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한옥이 비싸다고 하지만 이 정도면 최고급 사양이다. 전통 한옥 전문가인 박충수 목수가 3년여에 거쳐 완성한 강화 199.0㎡(60.0평) 복층 한옥. 못 하나 쓰지 않고 정교하게 짜 맞춘 집은 궁궐이나 전통 사찰에서나 볼 수 있는 팔작지붕을 인 웅장한 모습이 장관인데 본채(109.0㎡, 32.7평)와 같은 공법으로 올린 사랑채(90.0㎡, 27.3평), 소금 저장고, 저온 창고, 다용도실로 구성됐다. 

사모펀드 전문 금융회사를 운영하는 건축주는 박충수 목수에게 건축을 맡기기 위해 수년간 구애를 펼쳤다고 하니 그 사연도 궁금하다.
    
글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편집부

건축정보
위치 인천 강화군 양도면 조산리
대지면적 713.0㎡(216.0평)
건축면적
199.0㎡(60.3평)
사랑채 90.0㎡(27.3평) 포함
나머지 부속 건축물 제외
건축형태 복층 목구조 황토집
외벽마감 세라믹 벽돌
지붕재 전통 기와
내벽마감 황토 벽돌 위 황토 미장+한지
바닥재 황토 미장+황토 천연염색 광목
난방형태 전통 구들+기름보일러
시공 고운나무집 박충수 010-8868-6723

기단과 담을 쌓는 것도 소홀치 않았다. 수소문 끝에 전통 공법으로 담쌓는 전문가를 찾아 일을 맡겼다고 한다
주방 응접실과 안방 드레스룸에 놓인 가구. 이 집 가구는 못을 쓰지 않은 원목 그대로를 짜 맞춰 만들었다. 응접실 식탁도 직접 제작한 것이다.
본채에서 전면으로 가장 돌출된 사랑방.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욕실 천장도 서까래를 그대로 노출시켰다. 원목 욕조도 직접 제작한 것인데 배 만드는 곳을 찾아가 방수 기법을 알아냈다고 한다.
거실에서 본 사랑방으로 빛을 받은 한지가 은은한 멋을 낸다.

수년간 구애 박충수 목수를 얻다
강화군 양도면 조산리에 집 지을 땅을 구하자 건축주는 본격적으로 집 지을 사람을 찾아 나섰다. 그러던 차에 우연히 언론에 소개된 박충수 목수를 보고 박 대표는 한 걸음에 그가 있다는 경남 산청 지리산으로 향했다고 한다.
    
무작정 집 지어달라고 할 수 없었던 건축주는 이후 몇 년간 인간적인 교류를 쌓아갔다. 결국 자신 집에서 두 시간 이상 떨어진 곳에서는 일하지 않는다는 박충수 목수가 강화까지 발걸음을 옮겨 집을 짓게 된 것이다.
    
무엇이 목수의 마음을 움직이게 했을까. 먼저 두 사람의 독특한 이력에 눈이 간다.
학창 시절 프로이트에 심취했다는 박충수 목수. 20여 년간 산속에 묻혀 지내면서 그는 좋은 집 짓기를 통해 삶의 본질을 탐구해 왔다고 한다. 한편 15년간 노동 운동에 청춘을 바친 건축주. 사회에 나와 기업 구조조정 부분에 종사하면서 자본주의 최첨단이라 할 수 있는 당시에는 낯설기만 했던 사모펀드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러한 평범치 않은 인생 역정은 두 사람의 대화 물꼬가 트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제 이들은 한목소리로 말한다. "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정직하게 최선을 다한다. 일을 의뢰하는 사람이나 하는 사람이나 무엇보다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

90.0㎡(27.3평) 규모 사랑채로 평소에는 건축주의 서재 겸 작업실로 활용한다.
싱크대, 의자, 선반 등 주방/식 당에 들어간 모든 가구도 원목이다. 물 사용이 잦은 싱크대 상판은 원석이다.
거실 전경. 2층 딸 방으로 오르는 계단과 그 뒤로 주방/식당 공간이 보인다.
바닥 마감재는 황토로 염색한 광목이다. 좋은 질감을 얻기 위해 몇 번의 염색 과정을 거쳤다는데 발에 느껴지는 감촉이 황토를 밟는 듯하다.
화강암 원석과 세라믹 벽돌로 마감한 반지하 저온 창고

마음에 안 들면 부수기를 수차례
설계는 건축주가 책임지고 시공은 박충수 목수가 맡기로 하면서 조산리 주택 건축이 시작됐다. 땅바닥이 드러날 때까지 파고 또 팠다. 생땅이 보이자 자갈과 흙을 채워 다지고 그 위에 기단석을 놓았다.
    
벽체 외벽은 세라믹 벽돌로 내벽은 황토 벽돌로 쌓고 단열 효과를 증가시키고자 그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했다. 모든 목구조 공사는 못 하나 쓰지 않는 짜 맞춤 공법으로 진행됐는데 여기에서도 박 목수 기질(?)이 한껏 발휘됐다. 공정 끝이 보이다가도 맘에 들지 않으면 허물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를 수차례.
    
설계자인 건축주는 이를 어떻게 봤을까. " 박충수 목수는 이기심 없고 심결이 한없이 고운데 반해 일에 관해서는 철저하죠. 잠시 한 눈 파는 사이 원칙에 어긋난 일이 진행됐을 경우 언제라도 부수고 뜯어내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이 분과 집을 제대로 지으려면 어떤 건축주도 훨씬 많이 들어가는 건축비와 시간을 각오해야 할 겁니다."
    
이에 대해 박충수 목수는 "이런 건축주를 만난 건 저에게도 큰 행운이었죠. 예기치 못한 여러 가지 요인으로 길어지는 건축 기간, 그에 따라 증가할 수밖에 없는 건축 비용 등에 대해 인내하고 신뢰해 준 덕분에 평소 생각했던, 이상적인 집에 가까운 모델이 탄생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화답한다.

2층 딸 방.
형광등 직접 조명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LED 간접 조명 방식을 택한 이 집은 그래서 내부가 은은하고 포근하다. 건축주는 눈도 아프지 않고 전기도 절약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다고.

3년여 진통 끝에 선보인 명품 한옥
713.0㎡(216.0평) 남향받이 터에 위치한 집은 크게 본채(109.0㎡, 32.7평)와 사랑채(90.0㎡, 27.3평), 화강암 원석과 세라믹 벽돌로 마감한 반지하 형태의 저온 창고, 천일염을 숙성 중인 소금창고, 다용도실로 구성됐다. 이들 모두 외벽과 지붕에 동일한 마감재를 사용해 통일감을 준 것이 특징인데 작은 규모일지라도 팔작지붕에 전통 기와를 얹고 겹처마를 단 것까지 똑같다.
    
건축주는 "개집까지 기와를 얹었다. 우리나라 유일 전통 한옥형 개집이 아니겠느냐"며 미소를 짓는다. 본채 1층에는 안방, 거실, 주방/식당, 사랑방, 화장실이 2층에는 자녀 방이 놓였다. 현관을 들어서면 바로 우측으로 안방이 왼편으로 넓은 규모의 거실이 자리한다. 현관 왼편으로 사랑방과 주방/식당이 들어섰다. 현관문을 들어선 순간 한지 질감이 그대로 잡히고 목재의 은은한 빛은 살아나 전통미가 집 안을 가득 메운다. 무언가 특별한 것이 있을 듯싶어 건축주에게 물으니 아마 조명 때문일 것이란다.
    
이 집에는 직접 내리쬐는 조명이 단 하나도 없다. 모두가 LED 간접 조명 방식을 택했는데 생각 외로 어둡지 않다. 오히려 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하니 일거양득.
    
집에 들어간 재료는 나무, 돌, 황토, 광목 등으로 99%가 자연에서 얻는 친환경 재료들이다. 기존 한옥에서 불편한 점을 보완코자 창호지문을 대체한 알루미늄 새시와 욕실 타일 정도만 예외다. 가구도 모두 원목 그대로 못을 일절 쓰지 않고 짜 맞춰 제작한 것이며 벽 도배에 사용한 풀도 100% 친환경 국내산 밀가루만을 사용했다. 심지어 나무 욕조 방수 처리를 고심한 끝에 배 만드는 곳을 찾아가 방수 비법을 알아냈을 만큼 정성을 들였다.

앞은 저온 창고 뒤는 다용도실이다. 저온 창고 위로 항아리 등을 놓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한다. 다용도실도 본채와 같은 마감재, 공법을 사용했다.
기와를 얹은 개집. 건축주는 우리나라 유일 한옥형 개집이라고 소개한다.
본채에서 본 사랑채로 방풍널을 달았다. 방풍널은 건축비도 아끼고 비바람을 막아주며 햇빛도 차단하는 등 여러 면에서 유용하다.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처마선이 아름답고 서까래가 촘촘히 일정하게 잡힌 게 보통 솜씨가 아니다.
사랑채와 본채 정면의 외부 새시는 비가 들이칠 염려가 없고 단열 성능을 높인다. 또, 방범 효과도 얻는다.
본채 측면 굴뚝과 지붕이 한옥 멋을 한껏 자아낸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이것이 명품 한옥이다! 3년에 걸쳐 완성한 강화 한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