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학인당은 전주한옥마을 내의 수많은 집들 중에서 단연 돋보이는 집이다. 지금은 가세가 기울어 1,716㎡ 대지에 본채, 행랑사랑채, 솟을대문, 별채만이 남았지만 학인당이 처음 지어졌을 때만 하여도 대지 면적이 6,600㎡가 넘는 저택이었다. 현 본채의 서쪽에는 안채와 안사랑채 행랑채가 일곽을 이루었고 동쪽에는 창고가 있었으며 본채 뒤쪽으로는 1,650㎡에 이르는 후원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었다면 우리나라의 어느 저택보다 화려함을 자랑하고 있었을 것이다. 

 최성호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편집부

학인당은 백낙중白樂中 선생께서 작고하신 조부 백남혁 선생의 탄생을 기념하기 위하여 2년 8개월간의 공력을 들여 지은 것이라고 한다. 학인당學忍堂이라는 당호는 백남혁 선생이 아버지를 기리기 위하여 백낙중 선생의 호인 인제忍齊와 학學자를 합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1908년에 완공된 학인당은 전형적인 근세 한옥이다. 보통 한옥을 짓는데 걸리는 기간이 1년을 채 넘지 않는 것에 비하여 이 집은 근 3년의 기간이 소요됐다. 그만큼 이 집을 짓는 데 들어간 정성이 대단하였음을 보여준다. 학인당을 짓는 데 백미 4000석이 들어갔다고 한다.

백남혁 선생이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학인당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전형적인 근세 한옥으로 건축하는데 백미 4천석이 들었다고 한다.

백미 4000석을 들여 지은 집
당시 쌀의 상대적 가치로 따진다면 현 시세로 수십억 원을 투입하여 지은 집이다. 목재를 압록강과 오대산 등에서 가져다 지었다고 하니 이 집을 지은 공력을 가늠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들어 산림의 황폐화로 목재의 수급이 원활치 않아 좋은 목재를 넉넉히 쓰기란 쉽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은 집이라고는 조금도 느낄 수 없을 만큼 학인당의 대들보와 서까래는 대부분 곧게 뻗은 나무를 사용하여 가지런함이 잘 살아 있다. 

학인당은 한옥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과정을 여실히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조선이 가지고 있던 왕조의 질서가 무너지고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집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학인당은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아산 윤보선 생가(1904년)와도 여러모로 비교된다. 아산 윤보선 생가의 사랑채와 학인당을 비교하여 보면 유사한 점을 많이 느낄 수 있다. 물익공을 만든 솜씨며 나무를 다루는 솜씨가 같은 사람이 한 것처럼 느껴진다. 두 집이 지어진 시기를 고려하여 볼 때 같은 목수가 윤보선 생가를 지은 후 이 집을 지은 것이 아닌가 한다. 

이 집을 보면 윤보선 생가보다 진일보한 개념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윤보선 생가의 사랑채는 근대적 기법과 재료가 도입되어 잘 지어진 집이지만 과거의 사랑채 구성 방식이 그대로 남아 있다. 그러나 학인당은  단순히 근대적 기술과 기법만으로 집을 지은 것이 아니라 평면구성과 집의 기능성을 근대적 성격에 맞추어 전혀 다른 모습으로 개선하였다. 당시 서울이 아닌 더욱이 서울 근교도 아닌 전주에 지어진 집에서 새로운 변화의 개념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는 것이 매우 놀라울 따름이다. 이 집을 지은 백낙중 선생은 당대의 최신 문화를 많이 접하였을 뿐만 아니라 매우 진취적인 성격을 소유하신 것으로 보인다. 

단청을 올린 솟을대문. 고종황제가 백난중 선생에게 내린 효자 정려가 있는데 이렇게 일반 집 대문에 단청을 한 예는 학인당이 유일하다.
기단이 땅에 묻혀 있어 외벌대로 보이지만 원래는 이벌대 집이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스레 흙이 쌓인 것이다.
별채(오른 편)와 학인당의 후면이 보인다. 별채는 현재 한옥 체험시설로 이용된다.

윤보선 생가보다 진일보한 건축양식
학인당은 현재 기단이 조금 땅에 묻혀 있어 외벌대로 보이지만 잘 다듬은 장대석으로 만들어진 이벌대의 당당한 집이다. 평면이 ㄴ자 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한옥의 일반 개념과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몇 칸 집이라고 규정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한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예전 같으면 몇 채로 구성되었을 집을 한 채로 묶다 보니 집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졌다. 또한 간살이 넓다 보니 집이 장대하게 보인다. 아쉬운 점은 집의 규모에 비해서 처마의 길이가 짧다는 것이다. 현재는 처마 끝에 양철 차양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일제 시대에 첨가된 것이라고 한다. 집주인의 말에 의하면 초기에 찍은 사진에는 차양이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양철 차양은 높이에 비하여 처마가 짧아 비가 들이쳤기 때문에 그것을 보완하고자 후대에 설치한 것이다. 평면을 보면 퇴칸의 기능이 적극적으로 발전되어 여러 방을 연결하는 복도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평면형식은 일본 주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거부의 집답게 천장 속의 공간(더그매)을 수장 공간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과거의 천장 공간과 다른 모습으로 발전한다. 더그매 공간의 채광을 위하여 합각면에 광창을 뚫었다. 이러한 모습은 과거의 한옥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으로 서양 건축의 다락방을 연상시키는 구조다. 이러한 이유로 전면에서 보는 학인당은 다른 한옥과는 다른 특이한 형태를 띤다. 또한 이 집에는 서양의 건축기법이 부분적으로 도입되었다.
 
건물 뒤쪽에 있는 방 셋은 서재, 세면실, 목욕장으로 이용되었던 시설인데 출입문뿐만 아니라 벽체의 구성이 서양식으로 되어 있다. 아마도 서울에 있는 서양 사람들의 집을 보고 그 방식을 도입한 것이 아닌가 한다. 또한 이 집은 화장실도 본채에서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복도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목조의 기법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이 모습은 일제시대에 개조된 것으로 보인다.

학인당은 나무를 다룬 솜씨가 윤보선 생가와 닮았다. 같은 목수가 집은 지은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본다.
솟을대문 옆에 위치한 사랑채 내부. 대부분의 고택이 대문 옆에 행랑채를 두는 것이 보통인데 학인당은 사랑채를 놓은 것이 특이하다.
쥐의 출입을 막고자 독특한 하단에 장애물을 설치했다.

서양 양식이 가미된 건축기법
학인당은 세세한 부분에서 많은 고민과 시도를 한 집이다. 이러한 모습은 집 안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선 대청을 활용하기 위하여 미서기문을 개량하였다. 거부의 집이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한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퇴칸과 대청 사이에 미서기문을 들어내는 것은 물론 문지방도 분리하여 들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퇴칸과 대청 사이가 분할된 공간이 아니라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벽장에도 현재의 붙박이장과 같은 개념을 도입하여 고정된 가구로 설계하였고 예전의 고정시설이었던 두껍닫이도 분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창호의 개념은 특히 더운 여름 창을 넓게 열 수 있어 매우 유용한 방식이었을 것이다.
 
현재의 전체 배치는 다른 집과는 매우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솟을대문 옆에는 일반적으로 행랑채가 있기 마련인데 이 집에서는 바깥사랑채가 위치하고 있다. 이 사랑채의 구조는 일반적인 사랑채라고 하기에는 기단의 높이가 높지 않고 쉽게 드나들도록 했다. 이러한 구조는 많은 사람이 편하게 이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바깥사랑채는 이 집안이 소유하던 여러 곳의 농장을 관리하는 중간관리자들의 회의와 숙박을 위한 사무공간으로 만들어진 곳이라고 한다. 원래 이곳에 있지 않았던 것인데 1935년에 이축한 것이라고 한다. 또한 현재 한옥체험숙박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별채도 1937년 주변 도로가 확장되면서 헐리게 되자 이축했다고 한다.

한옥체험시설로 운영되고 있는 별채 내부와 손님을 위한 찻상.
이 집을 지은 백낙중 성생은 최신 문화를 접해 진취적인 성격을 소유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선진 문물로 여겼던 철재 손잡이가 보인다.

단청 올린 대문, 학인당이 유일
이 집의 솟을대문은 매우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우선 고종황제가 백낙중 선생에게 내려준 효자 정려가 있다. 문에 정려를 붙이는 것은 당연한 것인데 이 집은 단청까지 올렸다. 이렇게 일반 집 대문에 단청한 예는 아마도 학인당 밖에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도 시대의 흐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모든 인습에서 벗어나 자신을 과시하는 방식이 자유로워지면서 이전에는 없던 시도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간 이 집은 두 차례 남의 손에 넘어갈 위기에 처했었다고 한다. 첫 번째는 삼성 이병철 회장이 이 집을 자신의 별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당시로서는 거금인 3억을 제시하며 구매하려 하였고, 두 번째는 74년 민속촌이 세워지면서 이 집을 민속촌으로 옮기기 위해 민속촌에서 거액을 제시했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변 사람들에게서 집을 처분하자는 권유가 많아지자 돌아가신 백남혁 선생께서 아버님이 자신을 위해 지어준 집을 남의 손에 넘길 수 없다는 의지를 가지고 서둘러 1976년에 문화재로 등재하고 학인당을 문중의 재산으로 만든 후 관리의 책임은 장손에게 있도록 규약을 정하였다고 한다. 또한 재산의 처분을 임의대로 할 수 없도록 재산 처분은 만장일치로 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백남혁 선생의 의지가 없었다면 학인당은 벌써 남의 손에 넘어갔을 것이다.
 
집은 제 위치에 있을 때 그 가치를 가지는 것이다. 이 집이 다른 곳에 옮겨 지어졌다면 집의 가치는 반감되고 만다. 현재의 종손은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집을 복원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과거와 달리 넉넉지 않은 환경에서 그러한 결심을 하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어쨌든 그러한 의지가 결실을 보여 과거의 모습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채광을 위해 합각면 위에 낸 관창을 냈다. 과거 한옥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으로 서양 건축의 다락방을 연상시킨다.
행랑채 전경
글쓴이 최성호 
1955년 8월에 나서, 연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1982년에서 1998년까지 ㈜정림건축에 근무했으며, 1998년부터 산솔도시건축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 이야기》가 있습니다.
고택 시리즈 더 보기



전원주택라이프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고택을 찾아서, 전주 한옥의 백미 학인당 學忍堂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