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 이원익(1547∼1634)은 태종의 5대 손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에 걸쳐 영의정을 다섯 번이나 지냈다. 이원익은 벼슬을 마치고 이곳에 정착할 때, 청렴하게 살아 변변한 집도 마련하지 못했다. 종손에 따르면 "오리 선생이 살던 집은 초가 몇 칸에 지나지 않았는데, 이를 안 인조가 현재의 종갓집을 하사했다"고 한다. 인조는 집과 함께 '청백리의 본보기로 모든 관리와 백성〔臣民〕이 보고 느껴야 할 곳'이란 뜻을 지닌 관감당이란 당호를 같이 내렸다. 사랑채에 걸린 편액이 그것이다. 종가 뒤엔 충현서원터가 있다. 효종 9년(1658)에 사당을 짓고 이원익을 배향하고, 1676년(숙종 2년) 충현서원이란 사액을 받고 강감찬 · 서 견 · 이원익을 배향한 곳인데 대원군이 서원 철폐를 단행할 때 헐렸다
글 최성호
사진 홍정기
오리 이원익 종택(문화재자료 제90호)은 경기 광명시 소하동의 약 3000평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터는 주변 경관을 내려다보기에 좋고 드나들기에도 적당한 산자락인데, 지금은 연립주택과 아파트 등으로 둘러싸여 답답하다.
현재 배치는 약간 바뀐 상태다. 종손은 "현재 담 밖 안내판 위치에 초가인 다섯 칸 행랑채가 있었고, 중문간채는 1940년대 다른 집을 옮겨다 고쳐지었다"고 한다.
지금의 집은 지은 지 오래지 않다. 원래 사랑채인 관감당은 1916년에, 안채는 그 이듬해에 지어졌다. 종손은 "증조부 때 재산을 많이 모았다"고 한다. 아마도 그 재산을 기반으로 집을 다시 지은 것으로 보인다.
집 구조는 안채와 사랑채 모두 몇몇 부분에서 당대 기법이 보이지만, 기본적으로 조선시대 전통 방식이 그대로 살아 있다.
이 집을 다시 지을 당시엔 안채와 사랑채의 구별이 모호했다. 그럼에도 사랑채와 안채를 분리한 데다 모두 접시받침을 끼워 지은 소로수장집이다. 유리문만 아니라면 언뜻 조선시대 전통 사대부가 구조로 착각할 정도다. 이러한 구조는 이원익의 종가라는 자부심에서 비롯한 것이 아닌가 한다. 임금이 하사한 집이란 자부심으로 집을 중건하면서 옛 모습과 구조를 보전하고자 노력한 것이다.
일고주 오량 전퇴 소로수장집, 안채
안채는 'ㄴ'자형 중문간채와 'ㄱ'자형 안채가 맞물려 튼 '口'자형을 이룬다. 중문간채 벽엔 벽돌을 사용했다. 그 재질이 1940년대 것이 아니기에 종손에게 물으니 "1980년대 안채 뒤쪽에 보일러실을 증축하면서 고쳤다"고 한다. 중문간채 왼쪽 부분은 안채 쪽으로 3칸 반을 늘였는데 사랑채로 가는 통로가 반 칸, 광이 1칸, 방이 2칸이다.
안채는 큰 기둥 하나에 도리가 다섯 개 들어간 일고주오량에, 집채 앞쪽에 다른 기둥을 세워 만든 조그마한 칸살을 둔 전퇴 소로 수장집이다. 종도리는 높은 편이라 사랑채만큼 무겁지는 않지만 도리 등 부재가 커서 경쾌한 느낌이 없다는 것이 조금 아쉽다. 후에 모든 툇간에 유리문을 설치했다.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에 3칸 건넌방이, 우측에 2칸 안방이 있다. 안방 아래쪽에 2칸 부엌과 1칸 찬모방을 늘여 붙였다. 안방과 건넌방 부분 뒤쪽 처마 밑에 후대에 살강(부엌의 부뚜막 및 조리대 위의 벽 중턱에 가로로 기다랗게 드리운 선반)을 만들었다.
건넌방은 3칸으로 다른 곳에 비해 규모가 커서 처음엔 안방으로 착각했다. 확인 결과 건넌방 쪽은 나중에 1칸을 더 늘여 지은 것이다. 현재 욕실로 사용하는 곳이다. 2칸 부엌은 특이하게도 다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찬모방과 같은 높이로 마루를 설치했다.
안채 뒤쪽에 자연석을 쌓은 장독대가 있다. 석축을 너무 가지런하게 쌓아 우리의 옛 정서와 어울리지 않는다. 아마도 다시 쌓은 것 같다. 그렇지만 잘 가꾼 나무들이 장독대를 감싸 아늑하고, 정갈하게 놓인 장독들에서 안주인의 성향이 느껴진다.
인조가 청백리에게 하사한 사랑채
사랑채는 정면 5칸에 측면 칸 반인 '一'자형 팔작지붕 소로수장집이다. 기단이 높아 주변 경관을 내려다보기에 좋다. 앞쪽 건물만 없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사랑채는 2칸 방과 2칸 대청, 구들방으로 이뤄졌다. 좌측 큰 사랑채는 2칸인데 방은 1칸 반이고 반 칸은 아래쪽에 아궁이를, 위쪽에 벽장을 설치했다. 측면은 1칸 반으로 큰사랑 쪽만 처마 밑에 살강을 덧달아 수납공간을 넓혔다.
일고주 오량집으로 대공 부분이 재밌다. 대부분 지붕을 높이고 물매를 잡고자 종도리를 높게 올리다 보니 판대공(두꺼운 널빤지로 만든 대공)을 높고 세련되게 만든다. 그러나 종도리가 그리 높지 않아 판대공은 정사각형처럼 느껴질 정도로 둔중하다. 또한 도리와 서까래도 굵은 부재를 사용해 집 안이 경쾌하지 않고 무겁다.
사랑채 뒤에 불천위(큰 공훈으로 영원히 사당에 모시기를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 이원익의 영정을 보관한 오리영우가 있다.
1693년에 지은 건물로 정면 1칸에 측면 1칸 반 규모고 오리영우란 현판은 숙종이 하사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건물은 19세기 말에 지었다.
영정은 사본이고 진본은 충현박물관에 보관한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원래 사랑채인 관감정과 오리영우 사이에 사당이 있었다.
이 종택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부지 내에 이원익의 부모와 형 내외의 묘소가 같이 있다는 것이다. 집과 묘지가 이렇게 가까운 곳은, 그간 한 번도 보지 못했다. 종손은 "원래 주변을 전주 이씨 가문의 선산처럼 이용해 묘지가 많았는데 모두 이장하고 두 분 묘소만 남겨 놓았다"고 한다. 아마도 이원익이 부모와 형을 가까이 모시고픈 생각에 집 근처에 묘지를 마련한 것이, 그 후 묘지가 점점 늘어나 전주 이씨 가문의 묘지로 된 게 아닌가 한다.
이 집은 부지가 매우 넓다. 이곳엔 충현서원 터, 이원익이 우의정 · 좌의정 · 영의정을 모두 역임한 것을 기념해 지은 삼상대, 바람으로 목욕한다는 풍욕대 그리고 이원익과 그 직계 후손들의 유적과 유물을 보관한 충현박물관도 있다. 무엇보다 주변을 흐트러짐 없이 잘 가꿨다는 것이 맘에 든다. 그간 여러 고택을 보았지만, 이 집만큼 주변을 잘 가꾼 곳을 보지 못했다.
이곳은 답사 처뿐만 아니라 조용히 휴식과 사색하는 장소로도 더할나위 없이 좋다. 주변을 산책하며 이원익의 자취를 느껴보는 곳으로 가꿨다는 점에서 종손의 가문에 대한 사랑이 남다름을 느끼게 한다.
글쓴이 최성호
1955년 8월에 나서, 연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1982년에서 1998년까지 ㈜정림건축에 근무했으며, 1998년부터 산솔도시건축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 이야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