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에는 나무의 피톤치드 Phytoncide 효과를 보기 위해 실내 마감에 목재를 많이 쓴다. 그런데 피톤치드라는 단어를 살펴보면, '식물'을 의미하는 '피톤 Phyton'과 '죽인다'를 의미하는 '치드 Cide'의 합성어다. 즉, 오염물질을 죽이는 것이 바로 식물에서 나오는 향, 피톤치드인 것이다. 실내에도 마당 못지않은 정원을 꾸며 피톤치드 솔솔 나는 청정 공간으로 가꿔보자.
글.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DB
먼저 어떤 형태로 실내 정원을 꾸밀지 계획한다. 형태는 바닥에 방수 처리 및 흙을 깔고 화단을 구성하는 방법, 대형 플랜터에 여러 식물을 심는 방법, 간단히 화분을 배치한 후 화단을 꾸미는 방법이 있다. 대대적으로 화단을 시공할 경우 흙먼지가 날리지 않을까 걱정한다면, 괜한 걱정이다. 흙먼지 없이 안심하고 쓸 수 있는 실내 조경용 토양이 있다. 또한 편리한 관리를 위해서는 식물 수를 줄이고 조각이나 분수 등 소품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화단은 동선에 불편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위치와 규모를 정하고, 높이는 15~25㎝ 돼야 흙을 담기에 적당하다. 펜스는 각목이나 벽돌, 로프 등을 주로 쓰고 공간과 어울리는 것을 사용한다. 대형 플랜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나무 박스, 유리 그릇, 가마솥, 소쿠리 등 다양한 플랜터로 색다른 공간 연출을 할 수 있다. 간단하게 화분들을 한 곳에 모은 후 벽돌 등 펜스로 화분을 가려 화단 분위기를 낼 수도 있다.
또한 실내 정원 형태로, 평면으로 설치하는 일반적인 방법, 입체적으로 설치하는 방법 그리고 벽면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입체적으로 꾸미는 방법은 천장이나 장식품을 활용해 양치류나 덩굴식물을 매다는 것이다. 최근 실내 정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방법을 선보이고 있는 것은 벽면 실내 정원이다. 공간에서 가장 먼저 시선이 닿는 벽면에 조경을 함으로써 공간을 부드럽고 쾌적하게 만드는 효과가 크다. 게다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벽면 전체를 화단으로 꾸미는 방법과 수직 수평으로 작은 화분들을 걸어 연출하는 방법이 있다. LED 조명을 이용해 채소를 재배하는 실내 텃밭 시스템도 공간과 기후 제약을 초월한 아이디어 상품으로 최근 각광 받고 있다.
빛·온도·습도 고려한 배치
실내 정원 배치 시 고려할 사항 중 하나는 빛, 온도, 습도 등 환경조건이다. 특히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빛은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광합성을 잘 해야 공간에 좋은 기운도 줄 수 있다. 실내 조도는 보통 1000Lux(실외 조도 : 2만~10만 Lux) 이하며 창가라도 5000Lux 이하다.
식물별로는 꽃 보기 식물이 가장 많은 빛을 필요로 하며 그 다음은 허브식물, 자생식물, 관엽식물순이다. 화원에서 구입한 식물을 집으로 가져와 배치할 때도 달라진 조도 환경에 차츰 적응하도록 조도가 높은 곳에 우선 배치했다가 원하는 공간에 두는 것이 안전하다.
보통 주택은 공간별로 온도 차가 거의 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크게 걱정할 부분이 아니나 겨울철 난방기를 가동시키지 않아 기온이 낮은 공간이 있다면 식물 배치 시 고려할 부분이다. 반대로 지나치게 더운 곳에서는 벌레가 생기고 시들기 쉽다는 것도 알아 둔다. 식물은 원산지에 따라서 적정 온도가 다르다. 관엽식물은 대부분 열대나 아열대가 원산지로 겨울철에도 12℃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좋다. 겨울에 난방이 되지 않는 발코니나 독립적인 현관 등에는 관엽식물을 두지 말고 실내로 들여 놓아야 하며 자생식물이나 개화를 위해 저온이 요구되는 식물을 둬야 한다.
겨울에는 또한 난방으로 실내가 더욱 건조해진다. 공간별 습도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은 아니지만 물 사용이 잦은 주방과 욕실은 습도가 높은 편이며 현관과 거실처럼 외기와 면한 공간은 건조한 편이다. 습도가 낮아진다 싶을 땐 자주 분무해주거나 식물들을 서로 모아 두는 것이 이롭다. 습한 곳은 부드러운 잎을 가진 관엽식물, 난류, 양치류 등이 적합하고 건조한 곳에는 선인장, 다육식물이 기르기 좋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