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들판을 화려한 빛깔로 밀물처럼 덮었다 썰물처럼 사라지는 봄꽃과 달리 여름 꽃은 마치 이어달리기하듯 다른 꽃들이 연달아 피고 지기를 반복한다. 잔잔한 파스텔 톤으로 더위를 달래주는 우리 여름 꽃을 알아보자.

글·식물 사진   김명진 <카페 들꽃이야기 /영월자원식물연구회>

봄에 핀 분홍 금낭화가 초여름까지 달리고 연못에 창포가 쑥쑥 자란다. 여름이 깊어지면 연못은 초록으로 우거지게 된다.

우리 꽃은 원색 위주의 원예종이나 외국 꽃같이 화려하지는 않지만 중간색 톤으로 은은하고 온화한 느낌으로 기품이 느껴진다. 카페 들꽃이야기에는 같은 자리에서 약 600종의 우리 꽃이 봄부터 가을까지 피어난다. 보통 사계절 가운데 봄에 꽃이 가장 많이 피는 줄 알지만 사실은 여름에 가장 많은 종류의 꽃이 핀다.
 
이른 봄 복수초를 시작으로 노루귀, 바람꽃, 피나물이 피기 시작한다. 키가 작은 봄꽃들은 키가 큰 여름 꽃이 올라오기 전 5월쯤에 벌써 씨를 뿌린 다음 긴 잠에 들어갈 채비를 한다. 5월 말 금낭화, 매발톱을 끝으로 봄꽃이 지고 나면 백두산에 피는 날개하늘나리를 시작으로 하늘나리, 털중나리, 솔나리 등 화려한 나리꽃들이 제일 먼저 여름을 반긴다. 마치 찬란한 태양에 견주듯 붉은 계통의 색으로 화려함을 뽐낸다. 중간 중간 털동자, 두메양귀비, 큰금매화, 꿩의다리, 터리풀, 기린초, 냉초, 술패랭이, 꼬리풀, 범꼬리 등이 피어나고 더위가 더할수록 꽃창포, 숫잔대, 비비추, 하늘말나리, 까치수염, 물래나물, 금불초, 부처꽃, 금꿩의다리, 원추리, 으아리, 어수리, 땅나리, 동자꽃, 제비동자 등 노랑 주황 보라 흰색 분홍… 각기 다른 빛깔과 자태로 자신의 매력을 공기 중으로 한껏 발산한다.
 
더위가 막바지로 가는 즈음에는 나리 중 가장 키가 큰 참나리를 비롯해 벌개미취, 참취, 뻐꾹나리, 범부채, 모싯대, 자주꽃방망이, 큰꿩의비름, 층꽃나무, 상사화, 타래난초가 꽃을 피우고 이어서 용담, 쑥부쟁이, 솔채, 구절초 등 가을꽃들이 피기 시작한다.

필자가 운영하는 카페 들꽃이야기 마당에는 수백 종의 우리 꽃이 살고 있다.

이어달리기하는 여름꽃
들꽃이야기 마당에도 기린초 종류와 날개하늘나리, 하늘나리, 털중나리, 솔나리, 참나리, 금꿩의다리, 부처꽃, 꽃창포, 마타리, 동자꽃등 수십 종의 여름 꽃을 볼 수 있는데 여름이라도 이들 꽃들을 같은 시기에 한꺼번에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봄꽃은 주로 한꺼번에 피어나 마치 꽃 축제라도 하듯 화려한 색채를 뽐내다 썰물처럼 사라지지만 여름 꽃은 그와 대조적이다.

하나의 꽃이 질 무렵 그와 맞물려 또 다른 꽃이 피고 또 그 꽃이 가장 찬란한 순간을 보낸 후 고개 숙일 무렵 다시 다른 꽃이 바통 터치를 한다. 이처럼 여름 꽃들은 바통을 들고 이어달리기를 하는 듯하다. 이런 식으로 어제와 같은 자리에서 어제와 다른 꽃을 오늘 볼 수 있는 계절이 여름이고 이 또한 우리 꽃을 보는 즐거움이다.

▶햇볕 잘 드는 양지◀

털중나리 / 비비추 / 하늘나리

상사화 / 술패랭이꽃
용머리 / 까치수염
큰제비고깔 / 으아리

배식하기
잘 자라는 환경에 맞추어 심기
양지, 음지, 반음지 또는 바위와 모래가 있는 건조한 곳, 물가 등 습한 곳 등 어떤 환경을 좋아하는지 우리 꽃의 성향을 파악해 그에 맞게끔 심는다. 어떤 꽃들이 어떤 곳에서 더욱 잘 자라는지 살펴보자.

▶반음지◀

하늘말나리 / 톱풀
터리풀 / 노루발풀
산수국 / 산솜방망이 / 자주꽃방망이
섬말나리 / 솔나리 / 벌노랑이

군락을 이루는 것끼리 심기
주의해야 할 점은 벌개미취나 구절초같이 무리 지어 사는 습성이 있는 것들은 따로 심는다. 다른 꽃들을 없애버리기 때문이다.

▶바위, 모래 곁 건조하면서 양지◀

두메양귀비 / 바위솔
기린초 / 패랭이꽃

섞어 심기
봄꽃부터 가을꽃까지 50가지 정도씩 섞어 심으면 같은 자리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약 15일 간격으로 다른 꽃을 볼 수 있다. 다년생이라 매년 심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 한자리에서 다양한 야생화를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가 어떻게 자연의 섭리를 예측할까. 심은 꽃이 어느 해에 보이지 않더라도 너무 낙담하지 말라

야생화의 세력에 따라 어느 해는 이 꽃이 많이 피었다가 또 어느 해는 다른 꽃이 많이 피기도 한다. 그렇기에 다년생 야생화 여러 가지를 혼식하면 화단은 자연스럽게 해마다 그 느낌이 달라질 것이다.

▶물가 혹은 습한 곳◀

물레나물 / 부처꽃
노루오줌 / 동자꽃
참취 / 꽃창포
꿩의다리 / 털동자꽃
물봉선 / 제비동자꽃

▶연못에 자라는 꽃◀

각시수련

어리연꽃

자라풀

파종하기
우리 꽃을 보려면 야생화 전문점에서 구입하거나 씨를 받아 와서 씨를 뿌려 개체 수를 늘리는 방법이 좋다. 산에 있는 꽃이라고 함부로 채취하면 안 된다. 이식하면 잘 살지도 않을뿐더러 멸종 위기 식물도 있기에 조심해야 한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과 보호 야생식물은 법으로 채집이 금지돼있다. 어떻게 보면 손안에 들어오는 작은 식물에 불과할 수 있지만 자연환경은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재산이며 이를 지키는 것은 당연한 의무다.

공간의 여유가 있다면 수고스럽지만 씨를 뿌리는 방법이 가장 좋다. 한 번에 수백 본을 얻을 수 있으며 우리 꽃의 생태도 자연스럽게 알게 되고 애착도 더해진다. 삼목 상자나 모판에 상토를 뿌린 후 파종을 하면 된다.
 
봄에 받은 씨는 바로 파종해야 한다. 만약 이듬해 봄에 뿌리면 발아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봄에 할미꽃 씨를 받아 바로 파종하면 거의 100% 발아를 한다.
 
그러나 한두 달 후에 파종하면 발아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깽깽이 풀의 경우 바로 씨를 뿌리면 이듬해 일부 싹을 틔우지만 씨를 보관했다가 이듬해에 뿌리면 싹을 틔우는 데 2년 정도 걸린다. 나리 종류는 발아 후 약 3년이 지나야 개화구가 나온다. 그만큼 시간과 노력이 든다. 때때로 파종 후 꽃을 보는 데 애간장을 녹이는 꽃도 있지만 직접 씨 뿌리고 꽃을 기다리는 과정을 몇 해 겪다 보면 우리 꽃을 이해하고 자연의 섭리를 새삼 느끼는 기쁨을 얻는다. 가을꽃은 씨를 받아 다음 해 봄에 일찍 뿌리면 대체로 잘 나온다. 간혹 어수리나 누리대 등 몇 종은 파종 2년 후쯤에 싹을 틔우기도 한다.

씨를 받아 봄에 모판에 파종해 생장 과정을 관찰해 보자. 공간을 차지하기는 하지만 한 번에 수백 본 을 얻을 수 있다.
기후가 맞지 않아 일찍 고사한 여름꽃의 씨를 받고 있는 모습.
여름을 알리는 붉은 주황색 하늘나리가 피어 있는 필자 김명진 씨의 정원.

계절마다 기후의 영향으로 꽃에서 받는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 봄꽃은 춥고 단조로운 겨울 끝이라 화려한 느낌이 나고 여름꽃은 작열하는 태양 아래 잔잔한 느낌을 준다. 가을꽃은 단풍과 잘 어우러지는 빛깔을 내며 겨울 동면을 앞두고 깊은 맛이 난다. 우리 꽃의 묘미는 원예종같이 단일 종으로 밀식하는 게 아니라 여러 종류의 꽃들이 어우러지는 어울림에 있다.

자연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큰키나무가 자라고 그 아래 작은 키나무, 그 아래 야생화가 자란다. 조금씩 자리를 내어주고 양보하며 어울려 자란다. 꾸미지 않은,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는 뜻의 자연스럽다는 말이 딱 들어맞는 모습이다. 유능한 조경사가 정원을 만들어도 꾸미지 않은 자연보다는 더 자연스럽지는 않을 것이다.

글쓴이 김명진
강원 원주 신림면 성남리에서 카페 들꽃이야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들꽃을 지극히 사랑하는 그는 영월자원식물연구회 회원으로 우리 토종 들꽃을 알리고 지키는 데 힘을 쏟고 있으며 그의 마당에는 600종의 아름다운 들꽃들이 철마다 옷을갈아입고 있습니다. 20년간 가꿔온 그의 마당에는 언제나 벌과 나비 그리고 사람들이 향기를 좇아 머뭅니다.
들꽃이야기 033-762-2823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은은한 기품으로 태양보다 찬란한 여름꽃 피는 우리 야생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