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주 임채용 씨(38)에게 어려서 살던 단독주택은 학습과 놀이 공간이고 자연과 관계를 형성하는 체험 공간이었다. 하지만, 아파트는 아이들의 웃음과 행복감을 담지 못하는 공허 가득한 공간空間에 그쳤다. 임채용 씨는 가족의 역사와 이야기가 쌓이는 공간을 상상하며 집짓기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
글 사진 백홍기 기자
취재협조 블루하우스코리아㈜
HOUSE NOTE
DATA
위치 경기 하남시 덕풍동
지역/지구 제1종 일반주거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건축구조 중목구조(철물 하드웨어 TEC-1 P3)
대지면적 265.10㎡(80.19평)
건축면적 130.53㎡(39.48평)
건폐율 49.23%
연면적
223.71㎡(67.67평)
1층 114.51㎡(34.64평)
2층 109.20㎡(33.03평)
다락 86.32㎡(26.11평)
용적률 84.39%
설계기간 2017년 12월~2018년 7월
공사기간 2018년 8월~2019년 6월
건축비용 3.3㎡당 600만 원(가구, 설비 제외)
설계 블루건축사사무소 010-3847-7008 www.bluearch.co.kr
시공 블루하우스코리아㈜ 031-212-5006 https://cafe.naver.com/bluehousekorea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갈바륨 단열패널(니치하)
벽 - 로투산페인트(Sto)
데크 - 방무목(ACQ)
내부마감
벽 - 벽지(LG하우시스)
바닥 - 제나 텍스처(이건마루)
단열재
지붕 - R32 글라스울(에코바트), T10 우레탄 단열
외벽 - T70 네오폴
내벽 - R19 글라스울(에코바트)
계단실
디딤판 - 고무나무 집성판
난간 - 스틸 각관
창호 T47 로이 3중유리 PVC창호(레하우)
현관 단열 현관문(베나토 YKKap)
주요조명 더블유라이팅
주방가구 베카코리아
위생기구 아메리칸 스탠다드, 대림바스
시스템 욕실 유니트바스
하우스 아닌 홈 개념으로
건축주는 집(house)에 살지만 정서적 집(home)을 원했다. 물리적 개념의 집이 아닌 고향같이 심리적 안정감과 행복을 안겨주는 집을 원한 것이다.
“집은 행복을 키워가는 가장 중요한 공간입니다. 그러한 공간을 만들어 아이들에게 좋은 기억과 추억을 심어주고 가족에게는 쾌적하고 건강한 삶을 선물하고 싶었어요.”
집 짓기를 계획하고 가족들과 상의하며 누나 가족도 합류했다. 한 지붕 아래 가족 10명이 모이게 됐다.
“부모님은 모시고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같이 살게 됐어요. 호주에 살던 누나네 가족이 귀국하면서 함께 뭉치기로 했어요. 각각 아이 둘을 키우고 있어서 10명이 살 수 있도록 집 규모도 커졌죠. 주변에선 아내 입장에서 시부모님과 시누이 가족까지 같이 사는 걸 이해하기 어렵다는 말도 많아요. 하지만, 누구와 사는 게 아닌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하죠. 존중하고 배려하는 부모님, 착한 마음을 가진 아내, 현명한 매형이 서로 잘 맞는 톱니바퀴처럼 맞물려서 이상적인 가족을 이루는 거 같아요. 저와 아이들은 그저 다 같이 사는 게 행복하기만 합니다.”
‘한 지붕 세 가족’ 계획을 세우고 가장 어려웠던 건 ‘어디에 어떻게 집을 짓느냐’였다. 지역 선정은 서울로 출퇴근이 수월하고 초·중·고등학교가 인근에 있어 네 아이가 통학하기 편리한 하남미사강변지구를 선택했다. 대지는 마름모 형태로 서북쪽과 남서쪽은 도로, 동남과 북동쪽은 이웃과 면하고 있다. 밀집 주거지역의 단점인 사생활이 드러나기 쉬운 환경이지만, 모든 생활 편의시설이 근접해 있고, 놀이와 산책하기 좋은 한강과 녹지 공원을 갖췄으며, 주변이 조용해 풍요로운 삶을 누리리라 생각했다. 문제는 한정된 예산으로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세 가족 모두 만족할 주택을 짓는 일이다.
사생활 보호와 독립성 강조
설계는 7개월이나 걸렸다. 일반 주택 설계보다 2~3배 더 걸린 셈이다.
“설계하는 게 어려웠어요. 아무리 친하고 가까워도 자기만의 공간과 스타일을 갖고 싶어 하기 때문이죠. 매형은 해외에서 영상 통화로 설계에 참여해 좋은 아이디어를 많이 냈어요. 다양한 의견을 설계에 반영하고 수정하는 과정이 어렵고 힘들었지만, 정기홍 건축사님 덕분에 과정이 즐거웠고 결과도 좋았습니다.”
설계를 맡은 블루건축사사무소 정기홍 건축사가 가장 고민했던 부분은 외부 시선에 의한 가족들의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다 같이 어울릴 수 있는 야외 공간 확보였다. 다행인 건 인접한 이웃집 두 채가 대지와 면한 벽면 쪽에 작은 환기용 창만 설치해 도로 쪽 시선만 차단하면 됐다. 따라서 도로를 등진 형태로 주택을 앉히고 안쪽에 프라이빗 한 테라스를 확보하기로 했다. 입면은 도로와 면한 정면을 간결하게 장식 없이 마무리했다. 주택 뒷면처럼 밋밋하게 보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점이 오히려 주변 건물과 차별화를 주면서 더욱 눈에 띄고 깔끔한 분위기를 강조한다.
평면은 한 지붕 아래같이 살지만, 세대별로 나만의 집이라고 느끼도록 완전한 분리를 통해 심리적 거리를 뒀다. 1층 공유 공간 뒤에 배치한 부모님 공간도 별도의 문을 지나야 나오는 숨은 공간처럼 만들어 사생활 보호를 강조했다. 건축주와 누나네 공간이 있는 2층은 듀플렉스 구조다.
벽을 사이에 두고 완전하게 분리했다. 입구 역시 건축주의 공간은 1층 현관에서 바로 2층으로 진입하고, 누나네는 1층 현관 앞 복도에서 진입하도록 나눴다. 하지만, 동선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았다. 아이들이 자유롭게 다니며, 필요에 따라 서로의 영역에 건너가도록 다락을 통해 두 공간을 이었다.
세대별 맞춤 공간 계획
실내 분위기는 세대별로 개성이 분명하다. 한평생 사이좋게 살아온 노부부도 서로 다른 취향과 생활 습관을 존중했다. 부부 침실을 거리 두고 양 끝에 배치해 각각 취미와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계획한 것이다. 그리고 함께 즐기는 취미 생활을 위해 거실 한편에 기타와 드럼 연주를 위한 작은 무대를 마련했다.
건축주는 휴식처와 같은 공간을 연출했다. 조망이 가장 좋은 쪽에 거실과 주방을 배치하고 조용한 분위기에 맞춰 인테리어도 간결하고 모던하게 꾸몄다. 다락은 계단실을 중심으로 앞뒤로 넓게 나뉘는데, 아늑한 안쪽에 스크린과 소파를 설치해 자신만의 로망이 담긴 취미실을 만들었다.
다락에서 옥상으로 이어지는 작은 문을 나가면 누나네 다락으로 건너갈 수 있다. 누나네 다락은 일부를 열린 공간으로 만들어 아래층과 소통하는 기능을 담았다. 이로 인한 개방감과 가구 일부를 목재로 제작해 분위기는 상대적으로 밝고 따뜻하다. 즐거움을 담은 누나네 공간은 욕실과 아이들 방에 공을 들였다. 욕실은 스트레스 해소와 편안함을 강조한 유니트바스 시스템 욕실을 설치해 가족만의 목욕 문화공간을 만들었다. 아이들 방은 복층으로 구성해 재미로 가득한 공간으로 꾸몄다. 그리고 1층과 바로 이어지도록 계획해 개별 주방을 만들지 않고, 독서와 휴식에 집중하도록 거실에 넓은 책장을 설치해 아늑한 서재 기능을 부여했다.
정기홍 건축가에게 ‘좋은 집이란’무엇인지 물었다. “추억이 각인되는 공간, 즐거움을 주는 살아있는 공간”이라고 답했다. 그런 의미에서 가족의 행복한 이야기와 역사가 곳곳에 배여 있는 이 집을 요즘 말로 ‘찐 집’이라 하겠다.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
www.countryhome.co.kr
※무분별한 악성 댓글, 인신공격, 허위성 댓글, 기사와 관계 없는 광고성 댓글은
사전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