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골 주택은 도시와 다른 콘텍스트의 영향을 받는다. 그 영향은 형태뿐만 아니라 외부공간과 배치에서도 드러나고 심지어 그 집에 살아가는 사람들조차도 집의 영향을 받게 된다. 강릉 지안이네는 마당과의 관계성을 중요시한 맥락으로 진행됐다. 이 사례는 사람이 공간에서 살아가는 방식 역시 하나의 콘텍스트로 작용한다는 것을 생각하게 한다.
 
글 사진   고영성(포머티브건축사사무소 건축가)

HOUSE NOTE
DATA
위치  강원 강릉시 사천면 방동리
지역/지구  계획관리지역
용도  단독주택
건축구조  경량 목구조 + 중목구조
대지면적  710.00㎡(214.77평)
건축면적  155.25㎡(46.96평)
건폐율  21.87%
연면적  161.71㎡(48.92평)
용적률   22.78%
설계기간   2017년 6월~10월
공사기간  2017년 11월~2018년 6월
설계    포머티브건축사사무소 010-3311-3278 destiny0913@daum.net
고영성, 이성범, 이미현
시공    ㈜위집

MATERIAL
외부마감
지붕재 - 알루미늄 징크
외벽재 - 벽돌타일, 적삼목, 구로철판
내부마감
천장 - 합판 위 바니쉬 도장
벽 - 친환경 페인트
바닥 - 원목마루, 지정타일
단열재
지붕 - R21 글라스울
외단열 - R19 글라스울, THK 50 비드법 보온판

파트에 익숙했던 이들이 단독주택에 살게 되면서 가장 걱정하는 것은 안전이다. 마당을 가진다는 것은 외부의 간섭을 받을 수 있는 일이고 안전과 직결된다. 이곳의 건축주 역시 안전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주택은 오각형 대지 형상을 따라 자연스레 앉히게 되었다. 아늑하고 안전한 마당을 갖기 위해 중정형 주택이 됐고, 동쪽에 위치한 지안이네 외갓집과의 관계로 인해 ‘ㅁ’자가 아닌 한쪽이 열린 ‘ㄷ’자 형태의 배치가 됐다.

시주택은 택지 면적이 시골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높은 밀도 속에 빼곡히 들어선 주변 콘텍스트와 반응해야 하고 높이에도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기에 도시주택은 긴장감을 가지고 타이트해진다. 그에 반해 시골집은 낮은 밀도와 높이로 인해 여유가 생긴다. 자연스럽게 주택의 높이는 높이지 않으려 하고 지형의 레벨을 최대한 이용해 낮은 집이 되고자 한다.

히 외부에서 바라볼 때 대지를 가득 채운 집의 볼륨은 자칫하면 주변과 어울리지 않고 위화감을 줄 수 있어 좁은 도로와 접해 있는 별채는 최대한 낮고 완만한 경사를 가진 지붕으로 도로 폭에 맞는 스케일로 계획해야 했다.

현관 진입 후 복도
현관

별채, 마당 그리고 마루
주택에 있어 외부공간과의 관계는 집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별채와 이어진 짧은 회랑은 단순한 이동 통로 개념을 넘어선다. 사람들이 그 공간에 채워졌을 때 별채의 툇마루, 평상과 연속되어진 짧은 회랑에 반응한다. 단순히 비를 맞지 않고 이동하는 공간이 아닌 행위의 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외부 마당의 레벨은 0.8m 정도 차이로 형성되며 이것은 별채 공간과 마주하고 있는 정주 공간 사이에 위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은 외부인이 내부로 진입했을 때 별채로의 접근은 조금 더 수월하지만 주거동으로의 접근은 심리적으로 쉽지 않게끔 도와준다. 각각의 공간은 툇마루와 평상을 통해 내외부 공간의 흐름을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해 언제든지 시선을 교차하고 집 안 어디에서도 서로의 존재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진입 복도에서 주방을 바라본 모습과 주방
주방 및 거실
주방 쪽 복도
게스트룸 입구에서 바라본 전경
게스트룸

주방이 중심이 되는 집
주방은 집 중심에 위치하고 레벨은 별채와 동일하다. 집의 모든 곳을 바라볼 수 있는 구조로 돼 있어 마당에서 노는 아이와 별채에서 일어나는 행위, 집 안 내부를 볼 수 있다. 거실은 주방 위쪽으로 적층 된 복층 구성을 띄고 있어 주방과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식탁 앞쪽 공간은 스탠드 형식의 계단으로 구성돼 있어 수납이 용이하고 마당 툇마루와 이어져 외부 공간으로 확장성을 더해준다. 이 집에서 주방은 단순히 요리하고 식사만 하는 공간이 아닌 음악을 듣고 책을 읽으며 때로는 응접실 역할도 하는, 다른 여러 행위들이 수반될 수 있는 복합적인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된다.

거실
주방에서 부부 침실 쪽을 바라보는 복도
부부 침실 입구에서 바라본 모습
부부 침실과 방의 천정
아이 방
작업실

중목구조와 경량 목구조 혼합
목구조를 선호했던 건축주의 요구에 따라 곡선 형태와 넓은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조건에서 중목구조는 필연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는 구축 방식이었다. 경량 목구조에서는 이 곡선 형태의 공간과 넓은 개구부를 온전히 형성할 수 없었기 때문에 중목구조와 혼합된 경량 목구조를 쓰게 되었고 중앙 곡선 구간과 다락 그리고 용마루 부분은 온전히 중목구조가 쓰이게 되었다. 중목 구조 기둥과 보는 내외부에서 그대로 드러나고 경량 목구조 서까래는 외부에서 노출돼 이 집이 가지고 있는 따뜻한 느낌을 한층 더해준다.

나동 작업실
회랑 밑 그네를 타고 있는 지안이
작업실에서 안마당을 바라본 모습
회랑과 그네 낮과 야간 전경
진입부
현대사회에서 도시와 농어촌 주택의 경계를 짓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생각하지만 분명 많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무엇보다 공간을 대하는 삶의 자세가 다르다. 우리는 앞으로도 이 외침에 주목하고 그 마음에 귀 기울이고자 한다.
외부 입면(정면도)
마당
도로에서 바라본 모습
뒤쪽 언덕에서 바라본 전경
고영성·이성범(포머티브건축사사무소 건축가)
고영성 건축가는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솔토건축을 거쳐 2011년 디자인연구소이엑스에이를 개소했다. 이후 2013년 포머티브건축사사무소로 상호를 변경해 현재까지 다수의 감성적이고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공간의 표면에 대한 중요성보다 그 본질의 진정성에 주목하는 건축을 지향한다.
 
이성범 건축가는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공간건축에서 실무를 쌓았다. 공공성을 바탕으로 일상 속 건축의 가치를 탐구하고 건축의 본질에 관한 다양한 해석을 통해 이미지와 피상 위주의 건축으로부터 벗어난 다양한 건축적 가치를 모색하고 있다. 조선대학교 건축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며 BF(Barrier Free) 인증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아늑하고 안전한 마당 강릉 지안이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