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주 부부는 아들과 함께 거주하다 아들의 독립 이후에는 손님을 초대해 함께 즐기며 여유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주택을 짓고자 했다. 오랜 기간 단독주택 주거 단지로 가꿔져 온 향린동산은 이름에 걸맞게 대부분의 부지가 구불구불 동산을 끼고 형성돼 있다.
정리 노철중 기자
글 사진 스튜디오스투키
※ 기사 하단에 이 주택과 관련된 인터뷰와 영상을 링크시켰습니다.
자세한 사항이 알고 싶으시면 영상을 클릭해 주세요.
HOUSE NOTE
DATA
위치 경기 용인시
지역/지구 자연녹지지역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490㎡(148.23평)
건축면적 97.54㎡(29.50평)
건폐율 19.9%
용적률 14.5%
연면적
190.71㎡(57.69평)
지하 119.64㎡(36.19평)
1층 71.07㎡(21.50평)
설계기간 2020년 12월 ~ 2021년 5월
시공기간 2021년 8월 ~ 2022년 2월
설계 스튜디오스투키 02-2276-1883 www.stustu.work
시공 건축주 직영
MATERIAL
외부마감
외벽 - 스타코플렉스
내부마감
천장 - 삼화 수성페인트
내벽 - 삼화 수성페인트
바닥 - 구정마루
계단실
디딤판 - 일신석재
단열재
지붕 - 비드법보온판 2종1호
외벽 - 비드법보온판 2종1호
창호 신양금속공업 알미늄 창호
현관문 디자인핸즈
주방기구 한샘
위생기구 아메리칸 스탠다드
난방기구 경동콘덴싱 가스보일러
주변이 어둑할 정도로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찬 향린동산의 대지는 지금껏 한 번도 건축행위가 일어난 적 없던 임야였다. 대지는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의 높이차가 6m가 넘게 나는 경사지였기 때문에 평지로 사용 가능하도록 땅의 높이를 조절해야만 했다. 게다가 자연녹지지역인 탓에 건폐율이 20% 밖에 되질 않았다.
건폐율에 맞춘 20평 공간 안에 가족들이 함께 사용하게 될 거실과 주방이 넉넉한 넓이로 들어가기에는 어려워 보였다. 하나였던 필지를 4개로 쪼개는 과정에서 이웃한 대지 소유주 측과 건축 행위 일정을 맞추어야 했고, 더군다나 향린동산 측의 별도 심의를 거쳐야 했는데, 이는 대지 조건에 따른 토목공사와도 상충되는 부분이 있어 많은 협의가 이루어져야 했다.
높이차를 극복하는 배치
6m의 경사지는 두 개의 높이로 재조정됐다. 도로에서 접근하는 높은 레벨과 마당과 이어지는 낮은 레벨로 공간의 운용을 명료하게 풀고자 했다. 각 레벨 사이에 옹벽 대신 건물을 놓았다. 주택은 각각의 레벨에서 모두 출입이 가능해 대지에 면하는 두 개의 도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 과정에서 건물 아래층 일부는 땅에 묻히도록 계획했다. 아래층 2분의 1 이상이 땅에 묻힌 덕분에 지하층 인정을 받아 건폐율 20%의 제약에서 벗어났다. 두 개 층은 지상 1층과 2층이 아니라 지하 1층과 지상 1층으로 정리했고, 지하 1층에는 낮은 레벨의 마당과 연결된 거실과 주방을 배치했다.
마당을 만드는 방법
지상층이 있는 도로에서 진입하게 되는 주택의 입면은 마치 단순한 박스 두 개처럼 보이도록 계획했다. 주택치고는 폐쇄적이고, 언뜻 갤러리처럼 보이기도 한다. 지상층은 안방, 게스트룸, 화장실이 함께 자리하도록 했고, 가장 사적인 공간이 도로와 같은 눈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창을 두지 않았다. 현관문까지 이어지는 외부 공간에는 여러 높이의 담장을 배치해 동선을 의도적으로 길게 늘어뜨렸다. 지상층 마당은 동선의 일부로 쓰임과 동시에 조경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지하층에 위치한 거실과 주방은 ㄱ자로 꺾여 마당을 품에 안은 형태로 배치했다. 통창으로 시선이 통하는 거실-마당-주방의 구성으로 공간의 영역은 훨씬 더 확장돼 보인다. 거실에서는 남향의 채광과 함께 마당의 풍경이 쏟아져 들어온다. 주방에서는 마당으로 향하는 출입문을 내어 마당에서의 활동을 주방과 연결시켰다. 건축주는 마당을 확장된 외부 식당처럼 사용하고 있다.
가로의 띠가 만드는 리듬
도로를 마주하는 진입면은 가로로 긴 고측창을 하나만 내었지만, 반대편은 마당과의 관계뿐 아니라 조망을 위해서 최대한 열어주기로 했다. 큰 창들이 그 자체로 돋보이지 않고 입면의 디자인 언어와 어우러지며 여러 요소 중 하나로 읽히길 원했다. 동백동 주택의 입면에는 희고 두꺼운 띠들이 서로 다른 높이로 건물을 감싼다.
서로 다른 두께와 높이를 가진 가로의 띠들은 슬라브와 천장 부분에 해당하는데, 이는 곧 실제 내부의 실 높이를 보여주기도 한다. 주출입구에서 진입해 만나는 작은 거실과 안방의 바닥 레벨, 안방에서 연결되는 테라스의 레벨, 작은 거실과 연결된 게스트룸의 바닥 레벨이 모두 다르게 계획됐는데, 레벨차가 그대로 입면에 반영되도록 했다.
박스들이 빗겨 쌓인 건물 형태가 건물 내부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단차가 생기는 부분들마다 마감을 달리해 공간을 풍부하게 구성했다. 거실과 주방이 위치한 아래층은 따뜻하고 밝은 톤으로, 안방과 게스트룸이 있는 지상층은 어두운 톤으로 아늑한 안정감을 주었다. 게스트룸 매스의 단차로 생긴 아래층 주방 천장부의 단차에는 나무 질감을 부여했다. 특히, 게스트룸은 주택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작은 타일로 바닥과 화장실을 마무리해 색다르고 경쾌한 느낌이 들게 했다.
동백동 단독주택은 작고 큰 매스와 다양한 바닥 레벨을 통해 과하지 않은 선에서 균형 있게 자리 잡았다. 6m의 높이차 안에서, 폐쇄와 개방 사이 독특한 공간 구성으로 마당을 감싸 안은 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