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집짓기 정보 검색결과
-
-
【Design Point】 건축가의 집 이야기 03- 2층
- 건축물의 완성도는 설계에서 시작한다. 그래서 설계는 정확하고 치밀해야 하며, 세세하고 친절해야 한다. 그렇다고 건축주가 집짓기 위해 설계를 배울 필요는 없다. 다만, 설계가 필요한 이유와 이해할 수만 있으면 된다. 설계의 이해는 곧 집의 이해이기 때문이다. DESIGN POINT 지면은 주택 설계에 대한 건축주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마련했다. 풀이는 건축사사무소 KDDH 김동희 소장이 맡았다.글 건축사사무소 KDDH 김동희 소장 02-2051-1677 www.kddh.co.kr2층 - 풍성하고 자유로운 공간 구성 “어떤 집에 살고 싶은가?” 질문을 바꿔 “집에서 가장 머무르고 싶은 공간은 어디인가?”라고 물으면 거실, 주방, 서재, 욕실, 혹은 각자의 침실이라고 답할까? 가족이란 공동체에서 함께 생활하는 일은 자아 성장을 위해 중요하다. 하지만 개인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이 사적 공간 확보다. 비록, 아이의 공간이라도 부모와 떨어져 사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물론 아파트에서도 각자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온전한 독립 공간이라고 정의하기엔 부족하다. 비슷한 구성과 공간에 적절하게 배치한 실은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하지만 2층 이상의 단독주택에선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난 개인 공간 그리고 노곤한 일상으로부터 숨어서 쉴만한 좋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30평 규모의 북카페 하우스 1층보다 다양하고 역동적인 2층 단독주택에선 외부와 내부의 완충 공간을 계획할 수 있다. 지표면과 맞닿은 테라스 그리고 발코니, 베란다가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완충 공간이다. 특히, 테라스는 내부 공간을 외부로 확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간 확장은 생활 범위와 행위의 확장이란 측면에서 다양한 공간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을 뜻한다. 단층집은 부모와 자식 간의 소통이 적당한 거리감에서 오지만, 돌발적으로 마주하는 순간적 거리낌을 피할 여백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이층집은 단층집과 많은 부분이 다르다. 가장 도드라진 차이는 부피감과 공간감이다. 계단으로 인한 공간 손실이 있지만, 계단을 통한 공간의 깊이감이나 2층 높이의 공간으로 풍성한 공간감을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다. 주택 규모가 줄어들수록 자유로운 계획의 가능성도 줄어드는 건 당연하다. 그러나 답답하게 막히거나 옹색한 공간이 없도록 설계하는 것이 건축가의 숙제다. 설계 초기 단계의 이차원 도면을 실제 공간으로 구현하면 점과 선만으론 느낄 수 없는 부피감을 체험한다.소규모 이층집의 경우 1층 공용공간을 수직으로 확장하는 열린 공간을 둬 과장된 듯하지만, 여러모로 유용한 공간을 만들 필요가 있다. 2층은 1층과 달리 외부인의 접근이 어려우므로 사적공간을 만들기에 적합하고, 온전히 가족만을 위한 공간이 되곤 한다. 이것이 보통 거실을 1층에, 가족실을 2층에 배치하는 첫 번째 이유다. 또한, 독립적인 방과 방 사이에 공적인 가족실을 배치함으로써 사생활은 존중하되, 서로 단절되지 않은 완충 공간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용인주택 2층 화장실 적절한 공간 배치로 편리함 부여 보통 주택들은 크지 않은 공간을 잘 나눠서 사용해야 한다. 지혜로운 선조들은 들어열개문을 만들어 두 개의 작은 방을 하나의 큰 방으로 확장해 사용하도록 했다. 작은 옷은 입지 못하고 큰 옷은 불편하듯 집도 마찬가지다. 체격에 적당히 맞는 옷이 맵시를 살려주는 좋은 옷인 것처럼 많은 사람이 사용하기엔 다소 작고 혼자 사용하기엔 다소 큰 가족실이 맵시를 내기 좋은 공간이다. 또한, 가족실은 자녀가 어릴 때 노는 오락 공간이며, 부모는 가사와 독서 등의 여가를 보내는 공간이기도 하다. 한편, 세탁실은 집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마지막으로 밀리곤 하지만 중요한 가사 공간의 한 부분이다. 세탁실을 2층에 배치하면 계단으로 빨랫감을 들고 이동하는 수고를 더는 반면, 별도로 빨래 말릴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그런데 보통 볕과 바람이 잘 드는 방향에 침실을 둬 세탁 건조실을 설치하기에 모호한 공간만 남는다. 결국 세탁실은 1층 가사 공간 한편에 배치하고 여건이 될 경우 빨래 슈트를 설치해 빨랫감을 쉽게 옮기도록 계획한다. 이층집의 경우 1층과 2층에 각각 욕실을 두는 것은 당연하지만, 2층 욕실은 사적공간으로 보다 자유로운 형태와 쓰임새로 만들 수 있다. 창고형 사다리 사진 / 바바렐라 하우스 다락 필요에 따라 변신하는 다락 지붕 밑 다락은 크게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용과 놀이와 서재 등 상시용으로 구분한다. 이처럼 크고 높지 않은 규모로 계획한 다락은 견고한 공간감을 통한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며 창고를 비롯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위의 오른쪽 사진은 ‘바바렐라 하우스’ 주택의 다락이다. 이 주택의 다락은 수납 해결과 함께 어린왕자의 B612호 행성과 같이 아이들에게 비밀스러운 공간을 제공한다. 주택이란 침실, 주방, 거실, 계단 등 각 실의 배치와 구성에 따라 한 사람을 위한 공간 또는 여러 사람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어진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공간을 구성하고 배치해야 비로소 편안한 공간이 된다. 그래서 공간을 어떻게 배치하고 구성할 것인가에 관해 건축주와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해 논의한다. 클라이언트마다 가족 구성원과 생활방식이 다르므로 요구 조건도 다양하다. 규격화, 단일화한 아파트가 모든 사람의 만족도를 충족하지 못하는 이유다. 일상을 보다 풍성하고 다채로운 삶으로 가꾸기 원한다면, 감히 아파트가 아닌 ‘우리 가족만의 공간’을 꿈꾸기를 추천한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잡지구독 신청 www.countryhome.co.kr:454/shop/subscription.asp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Design Point】 건축가의 집 이야기 03- 2층
-
-
창간 15주년 특집 Ⅱ - 잘 지은 모던하우스 Best 10 - ①
- 마치 뽀얀 아기의 얼굴처럼 담백한 맛이 느껴지는 집이다. 예쁘게 보이려고 치장을 하다 보면 그것이 과해져 미워 보이는 순간이 있다. 용인 주택은 치장을 하지 않은 대신 바르고 고운 아기의 피부를 가꾸기 위해 노력한 듯 보인다. 실내외 절제된 재료 사용으로 심플한 맛을 내고 그 대신 사각 프레임의 매스를 전진, 후진시키면서 멋을 내고 부피감을 연출했다. 주변 숲과 어우러지게 지은 용인주택 군더더기 없는 심플함과 모던함 건축주는 자녀를 출가시키고 여유로운 노후를 지내기 위해 용인 수지에 전원주택을 마련했다. 주택은 경량 목구조에 외관은 현무암과 징크 그리고 적삼목으로 마감해 묵직하면서 간결하다. 형태 또한 사각 프레임으로 표현해 군더더기 없다. 뒤꼍에도 적삼목의 롯지를 배치해 자칫 밋밋할 수 있는 면에 부드러움을 한층 살렸다. 채광과 조망 확보를 위해 거실을 전진 배치한 하나의 매스와 그 우측으로 안방, 좌측으로 식당 그리고 2층 다목적실이 각각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며 무덤덤한 모던 스타일의 건물을 완성했다. 주방/식당은 페닌슐라형 카운터에 식사테이블을 연결해 스타일리쉬하게 꾸몄다. 매스감이 느껴지는 간결함 실내 공간 역시 간결하다. 부부가 주로 사용하는 공간이므로 1층에 방 한 칸과 여유의 방 한칸, 거실, 주방/식당 그리고 2층에 옷방, 서재, 손님 방 등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방이 한 칸 마련됐다. 이 주택의 특징은 남동쪽을 보고 있는 정면 공용부의 창 크기가 과감하다는 것이다. 특히 지붕과 벽 세 면에 징크를 둘러싸고 전면으로 돌출해 있는 거실 부위는 정면 커튼월로 이뤄져 바깥에서 봐도 거실의 규모와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징크의 블랙과 어울리도록 창호재를 블랙 톤 프레임으로 사용해 세련된 느낌을 끌어올렸다. 거실 바로 위로 올린 2층 전면 창 역시 1층 거실 전면 창의 느낌을 그대로 전달받아 좌우로 길게 창이 설치됐다. 이러한 표현은 2층 공간을 한 덩어리로 간결하게 만들었기에 가능하다. 용인주택은 사각의 매스로 공간을 연출했다. 건축정보 위치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대지면적 733.0㎡(222.1평) 건축면적 186.4㎡(56.5평) 1층-146.2㎡(44.3평) 2층-40.2㎡(12.2평) 건축형태 복층 경량 목조주택 외벽·지붕재 현무암, 적삼목, 징크 내벽재 실크벽지 천장재 적삼목 무절 루버, 도장 바닥재 원목마루 난방형태 기름보일러 설계 및 시공 ㈜내외건장 02-547-3100 www.naewoegj.co.kr
-
- 집짓기 정보
- 특집기사
-
창간 15주년 특집 Ⅱ - 잘 지은 모던하우스 Best 10 - ①
-
-
난방 요구량이 패시브하우스 기준 충족하는 용인 쌍둥이 주택
- 패시브하우스에 관심 있는 이라면 이태구, 서충원이라는 이름이 낯설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패시브하우스를 국내 도입하고 정착시키기 위해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핵심 브레인이다. 최근 이들의 합작품인 1.4ℓ에너지 절약주택이 완성돼 찾아가 봤다. 서충원 대표는 용인 쌍둥이 주택에 이어 새로운 시도를 접목하며 패시브하우스 콘셉트의 주택을 꾸준히 짓고 있으며 조만간 제로에너지하우스도 실현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자신감을 표했다.글 박지혜 기자 사진 백희정 기자 취재협조 ㈜세린에너피아 서충원 대표 02-512-0023 세명대학교 이태구 교수 043-649-1324 두가구가 벽을 접한 형태의 주택인 '땅콩집'이 한창 상한가를 올릴 무렵 김승준(41세) 씨 가족의 에너지 절약형 주택은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 연간 단위면적당 1.5ℓ이하의 난방 기름이 소요되는 패시브하우스를 목표로 지어진 김씨의 주택은 첫설계 당시 땅콩집, 즉 듀플렉스로 계획됐다. 설계를 담당한 세명대학교 이태구 교수(건축공학과)에 따르면 듀플렉스는 두 가구가 한 벽면을 접하므로 단독으로 세워진 경우보다 외기 영향을 덜 받아 에너지 효율 면에서 더 낫다. 그러나 건축주는 추후 대지에 대한 권리관계 등을 고려하고 아파트를 벗어나 독립된 주택에서 거주하고자 하는 희망으로 전원주택을 짓는 것이기에, 형태는 똑같이 짓되 간격을 두고 세우기로 했다. 건축정보· 위 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향린동산 내· 대지면적 : 412.5㎡(125.0평)· 연 면 적 : 158.4㎡(48.0평)· 건축형태 : 복층 철근콘크리트 구조· 지 붕 재 : 아스팔트 슁글· 외 벽 재 : 무기질 도료· 내 벽 재 : 황토 미장 위 수성 페인트· 바 닥 재: 마루· 창 호 재 : 독일 레하우 삼중유리 창호(열관류율 1.2W/㎡K)· 난방형태 : 연료전지· 지붕/외벽/바닥 열관류율 : 0.15~0.18W/㎡K· 난방에너지 수요 : 14㎾h/(㎡ · yr)· 패시브하우스 콘셉트 설계 : 세명대학교 이태구 교수· 시 공 : ㈜ 세린에너피아 용인 패시브하우스 프로젝트는 제천 에너지 절약 주택을 설계한 세명대 이태구 교수가 패시브하우스 콘셉트적용 및 설계를 맡고 횡성1.3ℓ주택을 시공한 ㈜세린에너피아 서충원대표가 시공을 맡았다.패시브하우스 독일 인증 계산 도구인 PHPP를 통해 계산한 결과 두 동의 용인 주택은 난방에너지 수요 14㎾h/(㎡ · yr), 즉 연간 단위면적당 난방에너지 요구량이 1.4ℓ로 독일 패시브하우스 인증 기준을 충족한다. 그러나 난방에너지 수요와 더불어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1차에너지 수요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이 교수는 "주택의 1차에너지 요구량을 계산하기 위해 조명기구, 냉장고, 텔레비전, 에어컨 등 모든 가전제품의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해야 하는데 현재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들로는 패시브하우스 기준에 맞추기 어려운게 현실"이라며 "LED 조명기구 등 최신 고효율 가전제품을 건축주에게 권하기는 하지만 건축주 입장에선 기존 제품을 폐기할 수도 없고 건축주 취향이므로 설계자가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덧붙여 "패시브하우스가 어느 정도 정착된 독일 등 유럽에서는 고효율 가전제품이 표준화돼 있고 비용을 더 들여 저에너지 주택을 건축하는 건축주에게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저리융자 등 금전적 혜택으로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절약 정신 가르치는 패시브하우스서울에서 개척교회목사로 있는 김승준씨는 '어떻게 하면 삶이 보다 자유로워질까'라는 진지한 고민끝에 분당 아파트를 팔고 전원으로 가자는 결론을 내렸다. ' 그럼, 어떤 집을 지을까'하는 의문을 품던 중 텔레비전에서 독일 생태마을을 보고 그는 답을 얻었다. 환경을 덜 오염시키는 '뜻있는 집을 짓자'고.김씨는 웹서핑을 통해 패시브하우스에 일가견이 있는 이태구교수와 서충원대표를 만나게 됐다."아파트 거주자 대부분 꿈은 전원주택이지요. 하지만 쉽게 전원으로 못 오는 이유는 연료비와 방범 문제가 커요. 그런데 패시브하우스로 지으면 연료비가 대폭 절감되니 꿈을 앞당겨 주지요." 김씨는 또한 건축비도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만큼 크게 높지않다고 말한다. 본인의 경우 아파트를 팔면 부지 구입과 건축공사를 하고도 돈이 남는다고. 부지 매입에 약 2억 1,500만 원, 건축비 약 2억 3,500만 원, 모두 4억 5,000만 원 정도 들었다. 일반 전원주택 짓는 데도 이 정도 비용이 드는 것을 고려하면 에너지 고효율 주택을 짓는 것 치고 큰 비용은 아니다. 그리고 여기에 김 씨의 절약 정신도 한 몫 했다.김씨는 전원주택마련 비용을 최대한 절약하려고 했다. 첫째, 단지내 부지를 찾았다. 단지는 이미 대지전용 절차 및 진입로 공사, 전력 · 통신 · 수도 등 각종 시설 인입 절차가 완료된 상태로 시간과 노력, 비용을 한결 단축시킨다. 둘째, 김 씨에게 다소 부담스러웠던 825.0㎡(250평) 부지를 다른 건축주와 412.5㎡(125평)씩 분할했다. 셋째, 옆 필지와 건축공사를 동시에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김 씨는 5,000만 원 정도 절약했다. 넷째, 공사를 직영으로 진행했다. 다섯째, 자재 손실 및 부실공사 등 비용 추가로 이어지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공사기간 동안 현장을 꼼꼼하게 체크했다. 김 씨는 문서자료와 현장을 통해 패시브하우스에 대해 공부했고 현장에서 설계한 대로 건축 재료를 쓰는지도 확인할 정도로 완성도 높은 집짓기에 심혈을 기울였다."패시브하우스는 생활 자체를 '패시브'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패시브하우스 자체가 에너지를 절약해주지만 그와 동시에 절약정신이 몸에 배어 에너지 뿐아니라 생활 모든 면에서 절약을 실천하게 해주는 것 같습니다." 김 씨는 "패시브하우스는 최소한의 생활비가 들게 한다"고 말한다. 그는 비용 문제로 패시브하우스 콘셉트의 주택 건축을 주저하는 예비 건축주들에게 조언하기를, 건축비가 많이 들더라도 추후 '적립되는 다양한 혜택'을 고려하면 초기 투자비가 큰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리고 건축비를 절감하는 방법은 찾아보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어떻게 지어졌나용인 쌍둥이 주택은 단열재 및 거푸집 기능을 동시에 하는 독일 이조라스트 단열블록을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다. 단열블록(내부 두께 65㎜, 외부 두께 180㎜) 조적 후 양단열재 사이 200㎜ 폭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했다. 패시브하우스 구현을 위해 독일에서는 이조라스트 단열블록에 직경 13㎜의 레미콘 골재를 사용하지만 국내는 23~25㎜골재를 주로 생산하기에 13㎜골재를 소량주문하려면 그 만큼 비용이 많이 든다. 설계자 이태구 교수가 상한선 19㎜를 제시해 어렵사리 적절한 레미콘을 주문할 수 있었다.시공을 담당한 서충원 대표는 "국내 주택 건축 현장에서 종종 무시되는 공종이 기초 단열"이라며 "패시브하우스를 구현하려면 기초 단열은 벽과 지붕 단열 못지않게 중요하고 충분한 단열 조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래서 용인주택 기초판 아래는 물론 사방 650㎜ 높이까지 압출법 보온판으로 감싼 형태로 세심하게 시공했다. 매트 콘크리트 기초판 아래 압출법 보온판 125㎜를 두 겹 시공하고, 기초 위에 40㎜ 비드법 보온판(네오폴)을 시공한 후 난방배관, 모르타르 시공했다.패시브하우스에서 고단열 자재 적용과 함께 중시하는 것이 바로 기밀 시공이다. 벽과 천장에 창호 및 배관 등의 모든 개구부와 틈을 밀폐용 자재를 사용해 기밀 조치해야 한다. 서 대표는 "기초 단열도 다른부분과 마찬가지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열재 전용테이프로 기밀하게 시공해야 하는데 기초부분은 무시되기 일쑤"라며 "단열재를 깔기만 하고 밀폐 시공은 안 하는 현장도 많다"고 지적했다. 당장은 괜찮아도 작은 틈을 통해 단열재 설치가 아예 무의미해지거나 몇년 후 단열재기능이 저하된다는 설명이다. 지붕은 2″×10″서까래 사이 유리섬유 단열재 R-19 두 겹, 2″×4″장선에 단열재 R-11을 교차 시공해목재 열교를 줄이고자 했다. 단열재 시공 후 가변형 투습지를 밀폐용 실리콘과 테이프를 사용해 기밀 시공했다. 서 대표는 "단열재 적용에 있어 방수 · 투습 · 밀폐 시공을 소홀히 하면 아무리 고단열재를 시공해도 그 기능이 5년도 못가서 제로에 가까워 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국내 지어진 에너지 절약 주택에 적용한 폐열회수 환기 시스템을 보면 한 공간에 급기와 배기를 설치한다. 그러나 김승준씨 주택은 거실과 침실에는 외부 맑은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를, 현관과 욕실에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빼내는 배기를 설치했다. 실별 용도에 적합하게 급 · 배기를 나눠 설치했는데 바닥면적이 넓지 않으므로 전체를 하나의 공간으로 본 것이다.서대표는 "드물게 한부지내에 쌍둥이 건축을 진행함으로써 물류, 자재구입, 장비사용, 인력의 효율적인 이용 등 여러면에서 가시적인 경비절감을 이뤘다"고 전했다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난방 요구량이 패시브하우스 기준 충족하는 용인 쌍둥이 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