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2019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

2019년 한국건축문화대상 일반 주거 부문 대상은 ‘모여가’가 수상했다. ‘모여가’는 여덟 가족 각자에 맞춤한 단독주택이기도 하고, 타운 하우스이기도 하며, 동네이기도 한 집이다.

 구성 & 진행  이수민 기자
 자료제공  대한건축사협회   사진 윤준환 건축사진작가

대상작 ‘모여가’는 다세대주택이기도 하면서 타운 하우스이며 단독주택이기도 한 여덟 가족이 한데 모여 지은 집이다.

HOUSING DATA
위치  부산 남구 대연동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
지역/지구  제1종일반주거지역, 근린생활시설
건축규모  지상 4층
대지면적  678.00㎡(205.09평)
건축면적  400.06㎡(121.01평)
건폐율  59.01%
연면적  819.83㎡(247.99평)
용적률  120.92%
설계  오신욱(라움 건축사사무소) 051-816-1405~6
시공사  ㈜콘크리트공작소

여덟 가족의 로망 찾기

모여서 집을 짓고 사는 것은 꿈같은 일이다. 하지만 점점 다양한 목적을 위해 모여 사는 집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구성원의 의견을 모두 수용하면서 각자의 형편에 맞게 집을 짓는다는 것은 너무 어렵다.
 
도심에서의 모여 사는 집은 흔히 빌라라고 이야기하는 다세대주택의 유형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런 다세대주택은 땅의 크기, 주변의 상황, 공사비 등의 이유로 천편일률적인 형태가 되기 마련이다. 수상작 ‘모여가’는 도심에서, 과도한 공사비 투입 없이, 각자의 가족 구성, 라이프스타일, 각 집의 예산, 그리고 각자의 가정에서 가지고 있던 집에 대한 로망을 찾아주는 집이다.

아이들이 좀 더 아이답게 자라기를 바라는 부모들이 뭉쳐서 집 짓기가 시작됐다.
한 건물에 각각 다른 개성의 여덟 채의 집이 담겨있다.
스물다섯 명을 위한 집짓기

젊은 부부들은 전원으로 쉽게 나가지 못한다. 각자의 일터가 도심에 있고, 아이들도 교육 때문에 도시를 떠나기 쉽지 않다. 아파트는 너무 삭막해 아이들에게 집에 대한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주기는 어렵다.

수상작 모여가는 아이들을 좀 더 아이답게 키우고 싶은 부모들이 뭉쳐서 시작됐다. 이들은 감성적 육아를 기대하며 특별한 개성을 드러내길 바랐다.
 
정감 있는 골목과 동네를 마련해주고, 자신의 아이들에게 많은 형제와 친구를 만들어 주고 싶었다. 그래서 건축가와 함께 목적에 걸맞은 환경을 만들기 시작했다. 땅을 구입하고, 그곳에 집을 짓기 위해 여덟 가족 약 25명은 행복한 모임을 시작했다.

도심 생활권은 유지하며 공동육아로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각자의 집은 가족의 독특한 라이프스타일과 가족 구성원이 가졌던 주택에 대한 로망에 맞는 구조와 공간을 따라 계획, 실현했다.
여덟 채의 집에 각각의 장점과 매력이 발산되도록 했다.
다른 집이 부럽지만, 그 집도 이 집이 부럽도록 하는 방법으로 건축과 공간을 만들었다.
건축가가 집집마다 그들의 경제적 예산과 꿈꾸는 집에 대한 로망에 맞춰 작업을 진행했다.
‘모여가’는 아이들의 친구가, 형제가, 자매가 가까이에 있는 새로운 공간 심리적 도시 주거이다.
수상작 ‘모여가’와 일반 협동주택에는 차이점이 있다. 협동주택은 법인이 설립하고 소유하지만, 모여가는 개인 소유이므로 언제든 매매와 권리 양도가 가능하다. 또한 개별적 공간의 구성과 색다른 건축 평면이 가능하다.
서로 부러워하는 집

‘어떻게 살고 싶은가?’라는 질문의 답을 고민하고, 서로의 생각과 상황, 육아의 방법 등을 공유하면서 아이들을 위한 공동육아의 바탕이 되는 작은 마을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 과정을 통해서 구성원들은 서로의 아이들과 친해지고, 누군가의 친구, 누군가의 형제자매가 되어 갔다.

각자의 집은 가족의 독특한 라이프스타일과 가족 구성원이 가졌던 집에 대한 로망에 맞는 구조와 공간을 계획하면서, 가지고 싶었던 공간을 찾아가고, 꿈꾸던 집을 실현시키게 되었다.

건축가는 집집마다 그들의 경제적 예산에 맞추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했다. 특히 아이들을 위한 작은 공간들과 각 집들의 시각적, 공간적 소통이 가능한 장치(테라스, 마당, 발코니, 공동마당, 데크, 수영장, 공부방 등)를 각자의 공간에서 바라보고, 누리고 점유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여덟 채의 집은 하나의 건물에서 어느 층, 어느 위치, 어떤 방식의 집을 소유할 것인가에 대한 이해 다툼이 생기지 않도록, 여덟 채의 집에 각각의 장점과 매력을 발산하도록 했다. 

다른 집이 부럽지만, 그 집도 이 집이 부럽도록 하는 방법을 시작으로, 건축과 공간을 만들었다. 이로 인해 모든 집들이 각자의 매력과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되었고, 모든 가정이 만족하는 공간적 분배가 합의되었다.

‘모여가’는 각자 소유의 재산이며, 각자에게 맞춤적인 단독주택이기도 하고, 타운 하우스이기도 하며, 동네이기도 하다.
‘모여가’는 부산 사투리로‘ 한데 모여서라’는 뜻을 갖고 있다.
새로운 도시 주거 모델

‘일반 협동주택’은 협동조합 법인이 설립하고 소유권도 협동조합 법인이지만, ‘모여가’는 개인이 모여 만들고, 개인 소유이므로 언제든지 매매와 권리 양도가 가능하다. 또한 ‘협동주택’은 외곽, 도심에서 벗어난 것이며 개별 선택권과 개별 공간에 대한 특화 설계가 어렵지만, ‘모여가’는 도심 생활권은 유지하며 공동육아로 삶의 질을 개선한다. 
  
또한 개별 선택권이 가능하며 개별적 공간의 구성과 색다른 건축 평면도 가능하다. 게다가 가족구성원과 필요규모에 따라 조정도 가능하며, 공용 공간과 놀이터도 필요한 만큼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모여가’는 빌라도 아니며, 단독주택도 아파트도 아니다, 
  
또한 타운 하우스도 공유 주거도 아니다. ‘모여가’는 각자의 소유로서 재산이며, 각자에게 맞춤적인 단독주택이기도 하고, 타운 하우스이기도 하며, 동네이기도 하다. 특히 아이들의 친구가, 형제가, 자매가 가까이에 있는 새로운 공간 심리적 도시주거이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도시에서의 새로운 주거 모델이 될 것이다.

한국건축문화대상 더 보기

전원주택 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여덟 가족 25명이 함께 지은 집 모여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