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위치한 삼가헌三可軒(중요민속문화재 제104/대구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800)은 박팽년의 11대손인 성수聖洙1769년 이곳에 초가를 짓고 자기의 호를 따라 삼가헌이라 한 것에서 유래한다. 그 뒤 그의 둘째아들 광석光錫이 벼슬에 물러난 후 1826년 초가를 허물고 현재와 같은 정침과 사랑채를 지었다. 누마루와 연못이 일품인 별당 하엽정은 광석의 손자인 규현奎鉉(:荷亭)이 파산서당으로 사용하던 건물로 1874년 건축했다.

최성호   사진 홍정기

하빈면 묘리에는 사육신 중 한 명인 충정공 박팽년(1417∼1456) 후손이 모여 사는 순천 박씨 집성촌이 형성돼 있으며, 1769년 박팽년의 11대손인 성수聖洙가 지은 삼가헌은 박씨 집성촌과는 낮은 산을 경계로 하고 있다.

삼가헌三可軒이라는 이름은 중용에서 나왔다. 중용 제9장에는 '子曰天下國家可均也, 爵祿可辭也, 白刃可蹈也, 中庸不可能也(자왈 천하국가가균야, 작록가사야, 백도가답야, 중요불가능야)'라는 문구가 있다. '천하와 국가는 다스릴 수 있고, 관직과 녹봉도 사양할 수 있고, 시퍼런 칼날을 밟을 수도 있지만 중용은 불가능하다'라는 뜻이다. 천하를 다스림은 지知이고, 작록을 거부하는 것은 인仁이며, 칼날을 밟는 것은 용勇에 해당하는데 삼가三可는세가지를 말한다. 즉 선비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을 모두 지녔다는 뜻이다.

현관 역할을 하는 문간채 너머 사랑채가 보인다. 사랑채 몸채는 전면 다섯 칸 측면 네 칸이다.
사랑채 옆으로 놓인 것이 방앗간이다.

빼어난 경관을 지닌 '연꽃잎 정자'하엽정
삼가헌은 별서를 가진 구조다. 별서를 구성하는 방식은 집 안에 있느냐 조금 떨어져 있느냐로 구분하며, 연못이 있는가, 없는가로 나뉜다. 이곳은 본채와 같이 붙어 있으면서 연못을 앞에 두고 있다. 별서의 이름은 하엽정荷葉亭으로 하荷는 연꽃을 의미한다. 즉 하엽정은 '연꽃잎 정자'라는 뜻으로 경관이 훌륭해 주손은 "사진가들이 연꽃을 찍기 위해 많이 찾는다"고한다.
    
'종손宗孫'이란 명칭 대신 '주손이라 쓴 것은 집주인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집주인은 '종손'은 장자長子로 계속 이어 왔거나, 불천위 등과 같은 분을 모시어 파를 새롭게 만들어 내려오는 경우에만 붙일 수 있다고 하면서 요사이 제대로 호칭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자신 가문은 종손 집안이 아니므로 '주손'이라고 불려야 한다고 했다.
    
하엽정은 원래 일자형 네 칸 건물이었는데 앞에 누마루를 한 칸을 늘여 붙였다고 한다. 연못은 앞쪽으로 길게 뻗은 직사각형이고 가운데 원형 섬이 있으나 지금은 연엽이 우거져 가운데 섬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원래 서당으로 쓰던 곳이어서 앞에는 '하엽정'이라는 당호와 함께 '파산서당巴山書堂'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하엽정은 집안에 혼사가 있을 때는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한다고 한다. 주손의 말에 의하면 처음 이 집에 온 며느리는 바로 안채로 들어가지 않고 시댁의 분위기를 익히기 위해 이곳에서 얼마간 머물렀다고 한다.

본채와 붙어 있으면서 연못을 지닌 별서, 하엽정. 연꽃 피는 모습이 매우 아름다워 사진 애호가들이 자주 찾는다.
사랑채 대청. 오량집이나 삼량집에서 쓰는 서까리를 걸다보니 지붕이 낮아 졌다.
원기둥에 익공으로 지은 당당한 모습의 사랑채. 편안한 느낌이 드는 기품있는 건물이다.
영의정을 지낸 허목이 쓴 현판. / 벽체를 돌과 흙으로 쌓은 곳간. 삼면이 막혔고 전면에 출입을 위한 판장문을 뒀다.

밖에서 보기와 달리 위압감이 상당한 사랑채
평대문인 문간채를 지나면 사랑채가 바로 눈앞에 맞닥뜨린다. 사랑채는 여태까지 보아온 다른 사랑채와는 다른 느낌을 주는 건물이다. 사랑채 몸채는 전면 다섯 칸 측면 네 칸이고 뒤쪽으로 두 칸 날개채가 있는 ㄴ자형으로, 원기둥에 익공으로 지은 당당하면서도 품위가 있는 건물이지만 대문칸에서 보면 지붕이 높지 않아 편안한 인상이다.
그러나 대청에 앉아 보는 모습은 밖에서 보는 모습과는 달리 위압감이 대단했다. 부재도 튼실하고 다루는 솜씨도 일품이다.
    
이유는 서까래 결구에 있었다. 사랑채는 오량집으로 오량집은 중도리를 중심으로 주심도리 쪽 즉, 바깥쪽으로는 장연長椽이라고 불리는 긴 서까래를 걸고 종도리 쪽으로는 단연短椽이라는 짧은 서까래를 건다. 일반적으로 장연은 경사가 완만하고 단연은 경사가 급해 지붕이 높아지지만 이 집은 삼량집과 같이 하나의 서까래로 지붕을 만들었다.
    
집은 오량집이지만 서까래는 삼량집이다 보니 지붕이 같은 오량집에 비해서 낮아진 것이다. 지붕 구조도 좌우가 다른데 대청 쪽은 팔작지붕이고 중문 쪽은 맞배지붕에 맨 끝 한 칸은 부섭지붕(한쪽으로 경사가 진 지붕)이다. 이는 옆 마을 태고정과 같은 구조로 이를 참고해 지은 것으로 보인다.
    
사랑채 뒤쪽으로 돌출된 두 칸 중 한 칸은 마루, 한 칸은 작은 사랑이다. 마루 한 칸은 벽감을 만들어 위패를 모시는 공간으로 쓰는데 사당이 없을 경우 안채 대청에 벽감을 만들어 신주를 모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신주를 모시는 경우는 이곳에서 처음 봤다. 주손에 의하면 장례가 있을 때는 시신을 모시는 제청으로 쓰였다고 한다. 작은 사랑으로 들어가는 문 위쪽에는 禮義廉恥孝悌忠信라고 쓴 현판이 있는데 영의정을 지낸 남인의 영수 허목(1595~1682)의 글이라 한다.
    
사랑채는 측면이 두 칸인 겹집으로 네 칸 대청이 널찍하다. 큰 사랑채는 전면 두 칸인데 앞쪽에 반 칸의 퇴칸이 있어 방 깊이는 한 칸 반으로 다른 집 사랑채 방보다 크다. 사랑채 뒤쪽으로는 처마 밑으로 반의반 칸 규모의 반침을 들였는데 지금은 막혀 있지만 예전에는 이쪽에 문이 설치돼 있어 안채와 왕래할 수 있게 했다고 한다. 전면 중문 쪽 한 칸은 앞쪽에 시봉하는 동자가 머무르던 상방이고 뒤쪽에는 부엌이 있는데 부엌에도 쪽문을 달아 사랑방과 직접 이어지게 했다.

배치도
단열을 위해 두꺼운 흙으로 마감한 부엌 뒷면. / 안채와 사랑채 사잇길로 곳간에 들어가는 길이 있다. / 방갓간에서 안채로 향하는 통로.
사랑채 뒤에 놓인 안채. 화재로 소실돼 2009년 다시 지었다.

기둥이 있는 특이한 곳간
안채로 들어가는 세 칸 중문은 초가로 세 칸 중 중문 반대쪽 칸은 방앗간으로 쓰였는데 이렇게 초가로 된 중문이 그리 흔한 것은 아니다. 주손의 증언에 의하면 예전부터 초가였다고 하는데 아마도 선비의 검소함을 보여주기 위해 그런 것이 아닌가 한다.

안채는 ㄷ자 형태인데 안방에 면한 부엌 쪽이 두 칸 짧다. 안채는 전면 여섯 칸 전퇴집으로 삼평주 삼량집인데 안채는 2009년 4월 화재로 소실돼 다시 지었다. 다행히 건넌방 날개채 쪽으로는 불이 옮지 않아 과거의 모습을 남기고 있다. 안채의 특징은 부엌 쪽 벽체다. 측면과 후면 방화장 벽체가 일반 집과는 달리 매우 두꺼운데 이유는 부엌을 외부 열기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 추정되지만 다른 두 면이 일반 집과 같아 얼마나 효과가 있었을지 의문이다.

이 집에서 가장 특색 있는 부분은 곳간이다. 곳간 벽체는 돌과 흙으로 쌓았는데 아래쪽이 위쪽보다 두껍게 돼 있어 안정감을 준다. 이 곳간은 삼면이 막혔고 전면에만 출입을 위한 판장문이 있으며 위쪽 좌우 한 곳씩 그리고 가운데 두 곳에 조그마한 봉창을 뚫어 놓았다. 벽체는 단열을 위해 2자인 60㎝ 정도로 두껍게 했다. 이런 구조는 달성과 인접한 성주 한개마을의 곳간과 비슷해 이 지역의 특징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개마을 하회댁 곳간과 다른 점은 기둥이 있다는 것이다. 하회댁 곳간은 안과 밖이 모두 같은 재료로 별도 기둥을 세우지 않았으나 이곳은 벽 안쪽에 기둥을 세웠으며 가운데 들보에도 이를 받치는 두 개의 기둥이 있다. 전면 세 칸 측면 두 칸 규모지만 벽에 있는 기둥이 그리 크지 않고 서까래도 기와집으로서는 적당한 크기가 아닌 것으로 보아 처음에는 초가로 지었던 것을 나중에 기와를 얹고 단열을 위해 후에 벽체를 덧붙인 것으로 추측한다.

마을에서 본 삼가헌. 낮은 뒷산과 안겨 포근한 모습이다.
삼가헌 전경.
진입로에서 본 모습으로 길게 이어진 낮은 담이 한옥 운치를 더한다.
문간채에는 종도리를 받치는 장혀에 개국開國4244년에 상량했다는 명문이 있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단기檀紀연호로 서기西紀1911년에 해당한다. 즉 문간채가 지어진 때는 한일늑약이 이뤄진 다음 해였다.

이렇게 상량문을 단기로 기록했다는 것은 일제에 대한 무언의 거부로 삼가헌의 정신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1961년 5·16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정권은 국가재건최고회의를 통해 그해 12월 단기 연호를 폐지했다. 근대화라는 기치 아래 사라져 버린 단기 연호, 그와 함께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도 사라진 것이 아닌지 씁쓸하다.

글쓴이  최성호
1955년 8월에 나서, 연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1982년에서 1998년까지 ㈜정림건축에 근무했으며, 1998년부터 산솔도시건축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 이야기》가 있습니다.

전원주택라이프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고택을 찾아서, 知 · 仁 · 勇을 품은 달성 삼가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