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집과 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담장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모습이 마치 나선형 껍질 안에 쏙 들어가 있는 달팽이 같다. 콤팩트하게 설계해 집이 단일 매스로 보이도록 했고, 해가 지평선 너머로 사라지기 전까지 실내로 넉넉히 들어오는 햇빛 덕분에, 굳이 조명을 킬 필요도, 보일러를 돌릴 필요도 없다.
 
변효진(BHJ건축사사무소 대표)
사진 박창배 기자
취재협조 BHJ건축사사무소

기사 하단에 이 주택과 관련된 인터뷰와 영상을 링크시켰습니다.
자세한 사항이 알고 싶으시면 영상을 클릭해 주세요.

HOUSE NOTE
DATA
위치 경기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지역/지구 계획관리지역, 비행안전제2구역
건축구조 경량 목구조
대지면적 349㎡(105.76평)
건축면적 115.34㎡(34.95평)
건폐율 33.05%
연면적
115.34㎡(34.95평)
1층 115.34㎡(34.95평)
다락 13.03㎡(3.95평)
용적률 33.05%
설계기간 2020년 2월~5월
공사기간 2020년 6월~12월
설계 BHJ 건축사사무소 010-8962-0439 www.bhj-architects.com
시공 건축주 직영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알루미늄징크
벽 - 스타코
데크 - 방부목
내부마감
천장 - 편백나무루버(거실,욕실), 자작합판(부엌), 합지(기타)
벽 - 타일(부엌, 욕실), 합지(기타)
바닥 - 원목마루
계단실
디딤판 - 애쉬 원목
난간 - 분체도장철관
단열재
지붕 - 글라스울
외단열 - EPS 단열보드, 비드법 단열재
중단열 - 글라스울
창호 알루미늄 시스템창호
현관 알루미늄 시스템도어
조명 린노, 무토, 메가룩스
주방기구 MDF위 PVC멤브레인 및 우레탄 도장, 세라믹
위생기구 콜러, 대림
난방기구 가스보일러(린나이)

출입구를 미색의 알코브 공간으로 디자인하여 도로에서의 인지성을 높이고 바닥에 진입 방향으로 장돌을 놓아 끌어들이는 느낌을 강조하였다.
현관 중문을 열면 복도, 거실을 거쳐 거실창 너머 보이는 외부를 향해 확장되는 공간이 한눈에 들어온다.

용인 사암리 주택은 자녀들의 분가 및 은퇴 후 단출하게 소박한 멋과 여유를 즐기며 노년을 보내고자 하는 노부부를 위한 집이다. 고령인 두 분의 신체적 조건과 제한된 예산을 고려해, 콤팩트한 집과 최소화한 동선 범위 안에 모든 필요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계획하면서도, 동시에 넉넉하고 좋은 내부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손이 많이 가지 않고 실내 환경 조절이 최대한 자연적으로 이뤄지는 집을 만들고자 했다. 두 분에게 군더더기 없이 꼭 맞는 작은 달팽이 같은 집, 전원 풍경 속에서 단단하고 씩씩하게 서 있는 작은 원석 같은 집을 설계하고 싶었다.
 
나비 형태 대지의 중앙에서 폭이 가장 좁은 부분을 기준선으로 하여, 콤팩트하게 설계한 집을 한쪽에 배치함으로써 다른 쪽에 다용도 마당(정원, 휴식공간, 가사공간) 면적을 최대한 확보했다. 콤팩트한 집 안은 중앙의 짧은 동선과 그 주위로 돌아가며 태양의 움직임에 맞춰 배치한 내부 공간들로 구성된다. 빛은 해가 뜰 때부터 질 때까지 주택을 돌아가며 골고루 비춰주고, 내부 곳곳은 온종일 자연 빛으로 채워진다.

거실은 남쪽 테라스 측 소파 공간과 서쪽 마당 측 식사 공간이라는 두 영역으로 나뉜다.
경사지붕 밑 볼륨을 활용하여 넉넉한 공간 맛을 낸 거실은 다락방 창문 너머 보이는 하늘을 통해 다시 한번 확장된다.
별도의 두 공간이자 한 공간으로 계획한 거실과 부엌은 일상의 멋과 맛이 공존하는 곳이다.
부엌만의 기능적 독립성을 확보하면서도 거실과 부엌 간에 자유롭게 사람과 음식이 드나들고 대화와 시선이 오가도록 하였다.
부엌은 안주인이 음식 준비뿐만 다른 가사를 돌보고 독서, 음악 감상 등을 하는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이기도 하다.
부엌과 마당을 직접 연결시켜 안주인이 실내외를 오가며 가사를 효율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콤팩트하게 설계한 집
콘크리트 담장은 집을 중심으로 대지를 한 바퀴 돌면서 다양한 외부 공간들을 만들고, 담장 높이는 각 외부 공간의 기능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한다. 노부부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북측 도로 선과 동측 및 서측 인접대지경계선에서는 담장을 사람 키 높이로 계획했다. 이는 외부인이 집 내외부의 사적 공간을 볼 수 없도록 하면서도 담장에 의해 차경借景된 하늘 풍경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담장은 남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져 테라스 및 마당의 난간이 된다. 덕분에 테라스에 면해 있는 거실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테라스 난간 위로 펼쳐진 남쪽 전망을 즐길 수 있다.
 
콤팩트하게 설계한 집의 특징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 같은 흑갈색의 알루미늄징크와 스타코를 경사지붕과 외벽 마감에 사용해 집이 단일 매스로 보이도록 했다. 그리고 같은 스타코를 콘크리트 담장 마감에도 적용해 집 매스와 일체성을 가지도록 했다. 남쪽으로 여유 있게 돌출시킨 지붕은 남쪽 직사광선을 막는 차양 역할을 하고 빗물로부터 테라스 공간을 보호한다.

천장을 제외한 전체를 바다 물빛 타일로 마감한 욕실. 넉넉한 크기의 창을 통해 자연 빛과 외부 후원 경관이 실내로 들어온다. .
모든 사적 공간의 진출입은 현관과 바로 연결되는 짧은 복도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실이 통과 동선이 되지 않도록 하였다.
욕실과 마찬가지로 동쪽 후원에 면해 배치한 침실은 매일 아침 햇살이 가장 먼저 들어오는 곳이다.
거실 창문처럼 침실 창문에도 홍송과 한지로 된 여닫이 차양을 달아 차양이 닫힌 상태에서도 자연 빛이 은은하게 침실 안으로 들어오도록 하였다

넉넉하게 들어오는 햇빛
남향 전망이 확 트인 부분에 거실과 연결된 테라스를 만들었다. 지붕 처마를 여유 있게 돌출시키고, 거실 창문들을 크게 내고, 바닥에 나무를 깔았다. 그리고 지붕 처마와 테라스 난간이 만드는 액자 속으로 차경借景된 풍경이 펼쳐지도록 했다.
 
해가 지평선 너머로 사라지기 전까지 거실 안으로 넉넉히 들어오는 햇빛 덕분에, 굳이 조명을 킬 필요도, 보일러를 돌릴 필요도 없다. 여유 있게 돌출시킨 지붕 처마는 햇빛이 넉넉하지만 과하지 않도록 부드럽게 어루만져 준다. 거실 밖 테라스 난간 위로 펼쳐지는 전원 풍경은 식탁 너머 보이는 마당 정경으로 이어진다. 해와 구름의 움직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빛과 그림자 덕분에, 이 운치 있는 자연의 그림들은 하루 종일 바라봐도 지루하지 않다. 면적은 8평이란 작은 규모이지만, 경사지붕 밑 볼륨을 충분히 활용한 거실의 공간 맛은 넉넉하다. 거실에서 다락방 창문 너머 보이는 하늘의 단상은 거실 공간을 확장시키는 또 다른 장치이다.

한쪽으로 하늘과, 반대쪽으로 1층 거실과 통하는 다락방은 집 속의 또 다른 집 같은 별도의 공간이자 가족의 기억이 보관된 창고이다.

사람과 함께 변해가는 건축물
현관을 지나자마자 보이는 물푸레나무 계단을 오르면 작은 다락방에 도착한다. 분가한 자녀들이 손주들과 같이 오면 사용하는 매트리스가 갖춰져 있고, 벽 위에는 자녀들이 태어나고 성장하는 동안 가족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이 빼곡히 걸려 있다.
 
다락방 한쪽에는 지붕창이 있어 하늘과 햇살이 자그맣게 방 안으로 들어오고, 다른 쪽 창을 통해 보이는 거실은 다락방과 연결된다. 이러한 공간 세팅은 가족과 같이 있으면서도 동시에 홀로 조용히 떨어져 있는 느낌이 들게 하고, 사진들이 상기시키는 기억 속으로 몰입하도록 한다.
 
노부부가 입주하기 전, 주택은 미완성이었다. 이제는 두 분의 손길과 흔적으로 채워져 두 분의 집으로 비로소 완성되었다. 건축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사람과 시간이 필요하다. 건축이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과 함께 어떻게 변해가는 지가 중요하다.

사람 키 높이의 담장이 점차 낮아져 테라스 및 마당의 난간이 되며 그 위로 남쪽 경관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정원, 텃밭, 휴식공간, 가사공간 등의 다용도로 쓰이는 마당은 한국 전통정원의 단상들을 소박하게 담고 있다.
나비 모양 대지의 한쪽에 쏙 들어가도록 콤팩트하게 설계, 배치한 집은 대지 반대쪽에 위치한 마당과 한 쌍을 이룬다.
집과 마당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산 풍경이, 남쪽으로는 농지로 구성된 전원 풍경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북쪽 도로를 따라 단정하게 놓인 흑갈색 담장 위로 재단된 하늘이 펼쳐지고 집 지붕이 빼꼼히 보인다. 이러한 구성은 담장 뒤 공간이 더욱 궁금해지게 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변효진 (BHJ건축사사무소 대표 / 건축사, 프랑스건축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Paris-Belleville 국립건축대학교에서 석사를 마쳤다. 파리에 소재한 Gaetan Le Penhuel ArchitectesDevillers & Associes에서 오랫동안 실무를 쌓은 후, 2017년 귀국해 BHJ건축사사무소를 설립했다. 서로 다른 스케일과 영역을 넘나들며 인간 환경에 대해 총체적으로 설계하고, 새롭고 감각적이며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다. 서울시 마을 건축가로 활동 중이며, 서울시립대학교와 세종대학교에서 겸임교수(2017-2020)를 역임했다.

010-8962-0439 bhj.architects@gmail.com
www.bhj-architects.com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해 질 녘까지 자연 빛이 가득 용인 달팽이 하우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