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어내고 잘라낸 쉬어가는 28평 집
현대인은 보편화하고 편의성만 강조한 아파트 공간에 자기의 삶을 맞추고 산다. 기성화 되어버린 주거 공간은 개성을 살려주지 못해 삶이 지루해지기도 한다. 이번 호 설계 키워드는 ‘쉼’이다. 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으면서 나의 삶에 더욱 충실하도록 공간을 구성했다.
글 김아름(건축사사무소 KDDH 소장)
HOUSE NOTE
대지면적 922㎡(278.91평)
건축면적 93.51㎡(28.29평)
연면적
93.51㎡(28.29평)
1층 78.81㎡(23.84평)
별채 14.7㎡(4.45평)
건폐율 11.13%(법정 20%)
용적률 11.13%(법정 100%)
설계 건축사사무소 KDDH (인테리어 포함 설계 가능) www.kddh.kr
똑같은 공간에 성향이 다른 삶을 모두 충족시킬 수 없다. 차를 즐기면 독립된 다실이 필요하고, 요리를 즐기면 넓은 주방이 필요하고, 야외 활동을 좋아하면 마당이 필요하다. 기성화된 주거 공간에 살다 보면 이런 문제들을 맞닥뜨리지만, 공간 변형이 어려워 애써 무시하고 공간에 적응하게 된다. 이렇게 특정 공간에 익숙해진 삶이 길어지면, 설계할 때 자신에게 어울리는 공간을 찾지 못하고 이런저런 공간을 억지로 끼워 넣게 된다. 설계한다는 건 익숙한 공간을 찾는 과정이 아니다.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나의 공간을 찾는 과정이다.
혼자 또는 부부만 거주하기로 가정한 ‘쉬어가는 집’은 최소 주택이다. 면적 크기가 아닌, 필요한 공간을 말한다. 설계는 꼭 필요한 최소 공간만 간추리고 불필요한 공간을 지우는 것에서 시작했다. 버리지 못해 가지고 있던 것들을 하나씩 덜다 보면 남아있는 것들이 진정한 나를 나타내는 것들이 아닐까. 그래서 공간을 더해가는 것도 좋지만, 덜어내는 것에서 필요한 공간을 찾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이다.
가장 먼저 덜어낸 건 방이다. 굳이 언제 방문할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투룸이나 쓰리룸으로 계획할 필요 없다. 충분히 쉴 수 있는 방 한 개면 충분하다. 왁자지껄 TV소리가 울려 퍼지는 거실이 아닌 휴식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의 거실은 거실의 개념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거실보다는 넓은 복도 개념으로 주방과 방, 화장실을 연결하는 기능에 중점 뒀다. 거실은 별채 형태로 조용한 독립형으로 마련하고 본채 주방 앞에는 툇마루를 배치해 사색의 공간을 형성했다.
거실을 쉬는 공간이라고 본다면 다락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넓은 계단참에 비스듬히 누워 책을 보고 쉴 수 있도록 공간을 넓혔다. 다락도 또 다른 거실로 볼 수 있다. 다락에 낸 큰 창을 통해 근경과 원경을 끌어들여 조금 특별한 휴식 공간을 제공해서다. 비록 박공모양의 천장이 낮지만, 쉼과 취미생활을 즐기는 데는 손색이 없다. 화장실도 쉼 개념을 적용했다. 우선 효율성을 고려해 세 부분으로 분리하고 건식 세면대와 변기 공간을 최소로 줄인 뒤 지친 심신을 위로해 줄 욕조를 넓게 확보한 것이다.
일상생활 공간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자주 쓰이지 않는 물건과 계절 물건은 별채 화장실 상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해 한곳에 보관하도록 했다. 또, 손님이 머무는 공간이기도 한 별채는 개인 공간에 외부인이 머물지 않도록 분리하면서 더욱 편안하고 아늑한 나만의 공간을 완성해 준다.
ⓒ 월간 전원주택라이프 & gpl.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