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된 부모님 집
리모델링한 정읍 고향집
리모델링한 정읍 고향집
사람이 살지 않는 집은 수년 만에 폐가로 전락한다.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빈집이 된 이 주택도 하루가 다르게 낡아갔다. 쓰러져 가는 주택을 다시 살려보자고 먼저 나선 건 아내였다.
글 사진 백홍기 기자
취재협조 더하우스 인테리어
HOUSE NOTE
DATA
DATA
위치 전북 정읍시 입암면
건축구조 중량 목구조
건축규모 단층 주택
대지면적 1200.00㎡(362.99평)
거실/방 마감재
벽 - 실크벽지
바닥 - LG 강그린
천장 - 실크벽지
주방/식당 마감재
벽 - 실크벽지, 100×300 유광타일
바닥 - 600×600 포쉐린타일
천장 - 실크벽지
위생공간 마감재
벽 - 600×600 포쉐린타일
바닥 - 600×600 포쉐린타일
천장 - 미송루바
현관 마감재
벽 - 300×600 타일
바닥 - 300×300 타일
천장 - 실크벽지
외부 마감 파벽돌, 수성페인트
추가 단열
내단열 - 데밀렉 코리아 수성연질폼
내단열 - 데밀렉 코리아 수성연질폼
창호 LG하우시스
공사비용 3.3㎡당 250만 원
두 기둥을 중심으로 작은방 두 칸으로 나뉘고 오른쪽 기둥 바깥은 거실로 사용하던 툇마루가 있었다. 방과 툇마루를 나눈 벽을 허물어 넓은 거실을 확보하고 천장을 없애 공간감을 부여했다.
밝은 마감재를 사용하고 반사 조명을 배치해 빛이 은은하게 퍼지게 했다.
오브제로 활용한 낡고 투박한 뼈대는 인테리어를 조화롭게 구성하고 건축주의 추억을 소환해 이 주택만의 가치를 보여준다.
정오부터 흩날린 눈발이 마을을 하얗게 덮었다. 주택은 마을 끝 막다른 골목 안쪽에 있다. 골목 끝에 다다르자 파쇄석을 깐 넓은 마당 뒤로 옛 고택의 모습을 간직한 작은 단층 주택이 반긴다. 1980년대 초에 건축한 이 주택은 건축주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다.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난 뒤 틈틈이 관리해왔던 주택을 지난해 부부가 리모델링으로 새롭게 탈바꿈했다.
“집터가 넓고 조망이 좋아 주변에서 팔라는 권유도 자주 받았어요. 그런데 팔 생각은 없었어요. 아내도 부모님이 계실 때부터 향후 집이 비면 우리가 내려와서 살자고 했었거든요. 한동안 주말농장처럼 이용하다가 빈집으로 놔두지 말고 우리가 들어와 사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시골 생활을 좋아하는 아내가 더 적극적이기도 했고요.”
처음엔 건물이 낡아 신축을 고려했었다. 비용이 만만치 않아 리모델링으로 방향을 틀었지만, 문제는 건물 상태가 어떤지 모른다는 것이었다.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했다.
주방 입구에 슬라이드 문을 설치해 거실과 영역을 구분했다. 기존 주택에서 문 뒤쪽이 화장실 자리였다.
기존 주택 주방 앞에 화장실과 창고가 있었다. 세 공간을 터 일체형 공간으로 넓힌 뒤 뒤쪽에 세탁실과 팬트리, 화장실을 배치하고 정면에 주방을 구성했다.
안방은 수면에 필요한 최소 공간을 확보하고 건식·습식으로 나눈 욕실과 드레스룸을 갖춰 마스터룸 개념으로 구성했다.
기존 주택 주방 앞에 화장실과 창고가 있었다. 세 공간을 터 일체형 공간으로 넓힌 뒤 뒤쪽에 세탁실과 팬트리, 화장실을 배치하고 정면에 주방을 구성했다.
안방은 수면에 필요한 최소 공간을 확보하고 건식·습식으로 나눈 욕실과 드레스룸을 갖춰 마스터룸 개념으로 구성했다.
깔끔하게 모던 스타일로 계획한 안방 전용 욕실.
골조가 튼튼하면 리모델링 추천
오래된 시골집을 리모델링 하려면, 먼저 살펴야 할 게 있다. 주요 골조 부분이 비에 젖어 썩은 곳은 없는지, 골조와 골조 이음새가 벌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처마와 지붕에서 비가 새는 곳은 없는지 살펴야 한다. 설계와 시공을 맡은 더하우스 인테리어 한성욱 실장이 당시 주택의 상황을 설명했다.
“농가주택은 전문 한옥 기술자가 시공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기둥이 있어야 할 자리에 기둥이 없거나 각 부재 연결이 부적절해 리모델링할 때 구조재에 의한 변수가 많이 발생해요. 그런데 이 주택은 구조체 연결이나 상태가 대부분 양호했어요. 결로 흔적은 없었어요. 내부 습기에 의해 벽체 하부와 바닥에 곰팡이가 약간 피었지만 철거할 부분이라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어요. 컬러강판으로 올린 지붕도 누수 없이 깨끗해 기존 지붕재를 재활용하기로 했어요.”
평면도는 건축주 부부에 맞춰 새롭게 계획했다. 기존 주택은 크고 작은방 4개와 주방, 화장실, 창고로 구성되어 있었다. 툇마루는 정면을 새시 sash로 막아 거실처럼 이용했었다. 여러 개로 나뉜 실을 더하고 불필요한 공간을 덜어내 공간 다이어트에 들어갔다. 우선 방은 안방과 서재만 두기로 했다. 대학에 들어간 자녀들이나 지인들이 잠시 머물 공간을 위해 게스트룸을 별도로 마련하는 건 비효율적이라 여겼다. 서재에 침구만 깔면 게스트룸으로 사용하는 데 부족함이 없어서다. 공간을 더하고 덜어내 확보한 면적에서 가장 넓은 공간으로 배치한 건 주 생활공간으로 삼은 거실이다. 공간 배치도 거실 중심으로 구성했다. 현관에 들어서면 바로 거실과 마주하고 좌우로 방과 주방이 나열된 구조다. 거실 왼쪽에 있는 안방은 편의성을 고려해 욕실과 드레스룸을 확보하는 데 공간을 할애하고 수면 공간을 최소로 했다. 거실과 마주하는 주방은 기존 주방 앞에 있던 방과 창고를 허물어 면적을 넓히고 넉넉한 팬트리를 마련해 수납까지 해결했다.
짙게 물든 기둥과 보가 공간에 무게감을 준다.
안방 뒤에 마련한 서재 겸 게스트룸.
안방 뒤에 마련한 서재 겸 게스트룸.
오브제로 활용한 낡은 기둥과 보
이 주택은 낡은 것과 새로운 것들의 절묘한 조화로움이 시선을 끈다. 전체 밝은 톤으로 마감하고 현대인의 생활 가구로 꾸민 거실에 거칠고 둔탁해 보이는 대들보와 기둥이 버티고 있는 게 바로 그것이다. 40년 세월을 견뎌온 만큼 곳곳이 긁히고 메운 흔적들로 가득한 기둥과 보는 이질적이지 않고 오히려 서로 잘 어우러진다. 공간에 어떤 이야기를 담느냐에 따라 공간의 성격과 용도를 정의하게 되는데, 이 주택은 현재와 과거의 이야기를 조화롭게 연결함으로써 공간이 더욱 풍성해졌다.
한 실장은 “건물 구조와 형태가 내부로 드러나는 것만으로 디자인 요소로 충분하다”며, “특히, 오랜 시간이 쌓인 구조재는 그것 하나만으로도 좋은 디자인적 요소가 된다”고 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이 주택도 낡은 구조체를 감추지 않고 과감하게 드러냈다. 천장도 박공 형태를 드러내 주택 본연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더욱 확고히 했다.
리모델링에 의한 만족도는 부부 모두 높다고 한다. 남편은 생각보다 공간도 넉넉하고 리모델링만의 감성과 어린 시절 추억까지 소환함으로써 신축으로는 낼 수 없는 효과까지 얻었다고 한다. 아내는 텃밭을 가꾸고 집 안을 꾸미는 재미에 푹 빠져 매일매일 즐거운 일상을 보내게 됐다고 한다. 게다가 예산 또한, 신축의 절반도 미치지 않았다. 주택 리모델링에 8천만 원, 마당에 조명을 설치하고 파쇄석을 깔고 담을 두르는 데 1천만 원 들여 총 9천만 원에 완성했다.
넓은 처마는 비와 눈이 오는 날에 더욱 운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주택 뒤편에 텃밭을 일구다 잠시 앉아 쉴 수 있도록 쪽마루를 만들었다.
하얗게 가려진 텃밭은 봄부터 가을까지 부부의 일상을 풍요롭게 해준다.
시공 전 주택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