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 정원에는 이른 봄에서 초여름까지 꽃이 피는 다양한 종류의 철쭉이 있습니다. 그중 온실 연못 바로 옆에는 대여섯 살 때부터 지금까지 묵묵히 내 옆을 함께한 분홍 철쭉 한 그루가 있습니다. 정원 식구 중 가장 오래된 아이지요. 친정집 정원에 뽑혀 나뒹굴어져 있는 것을 보고서 차에 실어 데리고 와 화분에 소중히 심었습니다. 지금의 집으로 이사 오기 전 작은 정원이 있는 동향집에 살았는데 화분을 대문 입구 계단에 두고 잘 키웠습니다. 큰 아이가 5학년 되었을 때 정원이 있는 남향집으로 이사를 오면서도 현관 입구 계단에 뒀습니다. 그리고 해마다 예쁘게 잘 자라 아주 커다란 아름드리나무가 되었습니다.
아이를 아주 좋아했습니다. 어느 날 꽃을 좋아하는 친정아버지가 이 아이를 가지치기한다고 몽땅 잘라 버린 일이 있었습니다. 그 모습이 하도 애석해 무서운 아버지를 곁에 두고 내 입에서 나도 모르게"아이고 이를 어쩌나 몽땅 잘렸네"라는 말이 나와 버렸습니다. 그때 머쓱해하면서 무안해하던 아버지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합니다. 이후 아버지는 한 번도 우리 집 꽃밭에서 가위질을 하지 않았습니다.
아버지는 유난히도 꽃을 좋아해 정원이 있는 우리 집에 자주 왔습니다.
다른 자식들 집(아파트)은 답답하다며 밥 한 끼 잘 들지 않았지만 우리 집에서는 며칠씩 머무르다 내가 피곤해할까 봐 집에 돌아갔다가는 손자들이 보고 싶다며 다시 오곤 했지요. 그땐 반갑기도 했지만 한편으론 워낙 엄한 분이라 어렵기도 했습니다. 철쭉을 볼 때마다 엄하고 무서웠던 아버지의 난생처음 무안해하던 모습이 아직도 가슴속에 남아있습니다. 이 아이는 세월이 흐를수록 멋스러운 수형으로 운치를 더해주는데 아버지는 멀리 떠났습니다. 가신 빈자리에는 사랑과 그리움만 가득 남아 있지요.
언제부터인지 알 수 없지만 철쭉을 아주 좋아했습니다. 봄에는 예쁜 꽃들을 올망졸망 달고 나오는 모습이 꼭 시골 사촌 언니와 같은 정겨움이 있어 좋고 가을에는 울긋불긋한 예쁜 단풍이 있어 좋았습니다. 단풍을 달고 한 겨울 잘 지내다 이른 봄 다시 철쭉들은 이곳저곳에서 연달아 꽃을 피웁니다. 특별히 보살피지 않아도 물만 잘 주면 참 잘 자라는 기특한 아이지요.
이곳에 이사 온 직후 약간은 엉터리 정원사의 말에 휘둘려 정원 전체에 철쭉을 가득 심었답니다. 그런데 내가 상상했던 정원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다 온실에 연못을 만들면서 수형이 멋있는 녀석을 골라 연못가에 심었습니다. 그땐 소중한 존재였습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너무 친숙해진 그 존재를 가마득 잊고 있었습니다. 꽃이 피면 "아~ 꽃 예쁘게 피었네" 하면서 무심하게 보내곤 했지요. 철쭉에 산타 할아버지를 위한 양말을 달고 여행에서 데려온 새 모형과 조그만 인형들을 두고 나무 아래 둥치 가까이에는 소엽 풍란을 심는 등 주변에 함께하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더더욱 그 아이를 잊고 지냈습니다.
5월이 끝나 가던 어느 날, 금붕어가 잘 있는지 궁금해 연못 안을 들여다보니 아련한 그리움이 있는 고운 모습으로 피어난 연분홍 철쭉꽃이 아름다운 전경을 만들며 금붕어와 함께 놀고 있었습니다. 평화롭고 아늑한 모습이었습니다. 이 아이의 소중한 모습을 다시 깨달았습니다.
'참 오랜 세월 함께 했구나.'
가지를 정리했습니다. 6월 중순 무렵, 온실 작은 연못가에서 한 아름 분홍빛 꽃 잔치를 치르고 난 뒤 어수선해진 나무를 정리했습니다. 다음 날 이른 아침, 철쭉나무 가지들 사이로 들어온 아침 햇살이 하도 고와 멍하니 쳐다보다 멀리 떠난 아버지의 팔뚝을 보았습니다. 불룩불룩 핏줄이 나온 우리 아버지의 팔뚝입니다. 아주 오래전 무척 엄하시던 아버지, 이 아이를 몽땅 잘라 무안해했던 모습도 떠올랐습니다.
아버지가 그립습니다.
로더덴드런 Rhododendron 이란 학명의 철쭉은 땅에서 수평으로 자라는 것부터 25m까지 수직으로 크는 다양한 상록, 낙엽 낙엽 활엽관목으로 500~900종류가 있는데 바닷가나 숲속부터 높은 산악지대까지 다양한 곳에서 자랍니다. 대부분 아주 화려하며 때로는 강한 향기를 가진 꽃을 피우고 크기와 형태와 색도 다양합니다. 참고로 로더덴드런은 그리스어로 장미란 뜻을 가진 Rhodos와 나무란 뜻을 가진 Dendron이 합쳐진 말이라고 하네요.
다양한 종류의 철쭉 중 우리나라에는 진달래와 왜철쭉(Sathuki)이 자생합니다. 산이나 언덕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 봄 경치를 아름답게 하는 진달래는 참꽃 혹은 두견화杜鵑花로 불리기도 합니다. 일본에서 들어온 왜철쭉은 진달래꽃이 지고 나서 한 달쯤 지난 5월부터 잎이 나오는데 해발 100~1,500m 되는 곳까지 넓게 퍼져 있으며 꽃만 피우거나 잎과 꽃을 함께 피우기도 합니다. 특히 왜철쭉은 상록철쭉으로 일반 주택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분재용으로도 많이 활용됩니다. 남쪽에서는 밖에서 월동이 가능하나 서울 등 중부지역에서는 월동이 되지 않기에 아파트 발코니 등에서 무난히 키울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꽃과 푸른 잎과 단풍을 볼 수 있어 꽃을 키우려는 초보자들에게도 매우 매력적인 나무랍니다.
우리 집에 있는 아이들도 거의 왜철쭉입니다. 작은 용기에 심어 분재로 활용하고 정원 이곳저곳에 심어 정원의 뼈대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봄에는 꽃, 여름에는 녹색 잎, 가을에는 고운 단풍 등으로 일 년 내내 정원에 풍성함과 운치를 주는 고마운 녀석이지요.
'철쭉은 물로 자란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물을 좋아합니다. 뜰에 심은 아이는 거의 보살핌을 받지 않아도 잘 자라지만 분재 용기에 있는 아이는 물이 마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겨울에는 수분을 잘 유지해야 합니다. 강한 햇빛보다는 그늘과 햇빛이 함께 있는 곳에서 잘 자라고 산성흙을 좋아합니다.
철쭉과 소나무가 함께 있는 것을 자주 봅니다. 소나무는 아래로 산성을 지닌 송진을 떨어뜨리기에 대부분의 식물이 잘 견디기 못하지만 진달래과 철쭉은 산성흙에서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용기에 심은 철쭉은 자는 동안에는 한 달에 한 번쯤 거름을 줘야 하지만 꽃이 피기 직전과 꽃이 피어 있는 기간에는 절대로 거름을 주면 안 됩니다(저 역시 올해 다른 꽃들에게 거름을 주면서 별생각 없이 몇몇 분재분에 거름을 줬는데 예쁜 꽃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또 겨울부터 봄이 시작되기 전까지도 거름을 주지 않습니다. 이 시기에 거름을 주면 꽃눈이 잎눈으로 변해 꽃봉오리가 그냥 떨어져 버립니다. 또한 철쭉은 솜털처럼 가느다란 뿌리를 지녀 강한 비료를 주면 바로 말라죽을 수 있으니 얕게 심어야 합니다. 솜털처럼 엉킨 가느다란 뿌리들은 지면地面가까이에서 자라 깊게 심으면 죽을 위험이 있습니다.
아름다운 수형을 유지하기 위한 가지치기는 꽃이 진 후인 6월에서 7월 초까지 해야 합니다. 꽃눈은 늦여름이 지나면서 형성돼 이것을 달고 겨울을 지내기에 7월 이후 가지치기를 하면 다음 해에 꽃을 보기 어렵습니다. 참고로 온실 작은 연못가에 심은 아이는 거름은 거의 주지 않고 물만 줬습니다.
철쭉은 신라 성덕여왕聖德겿王 시절 순정공純貞公이 강릉태수로 부임할 때 그의 부인 수로가 철쭉꽃을 갖고 싶어 하자 지나가던 농부가 꽃을 꺾어 바치고 불렀다는 헌화가獻花歌의 전설이 삼국유사에 수록돼 있을 정도로 우리 민족 정서와 친숙한 꽃입니다. 서양에서도 독일의 도시 슈투트가르트에는 1800년 무렵 그 지역을 통치했던 빌헬름 Wilhelm 1세가 그 당시 처음으로 유럽에 소개된 아잘레아(철쭉)를 선물로 받았는데 부인이 그 꽃을 무척 좋아해 따로 정원을 조성했다고 합니다. 그 공원은 현재까지 이어져 동물원이 됐고 지금도 그 공원에는 철쭉이 많이 자라고 있습니다.
글. 사진 이명희
숙명여자대학교 가정 대학 졸업 후 평소 관심 분야인 정원 공부를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에 입학. 졸업논문'서민주택 정원 활성화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 취득. 평생 꽃을 가까이하여 얻은 경험과 대학원에서 연구한 이론적 체계를 바탕으로 아름다운 마을 가꾸기(담장 허물기 등)에 참여하고 있으며, 버려진 공간 속에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라도 심어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데 노력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