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주택&인테리어 검색결과
-
-
북한산을 품은 구기동 삼대 주택
- 결혼해 가정을 꾸린 아들 부부, 안락한 공간이 필요한 건축주 부부, 연로하신 어머니를 위해 기존 주택을 허물고 새로 지은 주택이다. ‘ㄱ’자 배치를 통해 얇은 켜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각각의 실을 모두 북한산의 서로 다른 풍경을 향해 열려 있게 했다. 창을 통해 바라보이는 북한산의 풍경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해 내부 공간에서의 경험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준다.글 ㈜건축사사무소 서가 | 사진 studio texture on texture※ 기사 하단에 이 주택과 관련된 인터뷰와 영상을 링크시켰습니다. 자세한 사항이 알고 싶으시면 영상을 클릭해 주세요. HOUSE NOTEDATA위치 서울 종로구 구기동지역/지구 제1종 일반주거지역, 자연경관지구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대지면적 236.32㎡(71.48평)건축면적 85.83㎡(25.96평)건폐율 36.32%연면적 296.40㎡(89.66평) 지하 75.71㎡(22.90평) 1층 79.96㎡(24.18평) 2층 76.42㎡(23.11평) 3층 64.31㎡(19.45평)용적률 93.38%주차대수 2대건축비용 7억 원(3.3㎡당 약 530만 원)토목공사유형 콘크리트 옹벽토목공사비용 기조성 완료설계기간 2017년 7월~2018년 1월공사기간 2018년 3월~10월설계 ㈜건축사사무소 서가 02-733-4641 http://designseoga.com시공 ㈜다암종합건설 031-851-2577 골목과 맞은 편 언덕에서 바라본 주택 삼대는 십여 년간 서울시 종로구 구기동에 자리를 잡고 살았다. 기존 주택은 아들에겐 학창시절의 기억이 담긴 공간이고, 부부에겐 주변 자연경관을 즐기며 생활의 안정을 가져다준 공간이다. 이런 가족에게 즐거운 변화가 생겼다. 성장한 아들의 반려자가 생기고, 결혼식을 앞두게 됐다. 가정을 꾸릴 아들 부부, 안락한 공간이 필요한 건축주 부부, 연로하신 어머니를 위해 기존 주택을 허물고 새로운 주택을 짓기로 했다.프로젝트의 진행은 두 세대(건축주 부부와 예비 아들 부부)와 함께 진행했다. 가족 간 서로에 대한 배려가 주택을 풍성하게 만드는 동력으로 작용했다. 가족 공유 공간은 구성원의 의견을 자유롭게 수렴하고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서, 또 개별 공간은 세대별 취향을 반영하면서 계획을 진행했다. 이렇듯 구기동 삼대가 사는 주택은 새로운 가족을 맞이하는 변화 그리고 5년, 10년 뒤에 점차 변해갈 가족의 모습을 그리며 계획했다.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에코렉스 벽 - 황토토담(삼한C1) 데크 - 루나우드 내부마감 천장 - 석고보드 위 지정 도장 벽 - 석고보드 위 지정 도장 바닥 - GENA-NATURAL(이건마루), 포세린 타일 계단실 디딤판 - 오크 집성목 위 투명 래커도장 난간 - 평철 및 환봉 위 지정 도장 단열재 지붕 - 경질 우레탄 보드 외단열 - 경질 우레탄 보드 창호 알루미늄 시스템창호 및 로이 삼중유리(다담창호) 현관문 MD-S233(동방노보펌) 조명 4인치 매립 조명(필룩스) 주방가구 주문 제작 - 무광우레탄 도장 마감(채움가구) 위생기구 이누스, 대림바스 난방기구 가스보일러(경동나비엔) 지하는 체력단련실과 A/V룸, 홈바까지 상황에 맞춰 사용하는 다목적 공간이다. 지하 선큰을 만들어 채광에도 신경 썼을 뿐만 아니라 답답함까지 줄여준다. 변화무쌍한 북한산 풍경을 집 안으로대지는 북한산자락에 위치한다. 북한산 봉우리가 펼쳐지는 경관을 최대한 많은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개별 공간의 구성 및 배치가 가장 중요했다. ‘ㄱ’자로 놓인 건물 배치로 외부 공간은 바깥마당과 안마당으로 나뉜다. 바깥마당은 대가족의 넓은 주차 공간과 진입 공간으로 쓰인다. 그리고 안마당은 거실 및 식당, 주방 등과 연결되는 가족의 휴식 공간이자 반려견의 놀이 공간이다.기존 주택은 겹집으로 넓은 마당이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주택 내부로의 채광이 원활하지 않거나 경관을 가지지 못하는 실들이 발생했다. 이에 ‘ㄱ’자 배치 형식을 통해 얇은 켜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개별 방들을 북한산의 서로 다른 풍경을 향해 열리게 했다. 결과적으로 거실, 주방, 각각의 침실 등에서 창을 통해 바라보는 북한산의 풍경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해 내부 공간에서의 경험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줬다. 안 마당을 품은 1층 거실 주방/식당을 통해서도 안 마당으로 오갈 수 있다. 세대별 프라이버시 확보 삼대 가족에게 필요한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용적을 최대한 활용해야 했다. 현관에 들어서면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과 집 안으로 들어가는 두 개의 입구가 있다. 홈바와 운동실 등의 유희 공간으로 사용하는 지하층은 손님이 방문할 경우 집 안을 통하지 않고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지하층에 두 곳의 선큰을 만들고 한 곳에 데크를 설치해 유희 공간에서 잠시 나와 쉴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다른 한 곳은 도로에 면해 있기에 차폐 식재로 대나무를 심어 시각적 간섭을 차단하는 동시에 가로에 녹색 풍경을 만들었다. 이러한 선큰 공간을 통해 지하층의 단점인 채광과 환기 문제를 해결했다. 현관의 다른 한편으로 들어가면 처음 만나는 공간이 주방이다. 대가족이 사는 주택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주방을 현관 앞에 배치해 편리한 동선 구조로 계획했다. 대지의 고저차로 인해 주방보다 높은 바닥에 거실을 배치하고 마당과 연결되도록 했다. 지하에서 3층까지 이어지는 계단실 INTERIOR POINT!이건마루의 대표적인 천연마루 ‘제나 내추럴(GENA Natural)’ 오크: 자연스럽고 포근한 느낌의 베스트 판매 제품 제나(GENA)는 KS 인증을 취득한 천연마루로, 엄격한 품질 기준 아래 선별된 천연 무늬목을 적용해 고급스러운 목재의 질감과 촉감을 느낄 수 있는 제품이다. 오크, 오크 화이트, 티크 등 14가지의 풍부한 수종과 색상을 보유하고 있어 고객 취향에 맞춰 다양한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제품 선택이 가능하다. 제나는 원목 채취 후 이를 0.5㎜의 얇은 두께로 절삭해 무늬목을 생산하고 이것을 미리 가공한 친환경 완전 내수 합판(WBP 등급, Water Boiled Proof)에 붙여 제작한다. 친환경 내수 합판은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며, 생활 습기에도 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75㎜(폭) × 900㎜(길이) × 7.5㎜(두께)의 규격으로 출시됐다. 오크 화이트: 밝은 색상으로 시원하고 경쾌한 느낌 티크: 감각적인 공간 연출에 적합한 고급스럽고 힘 있는 컬러 2층은 건축주 세대와 어머님의 공간으로, 3층은 신혼인 자녀 부부의 공간으로 계획했다. 신혼부부의 공간은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작은 거실과 주방 공간을 갖췄다. 2, 3층의 개인 공간은 욕실 및 드레스룸으로 구성된 방으로 계획해, 세대별 사적 공간의 독립성을 확보했다. 방의 출입구 측에 복도식 드레스룸을 배치하고, 침대가 놓이는 공간은 입구로부터 깊숙하게 배치해 짜임새 있고 안정된 개인 공간으로 구성했다. 건축주 부부와 아들 부부 침실은 동일한 구조다. 방문을 열면 드레스룸을 만나고 좌측에 전용 욕실, 우측에 침실이 있다. 2층 건축주 부부 침실에 전용 휴식공간인 테라스를 뒀다. 3대, 4대가 될 가족의 주택 19∼23평의 4개 층 바닥으로 구성한 이 주택엔 4개의 침실, 2개의 거실, 2개의 주방, 6개의 화장실 그리고 가족의 유희 공간이 있다. 지하층 유희 공간엔 다양한 주류를 전시한 홈바와 탁구대, 피트니스 기구를 설치한 운동 공간, 노래방 기기와 드럼도 있다. 서로 다른 성격의 여러 공간을 담아내야 했기에 설계 진행은 다소 복잡했지만, 다양한 의견과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한 주택은 단순하고 간결해졌다. 3층 아들 부부 가족실 3층 게스트룸 2층과 달리 아들 부부는 가족실에 테라스를 배치했다. 여러 세대로 구성된 구기동 삼대 주택엔 다양한 생활 방식이 담겨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가족 구성원과 생활 방식은 다시금 변화할 것이며, 새로운 상황에서도 좋은 배경이 될 수 있는 주택으로 함께 나이 들어가리라 생각한다. 오래 보아도 질리지 않는 붉은 벽돌로 마감한 구기동 삼대 주택 오승현(㈜건축사사무소 서가 대표, 책임건축가) 한양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OCA건축사사무소, DIA건축사사무소에서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이를 통해 재료와 프로그램 및 공간에 대한 이해와 가능성을 넓혀 왔다. 현재 건축사사무소 서가를 공동 운영하고 있다. DDP 포럼 등에서 강연을 진행했으며, 주요 수상 경력으로 대한민국건축대전 입선, 전태일메모리얼공모전 입선, 대한민국 환경디자인대전 특선, 스마트홈국제공모전 최우수상, 인천광역시건축공모전 특선, 아름지기재단 헤리티지 투모로우 공모전 입선, 미근119안전센터 설계공모 가작, 2018 대한민국신진건축사대상 최우수상 등이 있다. 현재 서울특별시 공공건축가로 활동하고 있다. 박혜선(㈜건축사사무소 서가 대표, 책임건축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를 졸업하고 hna 온고당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다. 스튜디오 mo.M과 유니트유에이건축사사무소의 소장을 역임했으며, 2010년 건축사사무소 서가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공간 관련 연구 및 공공예술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며 건축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넓혀 가고 있다.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축 강연을 통해 건축가로서 사회적 책임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홍익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DDP 포럼 등에서 강연을 진행했으며, 주요 수상 경력으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설계공모 우수작, 서울대학교 신약개발연구센터 우수작, 행복도시 단독주택 특화단지 설계공모 3등, 인천광역시건축상 주거 부문 우수상, 진주시건축상 우수상, 2018 대한민국신진건축사대상 최우수상이 있다. 추가 [철근콘크리트, ALC주택] 북한산을 품은 구기동 삼대 주택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주택&인테리어
- 전원&단독주택
-
북한산을 품은 구기동 삼대 주택
집짓기 정보 검색결과
-
-
[8월호 특집] 삼대三代가 함께 사는 주택 04
- 삼대三代가 함께 사는 주택 04 사례로 살펴본 삼대 주택 대가족이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어떤 집을 지어야 할까. 전문가들은 자녀 부부 세대와 부모 세대 각각의 사생활을 보호하면서도 함께하는 공간 설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이를 위해서는 오랜 경험과 실력 있는 건축 전문가의 도움이 필수다. 본지에서는 개성과 프라이버시, 가족애 등 3대 가구 거주지의 필수요소를 살린 주택 4곳을 선정해 이번 호에 소개한다. 대가족을 위한 주택은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구성했다. 01 부지가 넓다면 단층주택 추천 만약 넓은 대지가 있다면 굳이 2, 3층 주택을 지을 필요는 없다. 계단이 없는 단층주택은 노약한 세대원의 원활한 이동과 가족 간 더 많은 소통을 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다면, 3대를 위한 단층주택에는 어떠한 요소가 담겨야 할까? (주)푸름에이앤디가 경기도 용인에 지은 주택 사례를 통해 대가족용 단층주택의 특징을 살펴보자. HOUSE NOTE DATA 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로 건축구조 목구조 대지면적 1,201.94㎡(364.22평) 건축면적 327.58㎡(99.26평) 연면적 317.71㎡(96.27평) 주택 259.85㎡(78.74평) 차고 57.86㎡(17.53평) 다락 60.3㎡(18.27평) 건폐율 27.25% 용적률 21.62% 건축비용 약 6억 2천만 원(3.3㎡당 627만 원) 설계 및 시공 (주)푸름인건축사사무소 02-549-6610 www.purumin.com 식당공간과 툇마루. 큰 유리창 너머로 넓은 집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 거실이 오른쪽 끝에 위치해 있다 보니 주방과 식당이 자연스레 집의 중심이 됐다. 무심코 지날 수 있는 복도를 서재로 활용했다. 부채꼴 구조다보니 수납공간이 부족할 수도 있어 복도와 공용 공간을 적극 활용했다. 단층주택만이 표현할 수 있는 확장감이 복도에서 구현된다. 길게 이어지는 복도를 따라 방, 거실, 식당이 연결되는데 다소 길다고 느껴질 수 있는 동선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평지로 구현해 이동이 편하다. 서재 계단 서재로 이어지는 계단이다. 넓게만 펼쳐져 다소 지루할 수 있는 공간에 리듬감을 준다. 부부 침실 집의 중심격인 식당을 지나 서재를 거쳐야 나타나는 부부침실. 숨겨져 있는 구조 덕에 사생활을 보호받는다. 부부침실 옆에는 욕실을 배치해 편리성을 추구했다. 거실 음악 감상을 좋아하는 건축주가 주로 머무는 거실은 남향에 배치해 채광을 확보했다. 문을 열면 거실 앞에 놓인 데크로 드나들 수 있어 편리함과 확장성까지 갖췄다. Q & A 은퇴 후 용인시 처인구 전원주택지 부지를 사들인 건축주는 설계와 시공을 맡은 (주)푸름인건축사사무소 강한성 소장에게 두 가지를 요구했다. 나이 드신 어머니를 위해 계단이 없는 단층으로 설계할 것과 가족이 저마다 취미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것. 강 소장은 각 구성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각 실을 넓게 분산해 배치했다. 그리고 가족이 한 데 모이는 거실과 주방 등의 공용 공간을 계획하고 복도를 중심으로 여러 방을 배치했다. 남북으로 긴 형태의 주택 모습은 이렇게 탄생했다. Q. 공간 구성은 어떻게 했나 강한성 소장(이하 강)_외부 공간을 어떻게 담아낼지를 가장 크게 고민했다. 펼쳐지듯 대지 틈새로 사적 영역이 나름의 독립성을 갖추도록 구성했고, 마당과 텃밭 등의 외부공간이 내부 사적 영역과 결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실제로 할머니 방이 외부 텃밭과 연계되고, 가족 공용 생활공간인 거실과 식당을 중첩된 창을 통해 볼 수 있는 장소에 위치시켰다. 수납공간은 복도 등에 설치했다. Q. 설계 콘셉트는 강_분할된 외부와 조응하는 공간 구분 짓기, 그리고 열린 복도에 의한 내부 공간 잇기다. 3세대가 각자 독립된 공간과 공용 공간의 균형으로 모두 편안한 주택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그 틈새로 자연이 들어오게 해 아날로그적 감성을 일깨워주는 것이 계획의 목표였다. 특히 이러한 아날로그적 감성은 식당 공간에서 극대화되는데, 건축주도 이 집의 중심 공간은 거실이 아니라 식당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Q. 동선이 길어졌는데 강_내부 동선의 효율성이나 편리성 측면보다는 각 공간의 개별성에 초점 맞췄다. 그래서 넓은 부지에 맞춰 평면적으로 구성하다 보니 동선이 길어졌다. 하지만 동선이 길면 좋지 않다는 선입견을 뒤집었다. 집의 중심 격인 주방으로 가족이 오가며 역동성을 살리면서 각 방의 독립성을 살렸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긴 동선을 즐긴다고 생각하는 발상의 전환이 이뤄진 셈이다. Q. 단층주택을 위한 부지는 얼마나 필요하나 강_기본적으로 적정 규모 이상의 대지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지역 건폐율이 50% 혹은 60%인 점을 감안하고 50평 정도의 주택을 짓는다면 100평 이상의 대지가 필요하다. 잠깐! 3대가 함께 사는 세대를 위한 가이드라인 집짓기는 사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많은 건축주들은 어떻게 집을 구상해야 할지 몰라 이리저리 해메며 ‘멘붕’에 빠지기 일쑤다. 가뜩이나 이러할진대 대가족이 함께 살 집을 짓는다면? 멘붕에 멘붕은 당연수순일 거다. 만약 ‘이렇게 만들어보세요’라는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조금은 낫지 않을까.<3대 가족형 복층아파트의 계획 기준에 관한 연구>에서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아봤다. 해당 연구는 복층형 아파트 관련한 것이지만, 주택 설계에서 활용할 만한 팁들이 여럿 있는 만큼 주목해보자. -세대 간 진입 복도에는 노약자를 위한 벤치 등의 편의 시설 설치. -침실 및 거실은 채광, 환기 등을 고려해 남향으로 직접 외기에 면하게 설치. -노인 방 전면에 남향 발코니로 통하는 큰 창문을 설치해 한식 구조의 툇마루로 통하는 장지문의 효과를 꾀함. -부엌 및 식당은 가사 작업의 상호 연관성 및 환기, 배관 시설을 고려해 북측에 배치하며 거실과도 근접시켜 공용의 공간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 -다용도실은 용도 변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해 입주자의 편의성을 도모. -거실 창호는 3단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외부 투시성을 살림. 노인 침실이 있는 층의 거실은 전통 한옥의 대청마루 개념을 도입. -노인 방의 창호는 좌식 생활 선호 경향을 고려해 장지문과 툇마루 기능을 살리도록 높이를 바닥으로부터 450mm로 함. 출처 : <3대 가족형 복층아파트의 계획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김형언, 2014
-
- 집짓기 정보
- 특집기사
-
[8월호 특집] 삼대三代가 함께 사는 주택 04
-
-
[8월호 특집] 삼대三代가 함께 사는 주택 01
- 삼대三代가 함께 사는 주택 01 1인 가구가 급증하는 요즘, 반대로 3세대 이상이 함께 거주하는 대가족도 늘어나고 있다. 치솟는 부동산 가격과 육아문제, 장기불황 때문에 젊은 부부들이 부모님과 함께 사는 경우가 많아진 것. 또한, 질 높은 삶의 해답을 대가족에서 찾는 경우도 그 속에 포함된다. 그렇다면 가족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집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합리적인 개인주의와 전통적인 가족 중심적 사고방식이 서로 부딪치지 않으면서도 함께 즐겁게 살 수 있는 집의 요건에 대해 알아봤다. 글 백홍기·김수진 취재협조 KDDH건축사 사무소 T 02-2051-1677 W www.kddh.kr 엔디하임 T 1544-6455 W www.ndhaim.co.kr 이에스건축이앤지 T 02-2611-7759 W http://blog.naver.com/esarchi (주)푸름에이앤디 T 02-549-6610 W www.purumin.com 참고자료 <수도권거주 50대 중년층의 3대 동거주택에 대한 의식변화>,대한건축학회, 최정신, 2004 <국내 단독주택의 공적·사적공간 구성에 관한 유형학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양천규·이동배, 2004 <가족형태에 따른 일본단독주택 공간구성의 특징>, 한국주거학회, 이정미, 2012 <1980년대 이후 한국 단독주택 공간 형태 변화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이선민·허범팔, 2012 <3대 가족형 주택의 공간구성 특성 및 유형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김형언·이동훈, 2014 <3대 가족형 복층아파트의 계획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김형언, 2014 <농촌지역 단독주택의 가족구성원의 변화에 따른 내부공간의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주거학회, 서태교 외 2명, 2015 <고령자를 고려한 실내 환경 센서 구성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최화경·박성준, 2016 다시 주목받는 삼대 주택 “떨어져 살다 같이 살게 되면 남보다 못한 사이된다” 부모님과 함께 살 집을 짓겠다고 결심한 최 씨 부부에게 들려온 말이다. 2살, 5살 두 아들을 둔 부부는 치솟는 전세값과 육아 문제, 아버지의 건강 문제 해결에 고심하다 부모님과 함께 살아야겠다는 결론에 다달았다. 하지만, 주변에서는 우려하는 목소리가 더 컸다. ‘십 수년을 떨어져 지내다 함께 살게 되면 분명 갈등이 생긴다’, ‘육아가 문제라면 차라리 육아 도우미 고용 시간을 늘려라’는 등 걱정 뿐이었다. 하지만, 최 씨 부부는 흔들리지 않았다. 이들은 “십 수 년 전만해도 삼대가 함께 사는 가족이 대세 아니었냐”며 “갈등 원인을 미리 찾아 해결하고 서로 간 프라이버시를 지켜줄 수 있는 집을 지으면 문제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주장한다. 최근 이들처럼 부모님과 함께 살 집을 짓는 젊은 부부들이 속속 눈에 띈다. 흥미롭게도 증가 추세라는 1인 가구와 상반되는 3대 거주 형태 또한 늘어나고 있는 것. 경제·환경적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다시 뭉치고 있는 이들을 위한 주택은 과연 어떠한 모습이어야 할까? 실용적이면서도 가족 모두가 행복한 삼대 가구를 위한 주택에 대해 알아봤다. 얼마 전 조기 종영 발표한 SBS 주말극 ‘그래, 그런 거야’는 방영 초기부터 현실성이 떨어지는 드라마라는 비판을 받았다. 극의 중심이 되는 가족 형태가 바로 대가족이라는 것이 주원인이었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시작으로 중년 부부, 아들 내외 등이 한 집에 모여 사는 모습이 연출됐는데, 2016년 현재, 다소 비현실적인 설정이라는 시청자들의 비판이 이어졌다. 이 때문인지 드라마는 방영 내내 예상보다 낮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불과 25년 전 같은 작가가 집필한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 방영 당시, 지금과는 정반대의 반응을 보였다. 대가족이 한집에 살면서 겪는 각종 에피소드를 담은 이 드라마는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한동안 국민 드라마 호칭까지 얻었다. 그렇다면 지난 25년간 우리 사회에서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기에 드라마 하나에도 이러한 상반된 반응이 나타난 걸까. 전문가들은 사회 변화적 측면에서 가족 형태를 봤을 때, 그 변화가 극심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가족 형태는 상당히 극적으로 변화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80년에는 부부와 자녀 중심의 2세대 가구가 69.1%를 기록했으며, 뒤를 이어 조부모와 그 부부, 자녀가 함께 거주하는 3대 가구가 24.3%를 차지했었다. 3대 가구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었던 것. 하지만 1990년 2세대 가구(71.0%)가 늘어난 반면, 3대 가구는 18.7%로 줄어들었다. 이후 3대 가구 비율은 2000년에는 13.6%로 크게 감소했으며, 최근에는 도시에서 3대 가구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이와 더불어 65세 이상 노인의 거주형태에서도 자녀 없이 독신 혹은 부부만 거주하는 비율은 1980년도 19.5%에 불과했지만, 2000년도에는 50.9%로 크게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가족 변화는 급격한 도시화와 이촌향도離村向都가 주원인으로 손꼽힌다. 1차 경제산업사회에서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모든 가족이 같은 집이나 마을에서 함께 거주하는 형태를 보인다. 실제로 농업 중심으로 발전한 우리나라는 수천년 간 대가족 형태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진행된 급격한 산업화는 젊은이들을 도시로 끌어들였고, 이로 인한 기존 가족 형태가 붕괴했다는 것이다. 또한, 아파트 주거형태의 발달도 가족 형태 변화를 이끌었다. 도시로 몰려든 사람들의 주거난을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 아파트는 사실, 핵가족이 거주하기 최적화된 주거형태로 지어졌다. 애초부터 조부모가 함께 거주할 공간이 부족했던 것. 아파트 공간은 자연스레 조부모 세대와 자녀 부부 세대의 非동거 형태를 끌어냈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3대를 위한 아파트도 잠깐 등장하긴 했다. 1985년 서울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와 1988년 서울 상계지구의 주택공사 아파트 19단지에 3대 동거형 아파트가 분양된 것. 목동 아파트의 경우, 중상류층 3대 가구를 대상으로 개발됐는데 현관을 중심으로 좌우로 자녀 부부 세대와 노부모 세대의 공간을 분리해 프라이버시를 지켰다. 하지만 노부모 세대 공간을 일반 침실 공간으로 개조하는 등 실제로는 3대 거주를 위한 주택의 역할은 미미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구체적인 선행 조사도 시행되지 않았었다. 이 밖에도 1997년 IMF 외환위기와 최근 장기불황으로 인한 가족 붕괴도 3대 가구 감소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
- 집짓기 정보
- 특집기사
-
[8월호 특집] 삼대三代가 함께 사는 주택 01
동영상 검색결과
-
-
[월간전원주택라이프] 전원주택_구기동 철근콘크리트주택_건축사사무소서가
- 월간전원주택라이프 http://www.countryhome.co.kr 북한산을 품은 구기동 삼대 주택 결혼해 가정을 꾸린 아들 부부, 안락한 공간이 필요한 건축주 부부, 연로하신 어머니를 위해 기존 주택을 허물고 새로 지은 주택이다. ‘ㄱ’자 배치를 통해 얇은 켜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각각의 실을 모두 북한산의 서로 다른 풍경을 향해 열려 있게 했다. 창을 통해 바라보이는 북한산의 풍경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해 내부 공간에서의 경험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준다. 글 ㈜건축사사무소 서가 | 사진 studio texture on texture HOUSE NOTE DATA 위치 서울 종로구 구기동 지역/지구 제1종 일반주거지역, 자연경관지구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236.32㎡(71.48평) 건축면적 85.83㎡(25.96평) 건폐율 36.32% 연면적 296.40㎡(89.66평) 지하 75.71㎡(22.90평) 1층 79.96㎡(24.18평) 2층 76.42㎡(23.11평) 3층 64.31㎡(19.45평) 용적률 93.38% 주차대수 2대 건축비용 7억 원(3.3㎡당 약 530만 원) 토목공사유형 콘크리트 옹벽 토목공사비용 기조성 완료 설계기간 2017년 7월~2018년 1월 공사기간 2018년 3월~10월 설계 ㈜건축사사무소 서가 02-733-4641 http://designseoga.com 시공 ㈜다암종합건설 031-851-2577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에코렉스 벽 - 황토토담(삼한C1) 데크 - 루나우드 내부마감 천장 - 석고보드 위 지정 도장 벽 - 석고보드 위 지정 도장 바닥 - GENA-NATURAL(이건마루), 포세린 타일 계단실 디딤판 - 오크 집성목 위 투명 래커도장 난간 - 평철 및 환봉 위 지정 도장 단열재 지붕 - 경질 우레탄 보드 외단열 - 경질 우레탄 보드 창호 알루미늄 시스템창호 및 로이 삼중유리(다담창호) 현관문 MD-S233(동방노보펌) 조명 4인치 매립 조명(필룩스) 주방가구 주문 제작 - 무광우레탄 도장 마감(채움가구) 위생기구 이누스, 대림바스 난방기구 가스보일러(경동나비엔) 삼대는 십여 년간 서울시 종로구 구기동에 자리를 잡고 살았다. 기존 주택은 아들에겐 학창시절의 기억이 담긴 공간이고, 부부에겐 주변 자연경관을 즐기며 생활의 안정을 가져다준 공간이다. 이런 가족에게 즐거운 변화가 생겼다. 성장한 아들의 반려자가 생기고, 결혼식을 앞두게 됐다. 가정을 꾸릴 아들 부부, 안락한 공간이 필요한 건축주 부부, 연로하신 어머니를 위해 기존 주택을 허물고 새로운 주택을 짓기로 했다. 프로젝트의 진행은 두 세대(건축주 부부와 예비 아들 부부)와 함께 진행했다. 가족 간 서로에 대한 배려가 주택을 풍성하게 만드는 동력으로 작용했다. 가족 공유 공간은 구성원의 의견을 자유롭게 수렴하고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서, 또 개별 공간은 세대별 취향을 반영하면서 계획을 진행했다. 이렇듯 구기동 삼대가 사는 주택은 새로운 가족을 맞이하는 변화 그리고 5년, 10년 뒤에 점차 변해갈 가족의 모습을 그리며 계획했다. 변화무쌍한 북한산 풍경을 집 안으로 대지는 북한산자락에 위치한다. 북한산 봉우리가 펼쳐지는 경관을 최대한 많은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개별 공간의 구성 및 배치가 가장 중요했다. ‘ㄱ’자로 놓인 건물 배치로 외부 공간은 바깥마당과 안마당으로 나뉜다. 바깥마당은 대가족의 넓은 주차 공간과 진입 공간으로 쓰인다. 그리고 안마당은 거실 및 식당, 주방 등과 연결되는 가족의 휴식 공간이자 반려견의 놀이 공간이다. 기존 주택은 겹집으로 넓은 마당이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주택 내부로의 채광이 원활하지 않거나 경관을 가지지 못하는 실들이 발생했다. 이에 ‘ㄱ’자 배치 형식을 통해 얇은 켜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개별 방들을 북한산의 서로 다른 풍경을 향해 열리게 했다. 결과적으로 거실, 주방, 각각의 침실 등에서 창을 통해 바라보는 북한산의 풍경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해 내부 공간에서의 경험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줬다. 세대별 프라이버시 확보 삼대 가족에게 필요한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용적을 최대한 활용해야 했다. 현관에 들어서면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과 집 안으로 들어가는 두 개의 입구가 있다. 홈바와 운동실 등의 유희 공간으로 사용하는 지하층은 손님이 방문할 경우 집 안을 통하지 않고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지하층에 두 곳의 선큰을 만들고 한 곳에 데크를 설치해 유희 공간에서 잠시 나와 쉴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다른 한 곳은 도로에 면해 있기에 차폐 식재로 대나무를 심어 시각적 간섭을 차단하는 동시에 가로에 녹색 풍경을 만들었다. 이러한 선큰 공간을 통해 지하층의 단점인 채광과 환기 문제를 해결했다. 현관의 다른 한편으로 들어가면 처음 만나는 공간이 주방이다. 대가족이 사는 주택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주방을 현관 앞에 배치해 편리한 동선 구조로 계획했다. 대지의 고저차로 인해 주방보다 높은 바닥에 거실을 배치하고 마당과 연결되도록 했다. 2층은 건축주 세대와 어머님의 공간으로, 3층은 신혼인 자녀 부부의 공간으로 계획했다. 신혼부부의 공간은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작은 거실과 주방 공간을 갖췄다. 2, 3층의 개인 공간은 욕실 및 드레스룸으로 구성된 방으로 계획해, 세대별 사적 공간의 독립성을 확보했다. 방의 출입구 측에 복도식 드레스룸을 배치하고, 침대가 놓이는 공간은 입구로부터 깊숙하게 배치해 짜임새 있고 안정된 개인 공간으로 구성했다. 3대, 4대가 될 가족의 주택 19∼23평의 4개 층 바닥으로 구성한 이 주택엔 4개의 침실, 2개의 거실, 2개의 주방, 6개의 화장실 그리고 가족의 유희 공간이 있다. 지하층 유희 공간엔 다양한 주류를 전시한 홈바와 탁구대, 피트니스 기구를 설치한 운동 공간, 노래방 기기와 드럼도 있다. 서로 다른 성격의 여러 공간을 담아내야 했기에 설계 진행은 다소 복잡했지만, 다양한 의견과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한 주택은 단순하고 간결해졌다. 여러 세대로 구성된 구기동 삼대 주택엔 다양한 생활 방식이 담겨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가족 구성원과 생활 방식은 다시금 변화할 것이며, 새로운 상황에서도 좋은 배경이 될 수 있는 주택으로 함께 나이 들어가리라 생각한다.
-
- 동영상
- 주택 영상
-
[월간전원주택라이프] 전원주택_구기동 철근콘크리트주택_건축사사무소서가
-
-
[구기동 철근콘크리트주택] 북한산을 품은 구기동 삼대 주택
- 북한산을 품은 구기동 삼대 주택 결혼해 가정을 꾸린 아들 부부, 안락한 공간이 필요한 건축주 부부, 연로하신 어머니를 위해 기존 주택을 허물고 새로 지은 주택이다. ‘ㄱ’자 배치를 통해 얇은 켜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각각의 실을 모두 북한산의 서로 다른 풍경을 향해 열려 있게 했다. 창을 통해 바라보이는 북한산의 풍경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해 내부 공간에서의 경험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준다. 글 ㈜건축사사무소 서가 | 사진 studio texture on texture <기사전문보기>
-
- 동영상
- 주택 영상
-
[구기동 철근콘크리트주택] 북한산을 품은 구기동 삼대 주택
잡지/구독 검색결과
-
-
전원주택라이프 2019년 2월호 발간
- 2019 FEBRUARY vol.239 SPECIAL FEATURE지금은 목조주택 전성시대 나무는 인류 발생 초기부터 생활 도구나 건축 자재로 쓰였으며, 앞으로도 인류가 존재하는 한 지구상에서 얻을 수 있는 완벽한 건축재다. 또한, 환경친화적인 건축재로 지하에 매장된 천연자원들에 비해 채취, 가공, 사용, 재활용, 폐기에 이르는 전 수명 기간 환경에 미치는 부담이 적다. 쾌적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나아가 지구 환경 파괴를 막으려면 지금부터라도 재생이 가능하고 에너지 소비가 적으며 무독성 생태 건축재인 나무로 지은 목조주택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066Ⅰ건강하고 안전한 생태건축물 목조주택072Ⅰ목조주택! 어떤 것들이 있나076Ⅰ한옥 고유 구법과 비례 존중한 은평구 신한옥‘청인당’078Ⅰ가볍고, 연성 뛰어난 경량 목조주택079Ⅰ정밀한 시공, 프리컷 공법 일본식 중목구조081Ⅰ간편한 시공, 뛰어난 성능 구조용 단열 패널 SIP 패널라이징 공법083Ⅰ목조주택의 오해와 진실 10가지 HOUSE STORY전원 속 집들에 관한 행복한 이야기 088Ⅰ아이 사랑으로 전원에 지은 충주 도원재096Ⅰ신어산 풍경 담아낸 김해 도심형 전원주택104Ⅰ집 속에 집과 숲을 담은 달성 박공집112Ⅰ제주 첫 번째 수퍼-EⓇ 하우스 리베스하우스120Ⅰ단독주택 전세살이 경험으로 지은 대전 다온하우스128Ⅰ우린 형제와 함께 귀촌했어요, 지리산 귀촌 부부 주택 ARCHITECT CORNER 134Ⅰ구름 위에 지은 곡성 주택142Ⅰ엄마아빠의 사랑을 가득 담은 세종 Ye′s House150Ⅰ집 안팎을 이어주는 3개의 중정, 위례 C주택156Ⅰ건축가가 직접 짓고 운영하는 게스트하우스, 차오 제주164Ⅰ북한산을 품은 구기동 삼대 주택 STYLING INTERIOR 170Ⅰ따듯함과 편안함이 넘치는 나린주택 인테리어주택의 이름인‘나린’은 (하늘이)내리다의 고어다. 그 뜻에 맞도록 따듯하고 편안한 주택을 콘셉트로 잡았다. 한정된 건축비에 맞춰 효율성을 최대화하고자 직사각형 매스로 설계하고, 홀에서 시작하는 동선을 최소화해 편리성을 높였다. 특히 거실 위에 만든 넓은 다락방은 어른들에겐 서재, 아이들에겐 놀이터가 된다. HOUSING INFORMATION 149ⅠHEALTH 고농도 미세먼지 마스크 선택 및 사용법163Ⅰ눈에 띄네 비데, 어떤 게 좋을까177ⅠHOME & GARDEN 초록초록 아기자기한 인테리어 포인트‘다육이’180Ⅰ쾌적한家 건강한家 제로에너지주택 경제성 평가와 관리 방법186Ⅰ공간계획 우리 집을 맛있게 만들 수 있는 스킵플로어/다가구/오락 공간 레시피190 HOME PLAN 박스 형태의 주택ARCHITECTURE DESIGN192Ⅰ돌집196Ⅰ두 세대 독립 거주 가능한 71평형 주택 198ⅠFURNITURE 맞춤가구로 완성하는 나만의 공간, 주방 기능을 다양하게, 아일랜드 조리대200Ⅰ대한민국 최대 건축전시회 코리아빌드204ⅠNEWS & ISSUE176Ⅰ애독자 사은 퀴즈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잡지/구독
- 과월호
-
전원주택라이프 2019년 2월호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