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조응식 가옥(중요민속자료 198호/충남 홍성군 장곡면 산성리)은 현 주인의 11대 조상인 첨지공 조태벽 선생이 병자호란 때 낙향하여 지은 집이라고 한다. 그러나 지금의 집이 그 당시 모습 그대로는 아닐 것이다. 자료에 의하면 현재의 집은 19세기경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집은 나지막한 뒷산을 배경으로 넓은 들을 바라보며 남향으로 앉혀져 있다. 앞에는 조그마한 개천 너머에 연못을 파 놓았다. 전체적으로 전면이 개방되는 지형이라 연못 바로 뒤쪽에 대나무를 빽빽하게 심어 집이 직접 보이지 않도록 했다.

집 주인의 말로는 도로 쪽에도 수구막이 개념으로 소나무를 많이 심어 허(虛)한 부분을 보완했는데, 최근에 새 집이 들어서면서 소나무들이 사라졌다고 한다. 뒷산에도 소나무가 울창했는데 한국전쟁 때 북한군에 의해 전쟁 물자로 공출되면서 많이 사라졌다고 한다. 어쨌든 조경에 대한 세심한 배려 덕분에 자칫 너무 허전하게 보일 수 있는 집이 아늑한 분위기를 갖추게 됐다.
 
뒷산을 배경으로 평탄한 대지에 자리 잡은 조응식 가옥은 매우 개방적인 집이다. 뒷산의 소나무가 한국전쟁 때 많이 잘려나가 그리 많지는 않지만, 그나마도 그 소나무가 집의 분위기를 고즈넉하게 만드는 데에 일조를 하고 있다. 소나무가 더 울창했다면 집의 분위기는 강릉의 선교장 뒷산을 보는 듯 지금보다는 훨씬 더 운치가 있었을 것이다.

집이 전면에서 바로 보이지 않게 연못을 파고 대나무를 심었다.

유교적 사상을 기반으로 만물이 평온하기를 바라는 집
집은 ‘一’자형 행랑채 뒤에 5칸의 사랑채가 있고, 뒤에 ‘ㄱ’자형 안채가 위치하고 있다. 부엌의 반대쪽에 4칸의 광채를 배치해 튼 ‘ㅁ’자 형태의 집을 이루고 있다. 중문은 사랑채 옆에 위치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내외문의 역할을 하고 있다. 안마당이 워낙 넓어 안채가 밝고 시원하다. 필자의 경험으로는 이렇게 밝고 시원한 집에 사는 사람들의 마음은 집을 닮아 대부분 온화하고 부드럽다. 이 집에는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는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안사랑채가 있다. 집 주인의 증언에 의하면, 안사랑채는 살림을 물려준 주인이 거처하는 곳이라고 한다.
 
둘째는 중문 앞에 있는 토지광이다. 이 토지광은 여는 방법이 특이하다. 문을 좌우로 여는 것이 아니라 판재를 위로부터 내려 문을 닫는 것으로, 열기 위해서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판재를 하나씩 들어내어 열어야 한다. 문을 열려면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도난 방지에 매우 효율적인 방식일 것이다.
 
셋째는 사랑채 누마루 벽에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문양이 있다. 우리나라 집 특징 중에 하나가 장식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유교의 영향으로 집에 장식을 극도로 배제했기 때문에 집에 장식이 거의 없다. 그러나 이곳에는 사랑채 누마루 아래에 장식을 했다. 장식이라고 해야 팔괘 중 사계를 의미하는 ‘건곤감이(乾坤坎離)’와 ‘천하태평(天下泰平)’이라는 글을 써 놓은 것이 전부지만, 이만큼의 장식을 해놓은 것도 필자가 다녀본 집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경우다. 유교적 사상을 기반으로 만물이 평온하기를 바라는 집 주인의 마음을 읽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사랑채는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전면 5칸 측면 칸반의 ‘一’ 자형 집이다. 그러나 대청의 규모는 한 칸에 지나지 않는다. 집의 규모에 비해 대청이 매우 작은 편이다. 중문 쪽의 1칸은 2층 구조로 되어 있는데 아래쪽은 사랑채에 불을 지피기 위한 아궁이가 설치돼 있고, 상부는 사랑채의 다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랑채 앞에는 반 칸 규모의 툇마루가 설치돼 있는데 중문 쪽 끝의 한 칸은 누마루 형식으로 꾸며져 있다. 이곳은 2자 정도 높게 만들어져 있는데, 앉으면 담 너머 주변의 넓은 경치를 잘 볼 수 있다. 이 누마루에는 ‘수루(睡樓)’라는 이름의 현판이 걸려 있다. 그야말로 오수(午睡)를 즐기는 누마루라는 뜻이다. 이곳은 3면이 개방돼 있어 모든 문을 열어 놓으면 한여름에도 시원하게 오수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별당 격인 안사랑채로 통하는 문.
사랑채 마루에서는 담 너머 주변 경치가 잘 보인다.
전면 5칸 측면 칸반의 ‘一’자 형 사랑채.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집 구조도 바뀌어
조응식 가옥도 처음 지었을 때와는 변화가 많았을 것이다. 별당처럼 지어진 안사랑채도 안채보다는 후대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안채나 사랑채보다 집의 격조가 훨씬 높다. 목수의 솜씨가 훨씬 좋아 보인다. 사랑채가 마족연(馬足椽)으로 짜여 있는 것에 비해 안사랑채는 선자연(扇子椽)으로 잘 짜여 있다. 창호의 짜임도 훨씬 고급이다. 아마도 안채를 짓고 가세(家勢)가 불어나면서 거기에 맞추어 새로 지은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오래전에 사랑채의 작은 사랑방과 큰 사랑방 앞의 툇마루를 구분하던 문도 없어졌다. 최근에 들어서서 안사랑채를 구분을 했던 담도 사라지고, 안사랑채 앞에 있던 초가집 형식의 행랑채도 사라졌다. 사랑채 옆에 있었던 5칸의 광채도 주인에 의하여 다른 곳으로 이건(移建)됐기에 없어졌다.
 
내부도 많이 변형돼 있다.  안채와 사랑채가 어느 정도 독립적인 생활을 하고 있어 그에 알맞도록 변형돼 있다. 안대청에서 사당으로 사용되던 마루방은 욕실로 개조됐다(대청의 일부를 사당으로 사용한 예는 많다). 안방도 뒷부분의 광과 툇마루 부분을 늘여 안채에서 사용하는 부엌으로 개조했다.
 
안사랑채도 부엌을 없애고 방으로 개조했고, 뒤쪽 골방으로 쓰던 부분을 없애고 방을 넓혔다. 또한 골방도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욕실로 개조했으며, 대청의 일부도 주방으로 개조했다.
 
이것은 이미 변화한 생활 방식을 반영한 결과다. 이미 우리의 생활은 대부분 집에서 주방이 실내로 들어왔고, 과거처럼 아궁이에 불을 지피지 않고도 난방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그리고 화장실도 수세식으로 개조돼 실내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집 구조도 예전과 같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인정하지 않을 경우, 집은 버려질 수밖에 없다.

안마당. 워낙 넓어 안채가 밝고 시원하다.
안채 대청.
대청에서 바라본 소나무 우거진 산.
사랑채 옆의 중문으로 내외문 역할을 한다.
중문 앞의 토지광.
5칸 사랑채. 대청은 한 칸 규모로 작다.
안사랑채. 살림을 물려준 주인이 거처하던 곳이다.

문화재 지정 고택 개조 불허, 어떻게 볼 것인가
조응식 가옥에서도 사람이 계속 생활하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은 보존 상태에 완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람의 손길이 가지 않는 집은 곧 퇴락하고 만다. 종부가 처음 이 집으로 시집왔을 때만 해도 이 집에는 많은 하인들이 있었다고 했다. 이러한 규모의 집은 한두 사람으로 관리될 수 없다. 예전에는 청소하는 사람과 찬모 등 서너 사람이 집을 관리했을 것이다. 이제 그렇지 못하다 보니 집이 퇴락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대가(大家)들이 이러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집 전체를 관리하는 문제는 놔두고라도 당장 변화된 생활에 적응하도록 최소한의 개조는 허락돼야 한다. 집도 사람의 요구로 만들어진 도구이기에, 집도 사람처럼 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돼 간다. 현재까지 우리의 생활 환경은 계속 변화돼 왔다. 이러한 변화가 집에 반영되지 못한다면 집은 죽은 집이 되고 만다.
 
그러나 우리는 문화재로 지정된 집을 단지 ‘문화재’라는 생각 때문에 무조건 보존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나라에서도 집의 개조를 원칙적으로 허용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많은 사람이 살던 집을 버리고 다른 곳으로 거처를 옮기게 된다.
 
사람이 살지 않으면 곧 퇴락하고 만다. 집을 조금이라도 더 오래 보전하려면 사람이 살게끔 해야 한다. 그렇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를 실측하고 사진을 찍어 자료로 남겨 두고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집의 개조를 허락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 바로 조응식 가옥이라고 할 수 있다.

안채에서 본 사랑채. 중문 쪽 1칸은 2층 구조로 아궁이와 다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랑채 누마루에는 오수를 즐기는 누마루라는 뜻의‘수루 현판이 걸려 있다.
사랑채 누마루의 장식, 건곤감이와 천하태평
안사랑채에서 바라본 마당.
사랑채앞 반 칸 규모의 툇마루.
장독대가 놓인 안채 옆은 후원으로도 손색이 없다.

글쓴이 최성호  
1955년 8월에 나서, 연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1982년에서 1998년까지 ㈜정림건축에 근무했으며, 1998년부터 산솔도시건축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 이야기》가 있습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고택을 찾아서,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을 잘 간직한 홍성 조응식 가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