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많은 사람이 복잡한 도심을 탈출하여 물 맑고 공기 좋은 곳에 전원주택을 짓고 생활하기를 갈망한다. 정원을 전원주택의 화룡점정(畵龍點睛)이라고 한다.

즉 정원을 만듦으로써 비로소 꿈에 그리던 전원주택이 완성된다는 말이다. 한편으론 정원은 전원생활의 참다운 출발점이기도 하다. 정원 만들기에는 쉼표는 있을지 몰라도 마침표는 없다.

전원 속 풍경이 시시때때로 변하듯이 거기에 맞추어 정원에 손길을 주다 보면 전원생활이 훨씬 즐겁기 때문이다.

정원 만들기는 도심 속에서 갈망하던 꿈을 현실에 재현하는 과정이다. 꿈꾸던 정원은 분명 아름답고 이국적인 식물로 가득 찬 녹색의 낙원일 것이다.

그런데 현실 속의 정원은 돈과 시간이 많이 드는 대단한 작업이다.

하지만 스스로 준비하고 기꺼이 손에 흙을 묻힐 자세가 돼 있다면, 큰돈을 들이지 않고도 얼마든지 아름답고 독특한 자신만의 정원을 만들 수 있다.

정원사는 식물 지휘자
정원을 만드는 일보다 중요한 건 관리를 잘하는 일이다. 또한 처음부터 기본에 충실하지 않으면, 겉만 그럴싸하게 보일 뿐 해가 갈수록 빛을 잃어 간다.

정원을 만드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는 빛과 흙 그리고 물이다. 정원이 존재하려면 무엇보다 빛이 필요하다.

초록식물이 자라고 꽃을 피우고, 결실을 맺게 하려면 빛을 잘 이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곰곰이 생각하면 정원 만들기는 아름답고 풍요로운 초록빛을 가꾸는 일과 같다.

빛은 정원에 조화와 균형을 잡는 기준 역할을 한다. 우리가 나뭇가지를 솎아 주는 것은, 나무를 대신해 빛이 전체에 골고루 닿도록 하는 일이다.

숲 속에서는 높은 곳에서 빛을 가장 먼저 받는 식물과 중간층을 차지하는 식물, 그리고 맨 밑에 깔려 있는 식물이 저마다의 자리에서 햇빛을 골고루 나누어 가지면서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정원도 햇빛을 골고루 받도록 층을 적절히 연속시켜 주어야 한다.

먼저 양지바른 쪽에 크게 자라는 감나무나 소나무를 심으면 그림자가 서서히 드리워진다. 여기에 연속해서 몇 그루의 유실수를 심으면 정원에 볼륨감이 생긴다.

그렇게 하면 밝은 곳과 어두운 곳, 가려지는 곳과 열린 곳들로 구분된다.

즉 하루 6시간 이상 햇빛을 받는 밝은 영역과 하루종일 어두운 영역, 그리고 반그늘이 지거나 부분적으로 드리우는 중간 영역이 만들어진다.

식물은 양지식물, 반 음지식물 그리고 음지식물로 나뉜다. 밝은 곳에는 소나무와 자작나무를 비롯한 양지식물을 심는다.

일년생 초화류나 농작물은 대부분 양지식물에 속한다. 하루종일 그늘이 드리우는 곳에는 주목이나 사철나무, 맥문동 같은 음지식물을 심는 것이 좋다.

반 음지식물에 속하는 단풍나무나 산철쭉, 진달래, 조릿대, 임파첸스((Impatiens), 옥잠화, 비비추 등은 비교적 활용도가 높다.

정원을 만들기는 햇볕을 즐기고 자연과 하나가 되는 과정이다. ‘어떤 나무를 심을 것인가’ 하는 문제에만 매달리다 보면 소중한 것들을 놓칠 수 있다.

식물들은 저마다의 자리가 있기에 그것을 찾아내는 일이 더 중요하다. 각각의 식물들이 잘 어울려 자라도록 지휘하는 것이 곧 정원사의 역할이 아닐까?

조경계에서는 정원의 식재기법을 뒷동산의 숲에서 배우라고 강조한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쳤던 작은 뒷동산에서 아름다운 정원 만들기가 시작된다는 충고다. 정말로 그러할까?

오늘부터라도 뒷동산을 거닐며 숲을 조금씩 들여다보면서 음미해 보기 바란다. 그러면 그 속에서 분명 우리가 만들려는 정원의 원형이 들어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정원을 잘 만들려면, 모든 생명의 근원인 햇볕이 비추는 곳을 향해 자라는 식물처럼 밖으로 나가야 한다.

■ 글 싣는 순서
·스스로 만들어보는 정원이야기 ·정원만들기 준비하기 ·진입로 만들기 ·목재덱(Deck) 만들기 ·목재 휀스 만들기 ·연못 만들기 ·장미정원 만들기 ·바위정원 만들기 ·정원만들기의 수확 ·겨울정원 만들기 ·어린이를 위한 정원 만들기 ·정원예산 짜기

정원 일은 흙에서 시작
흙을 정원의 엔진에 비유하기도 한다. 좋은 정원을 만들려면 좋은 흙이 필요하다. 정원 일에 익숙해지려면, 먼저 흙을 다루는 도구들에 익숙해져야 한다. 골프를 배우려면 골프채를 잘 알아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원 일에 쓰이는 다양한 도구들을 적재적소에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도구는 흙을 파고 옮기는데 필요한 삽이다. 이것 하나면 정원 일의 대부분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런데 삽을 다루는 일은 만만치 않기에, 허리를 다치지 않으려면 기본 자세와 동작을 정확히 익혀야 한다. 서양에서 만든 소형 정원 용구 삼총사는 모종을 심거나 흙을 푸는데 쓰는 모종삽(Trowel), 단단한 흙이나 돌을 파낼 때 쓰는 괭이(Hoe), 흙을 긁거나 모을 때 쓰는 갈퀴(Cultivator)다. 물론 서양 도구들이 세분화되어 편리하다지만, 우리나라의 토양과 토질에 5000년 동안 적응하면서 개선되어 온 호미처럼 다재다능한 농기구도 없을 것이다.

정원에 좋은 흙은 작은 돌멩이 하나 없어 맨발로 밟고 싶을 정도로 촉촉하고 부드러워야 한다. 그런 흙이라면 밟아서 다져지지 않도록 소중히 다루게 된다. 이처럼 흙에 공을 들이는 정원사가 많다.

정원 작업의 기본은 좋은 흙 만들기에서부터 시작된다. 자갈밭에서 잔돌을 골라내고 밭을 갈고 퇴비를 넣어 문전옥답(門前沃畓)으로 바꾸는 작업이다. 정원 일을 시작하려면 흙을 직접 살펴보고 유기물은 충분한지 배수는 잘되는지 흙의 깊이(土深)는 얼마나 되는지 구석구석까지 알아야 한다. 그 후에 좀 더 나은 흙을 만들기 위한 아낌없는 투자를 한다면, 분명 좋은 열매를 얻을 것이다.
물주면서 식물과 대화한다

식물도 사람과 소통을 원한다. 비록 말은 못하지만 정성껏 물을 주다 보면 사람을 향해 웃는 듯한 느낌을 받곤 한다. 그렇기에 “물을 주는 사람이 아프기라도 하면 식물도 시름시름 앓는다”는 이야기도 있지 않은가. 식물과의 대화는, 가까이 다가가 자세히 들여다보면서 흙 속에 손가락을 찔러서 수분이 촉촉한지 느껴보는 것에서부터 이뤄진다.
정원에 물주기는 자연에 맡겨 두는 것이 가장 좋다. 그것이 우리 땅에 가장 적합한 정원이다. 그저 내버려두고 보고 즐기기만 하면 된다. 자생식물(Indigeneous Plants)을 잘 활용한 정원이 돋보이는 이유다. 그러나 우리가 만드는 정원에는 허브식물처럼 새로운 것들이 심겨지기도 한다. 이들은 새로운 환경을 요구하는 만큼 물주기도 새로워야 한다.
이상적인 물주기는 비(雨)다. 비는 오랜 시간동안 온 대지를 골고루 흠뻑 적신다. 반면 생각이 날 때마다 정원 일부분에만 이따금씩 물을 주는 것은 나쁘다. 다시 말하면 이는 불평등한 물주기를 반복하는 격으로, 편애(偏愛)를 받은 식물일수록 어려운 환경조건이 닥치면 해를 입기 쉽다. 정원 물주기를 자동으로 하는 자동관수장치나 물뿌리개는 비를 모방한 제품들이 많다. 비처럼 골고루 뿌리고 부드럽게 대지를 적시게 하려는 의도에서다. 좋은 물뿌리개는 구멍이 미세한 것일수록 좋은데 구멍이 크면 물살이 세져서 땅을 굳게 하기 때문이다.
새로 옮겨 심은 식물은 새 정원이나 주인에게 적응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정원사는 물 주기를 통해 비로소 정원의 일부가 됐음을 알리고 살아 있는 식물에 대한 격려와 찬사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다.

정원을 만드는 몇 가지 요령
정원 공간을 구성할 때는 도면을 그리는 게 첫 번째 요령이다. 커다란 공간을 만들기보다는 작게 나누어 연결하는 것이 좋다. 문과 창문에서 바라보는 풍경을 하나씩 특색 있게 구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둘러싸인 주변 풍경과 정원이 조화를 이루도록 가려야 할 것과 강조해야 할 것이 제대로 돼 있는지 확인하는 일도 대단히 중요하다.

식물을 선정할 때는, 그것이 우리 지역에서 잘 자라는지 직접 확인해야 한다. 정원 울타리 안에는 어느 곳이 밝고 어두운지, 흙이 얼마나 비옥한지, 배수가 잘되는지 일일이 점검해 보아야 한다. 가능하다면 토양 분석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잔디밭의 크기는 잔디를 깎는 데 드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30평 이상이면 수동식보다는 전동식 잔디깎기가 필요하다. 보통 1시간 정도의 정원 일을 계획한다면 10∼20평 이내가 적당하다. 잔디밭은 잘 깎아 주지 않으면 없는 것보다 못하기 때문이다.
정원식물을 고를 때는 꽃보다는 잎을 보고 고르는 것이 좋다. 꽃피는 시기는 한 순간이고 잎을 보는 기간이 더 길다. 따라서 식물 전체의 형태와 색, 그리고 질감을 보고 고르는 것이 좋다. 일년초보다는 숙근초나 관목류를 활용하고 잡초가 자라는 것을 줄이려면 가능한 좁게 심는 것이 유리하다. 田

■ 글 / 이진규 <네이처조경디자인(주) 대표, www.flower-wolf.com>
■ 정리 / 박 일 기자

잔디깎기 선택 요령
∴ 고려사항
- 작업 범위(잔디밭 넓이)
- 잔디깎기 배기량
- 잔디깎기 형식
비자주식 : 잔디깎기를 작업자가 밀어야 한다.
자 주 식 : 잔디깎기가 자동으로 전진하며, 작업자는 따라다니면서 방향 전환만 하면 된다.
- 풀받이 유무 : 작업량 및 작업의 형태에 따라 풀받이가 있는 것 없는 것을 선택한다.
- A/S 가능 제품 : 일부 제품은 A/S용 부품이 없이 완제품만 판매하고 A/S는 신경을 쓰지 않는 제품들이 있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정원가꾸기] 정원의 3요소 빛과 흙 그리고 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