다. 진입로 입구는 별채와 창고 사이에 있으며, 대문을 대신하는 아치형 개구부는 자궁으로의 회귀를 연상케 한다. 상부 유리블록으로 들어오는 세 줄기 빛을 따라 잔디 마당으로 진입하면, 마당을 감싸 안은 건물이 나온다. 마당은 외부에 열린 장소지만, 아무나 드나들 수 없게 만든 연출 공간이다.



마당에 부속된 별채는 손님을 맞이하는 사랑방과 주방으로 구성했다. 별채 2층은 작업실 겸 서재로 계획하고 주요 공간들과 독립된 구조로 만들어 주인이 방해 없이 조용한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했다. 주차장 옆엔 창고를 설치해 부족한 수납공간을 더했다.

본채 현관으로 들어가면 우측에 거실, 좌측에 주방이 있다. 열린 공간인 거실은 단차를 주어 안으로 들어갈수록 점점 내려가게 함으로써 포근하고 아늑한 느낌을 제공한다. 거실에 낸 큰 통창은 개방성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마당을 관찰할 수 있어 컨트롤이 가능한 공간이라는 콘셉트를 가지게 했다. 시선이 열려있지만, 별채와 차고가 외부 시선을 막아 프라이버시에 대한 문제도 해결했다. 넓게 계획한 주방 한편에 다용도실이 자리 잡고 있는데, 외부로도 동선을 연결해 이동의 편리함을 한 번 더 신경 썼다.




1층 계단실 하부엔 3번째 계단 챌판을 길게 빼 책상 역할을 대신하게 했다. 공간 이용을 위해 계단 하부에 가구를 넣거나 창고로 이용하지만, 그러할 경우 막히고 답답하게 보이는 것을 해소하고 싶었다.

2층 거실은 밖을 내다보며 빛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통창 앞에는 별채와 이어지는 베란다를 배치해 편리한 이동과 시원한 조망권을 확보했다. 안방은 드레스룸과 화장실을 포함하고 방 1에는 안에서 베란다를 볼 수 있게 했다. 방 2는 다소 좁은 탓에 다락을 넣고 하늘을 감상하도록 천창을 설치했다. 라운드로 이어진 복도를 지나면 베란다로 연결된다. 베란다는 한눈에 마당과 집 그리고 외부를 볼 수 있는 야외 공간이다. 이러한 공간이 있다는 건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다. 베란다에선 별채 위 작업실과 연결되며, 작업실에서 외부를 거쳐 다시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있게 동선을 연결했다.

집 내부와 외부 곳곳에 표현한 부드러운 곡선은 건물에 갇혀있는 느낌이 아닌, 밖과 안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는 유동적인 면을 빗대어 보여준다. 단절과 차단이 아닌 프라이버시는 지키되, 바람과 빛은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담을 영롱쌓기한 것도 그 이유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TINY HOUSE DESIGN] 실내외 공간 유연하게 연결한 커브가 있는 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