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조경공사는 어느 정도 해야 할까?
조경하면 일반적으로 나무와 잔디를 심는 게 전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조경공사 범위는 생각보다 넓다. 집 본채와 인입 공사를 제외한 나머지가 조경공사에 포함된다. 대표적으로 데크공사, 담장공사, 외부 수도공사, 조경수 식수공사 등이다. 비용도 적지 않게 소요된다. 예산이 부족하다고 안 할 수도 없다.

주택 사용을 승인받으려면 도면에 정해진 조경의 기준을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준공조경이 필요 없는 곳도 있다. 그러나 택지라면 대부분 최소한의 조경을 갖춰야 한다.

윤세상 (주)하우징팩토리 대표 1670-6840 www.housingfactory.co.kr
거친 흙이 드러난 맨바닥 위에 덩그러니 세워진 집은 초라해 보인다. 사람으로 치면 한껏 멋을 내고 누더기 옷을 걸친 것과 다름없다. 집을 더욱 돋보이게 꾸며주는 조경은 휴식처와 자연의 풍요까지 제공한다. 그런데 대부분 건축 예산을 집 짓는데 맞추고, 조경은 살면서 조금씩 채워간다는 생각을 한다.

일단 준공을 위한 조건을 갖추고 보자는 것이다. 집을 보다 아름답고 풍요롭게 그리고 활기찬 공간으로 만드는 게 조경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아쉽기만 하다. 처음부터 조경도 건축 예산에 포함해 어떻게 꾸밀 것인가 고민해봐야 한다.

집을 짓는 것만큼 복잡하고 섬세한 작업이 필요한 조경은 분명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지만, 자신의 취향에 맞게 직접 꾸며보는 것도 좋다. 그렇다면 조경공사에 어떠한 공정들이 있을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잔디일 것이다. 그리고 준공에 필요한 조경의 수량과 생울타리(산울타리), 방부목을 사용해 구획을 나누는 것에 관하여 살펴본다.

[사진 1] 떼로 시공한 마당
[사진 2] 롤잔디로 시공한 마당

마당에 잔디를 까는 것은 비교적 쉬운 공사다. [사진 1,2] [표 1]
그렇다고 잔디를 그냥 깔기만 하면 안 된다. 방법은 쉽지만 따져볼 게 있어서다. 잔디는 마당을 푸르게 만들지만, 비가 올 때 마당에 물이 고이지 않게 배출하는 역할도 해야 한다. 그래서 잔디를 심기 전에 먼저 빗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경사를 주고 땅 높이에 맞춰 우수맨홀을 연결해야 한다. 자연배수 지역이라면 도로 쪽으로 경사를 주어 물이 흐르도록 해야 한다. 그다음 빗물이 고이지 않고 잘 빠지도록 바닥에 마사토를 깔고 잔디를 심으면 된다. 이러한 작업 없이 잔디를 깔면 물 빠짐이 안 좋아 마당에 물이 고여 이동이 불편하고 잔디도 쉽게 죽는다.

잔디는 크게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로 나뉜다. 한지형 잔디는 스포츠용 잔디로 주로 골프장, 축구장, 야구장 같은 곳에 많이 사용한다. 난지형 잔디는 들잔디, 금잔디 등 국내에서 자생하는 종류로 주택 조경에 널리 사용하는 종류다. 물론 한지형 잔디를 주택 조경에 사용하기도 한다.

한지형 잔디의 생장 온도는 15~25°로 서늘한 온도에서 잘 자란다. 5°이상이면 초록을 유지하기 때문에 제주도에선 거의 4계절 내내 푸른 들판을 유지할 수 있다. 보기에 좋고 밟았을 때 느낌도 좋으며 재생력이 뛰어나 주로 골프장 잔디로 불린다. 단점은 생장 속도가 빨라 한 달에 두 번 정도는 잔디를 깎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울 땐 잘 자라지 못하고 병충해에 약하다. 동물 배설물이 있는 곳은 쉽게 죽기 때문에 바로 치워야 하고 밟히는 것에 약하다.

반면, 난지형 잔디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종이기 때문에 더위와 추위에 잘 견디고 병충해에 강하다. 공해에도 잘 견디며 밟혀도 잘 죽지 않는다. 하지만, 재생력이 약해 한 번 죽으면 되살리기 어렵고 한지형과 비교하면 초록을 유지하는 기간이 짧다.

상표는 월별로 잔디의 색을 나타낸 것이다. 표를 보면 한국 잔디류인 난지형 잔디는 초록을 띠는 시기가 5월부터 10월까지이고 외래종인 한지형 잔디는 한겨울 빼고 3월부터 12월까지 초록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지형 잔디가 오래도록 푸르지만, 관리하기 힘들다는 것을 명심하자.

잔디를 까는 방법도 평떼, 줄떼, 롤잔디로 구분한다. 평떼는 사각형의 잔디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심는 방식이고, 줄떼는 사각형 잔디를 여러 개로 떼어내 약 30㎝ 간격으로 한 줄로 심는 방법이다. 롤잔디는 카펫을 까는 것처럼 잔디를 심는 방법이며 빈틈없이 깔 때 이용한다. 줄떼는 주로 비탈면에 이용하고 주택 조경에는 평떼나 롤잔디를 이용한다.

사진처럼 평떼와 줄떼는 듬성듬성 심고 잔디가 자라면서 퍼져가도록 한다. 전체적으로 잔디가 고르게 퍼지려면 여러 해가 지나야 한다. 처음부터 마당 전체를 잔디로 덮으려면 롤잔디로 시공하면 된다. 비용은 줄떼가 가장 저렴하지만, 마당이 넓지 않다면 비용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표 1] 잔디 색상표

마당 관리가 불편하면 [사진 3]
콘크리트, 타일, 석재 등으로 마감해도 좋다
마당을 석재로 시공할 때는 외부 전용 타일로 시공해야 한다. 일반 타일로 마감하면 겨울에 얼다가 봄에 녹는 과정에서 타일이 깨지거나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외부 전용 타일로 시공해야 여러 해를 거쳐도 평평한 면을 유지하게 된다. 콘크리트로 기초를 만들고 마감하는 방식을 추천한다. 삭막한 분위기 때문에 콘크리트만 사용하는 게 싫다면 잔디블록을 이용하거나 포인트를 주는 방법도 좋다. [사진 4]

[사진 3] 석재타일로 시공한 마당
[사진 4] 잔디로 포인트를 넣은 주차장 바닥

설계도면에는 수량집계표가 있다. [표 2]
표를 보면 조경에 필요한 수목과 수량에 대해 명시돼 있다. 표에 따라 조경을 해야만 사용 승인이 난다. 품종까지 똑같을 필요는 없다. 수량만 맞추면 된다.

최근 외부 난간을 생울타리로 하는 경우가 많다. [사진 5]
주로 쥐똥나무나 측백나무를 사용하는데 보기에 좋을뿐더러 외부와 단절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경계를 표시해서다. 그러나 또 다른 이유로 나무를 이용해 생울타리를 하기도 한다. 투시형 난간만을 허용하는 택지지구에서 일반 담장 대신 나무로 울타리를 만드는 것이다.

생울타리로 외부 담장을 만들 때 한 줄로 하면 뿌리 부분에 틈이 생겨 고양이나 강아지의 이동을 막을 수 없다. 두 줄이나 세 줄로 하면 틈이 촘촘해 애완동물의 가출을 막을 수 있고, 사람도 지나가기 힘들어 담장 역할을 톡톡히 한다. 단점은 보기 좋은 담장을 유지하려면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사진 5] 생울타리로 만든 담장

복잡한 마당을 간결하게 정리해보자 [사진 6]
다양한 식재를 심고 한편에 작은 텃밭도 마련해 가꾸기 마련이다. 이럴 때 벽돌이나 방부목을 활용해 잔디와 나무를 심은 공간과 텃밭 구획을 나눠 깔끔하게 분리하면 보기에 좋고 관리하기에도 좋다. 벽돌이나 방부목으로 구획을 만들 땐 서로 연결해서 만드는 게 좋다.

벽돌은 규격화된 제품이라 그대로 사용하면 되지만, 나무는 정해져 있는 제품이 아니므로 용도에 따라 주문하면 된다. 요컨대 나무 한 면에 반원으로 홈을 파달라고 주문하면 서로 연결하기 쉽고 결속력이 강해 토압도 견딜 정도로 단단하다게 시공할 수 있다.

[사진 6] 방부목을 이용한 구획 정리

비디오폰을 설치할 땐 공사하는 과정에서 [사진 7]
미리 비디오폰 배선을 마당으로 빼놓고 작업해야 한다. 조경용 조명을 설치할 때도 마찬가지다. 비디오폰과 조경용 조명을 계획하지 않았다고 해도 배선을 미리 준비해두는 게 좋다. 계획이 변경되어 비디오폰이나 조명을 설치하려고 하면 일이 커지기 때문이다. 공사 중일 때 배선을 빼놓는 건 쉬운 일이니 미리 마당에 묻어두고 위치만 기억해두자.

[사진 7] 대문설치

마당에 단 차가 있다면 조경석을 시공하는 게 좋다. [사진 8]
경사면이 낮아도 흙이 쓸려가거나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경석을 이용해 경사를 보강하면 외관상으로도 보기에 좋고 계단을 형성해 이동도 편리해진다. 또 마당에 높낮이가 다른 공간을 형성해 활용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사진 8] 낮은 단 차가 있는 마당에 설치한 조경석

외부에 개수대를 설치하면 외부 활동이 한결 수월하다. [사진 9]
넓은 데크나 마당에서 캠핑 분위기를 내며 바비큐 파티를 즐기고 난 뒤에 설거지거리나 불판을 닦기 위해 집 안으로 들고 이동하는 건 불편하다. 이때 데크나 마당 한편에 조리와 씻는 기능을 갖춘 개수대를 설치하면 한결 수월하다. 다만 겨울에 외부 개수대 수전이 동파하지 않도록 별도로 관리해야 한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원주택 짓기】 집짓기 시작과 끝 10 ▶조경공사는 어느 정도 해야 할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