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대지는 제주대학교 병원을 지나 아라일동 택지지구 안쪽, 인다길과 곰방매길이 교차하는 삼거리에 위치한다. 보통의 정리된 제주의 택지들과는 다르게 삼거리를 지나는 차들이 많고 오고 가는 동네 주민과 관광객들로 인해 프라이버시를 보장받기 힘든 환경이었다. 그래서 처음 대지를 마주했을 때 단독주택보다는 카페나 근린생활시설이 어울리는 땅으로 생각됐다.
 
진행 노철중 기자
고영성 이성범(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 공동 소장)
사진 고영성 소장

HOUSE NOTE
DATA
위치 제주 제주시
지역/지구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대지면적 345.7㎡(104.57평)
건축면적 161.32㎡(48.80평)
연면적
194.98㎡(58.98평)
지하 47.54㎡(14.38평)
1층 122.90㎡(37.18평)
2층 21.84㎡(6.60평)
건폐율 46.67%
용적률 56.40%
설계기간 2019년 7월 ~ 2020년 6월
시공기간 2020년 7월 ~ 2021년 6월
설계
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 070-8683-0029
http://formativearchitects.com
시공 건축주 직영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녹스탑(포스코강판)
외벽 - 전벽돌 파석(MK 세라믹)
데크 - 방킬라이
내부마감
천장 - 자작나무 합판
내벽 - 도장
바닥 - 신명마루, 포세린타일
계단실
디딤판 - 자작나무 합판
난간 - 철재난간, 지정색 도장
단열재
지붕 - THK150 압출법 보온판
외벽 - THK100 미트하임 곡면단열재
창호 이건창호
현관문 메탈게이트
주방기구 자체제작
위생기구 대림바스

주 출입구인 대문. 대지를 따라 구성된 별채의 벽을 연장해 외부 시선을 막고, 구조적으로 떠 있는 서까래를 통해 막히지 않고 개방감 있는 진입부를 구성했다.

아파트에 거주하던 건축주는 이 대지가 가지는 번잡함을 어느 정도 상쇄시키고 두 딸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주택을 요구했다. 주거 안에서 가족의 프라이버시를 보장받고, 제주라는 자연환경과 계절과 시간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을 원했다.

대문을 지나면 마주하게 되는 내밀한 마당을 통해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의 시선을 공유할 수 있다.
마당에서 바라본 주출입구의 처마. 진입부가 어둡지 않도록 목구조의 서까래를 노출해 바람이 통하고, 빛이 항상 주택에 스며들도록 했다.

별채 계획해 프라이버시 확보
설계에서 삼거리와 세 지붕은 가장 큰 두 개의 축으로써 건물이 구축되는 과정 전반에서 작용한다. 설계의 시작은 마당의 형성에 있었다. 주택에서 마당은 여러 가지 기능들을 하는데, 그 쓰임은 실내외 공간이 서로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질 때 제 기능을 발휘한다. 건축주가 요구했던 프라이빗한 주택의 공간을 마당과 함께 만들기 위해선 외부로 열려 있는 도로와 접한 두 면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해결 방법이었다. 이는 1.2m 투시형 담장으로는 불가한 일이었기에 프로그램의 일부를 떼어 서재와 다실로 이루어진 별채를 계획해 도로와 주거 사이에 하나의 켜로 삽입했다.
 
별채는 불필요한 외부 시선과 소음을 막아주며, 한옥의 사랑채와 같은 역할을 한다. 손님을 맞이하고 사적인 공간으로 누군가가 침범하는 것을 일차적으로 걸러주며 마당과의 관계에 있어 훨씬 더 적극적으로 실내외 공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계단실과 인접한 후정을 통해 빛이 거실 깊숙이 들어온다. 거실 앞쪽에는 테라스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성 향상과 공간의 확장성을 부여했다.
주방과 식당은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주방 위로 설치된 보이드 공간을 통해 아이들과 부모님들이 서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고 중정과 후정이 시선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공간을 배치했다.
후정과 테라스의 사잇 공간인 복도를 통해 거실로 진입할 수 있다.

반 층씩 오르는 평면 구성
세 지붕이 필연적으로 계획될 수밖에 없었던 또 하나의 이유는 대지 레벨에 있다. 대지가 평지가 아니라 고저차를 가지고 있었기에 그 고저차를 이용해 집의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지하공간은 약 2m 낮은 도로 쪽의 주차장과 연결되어 또 하나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반 층 정도의 레벨을 올라와서 주방공간과 이어진다. 이런 방식으로 반 층씩 계단을 오르내리며 집은 각각의 공간을 형성한다. 마당과 출입구와 가까운 아래층 공간은 주로 공적인 영역을 이루고 위로 올라갈수록 가족 구성원들의 프라이빗한 공간이 위치한다.
 
아파트와 같은 레벨에서 오는 열린 공간의 특성과는 다르게 방문자들이 사적인 공간까지 침범하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로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레벨을 통해 구분했다.

별채의 지붕을 넘어 보이는 한라산 풍경
천창을 내어 1층 거실까지 빛이 가득 들어오도록 계획했다. 천창 아래 길게 늘어진 인테리어 조명이 분위기를 더한다.

욕망과 규제
삼거리 세 지붕 집이 가지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주변을 가득 채우고 있는 다세대, 다가구 주택들의 모습과 틀이 교묘하게 닮았다는 점이다. 지구단위계획으로 인해 지붕 형태와 여러 가지 요소들을 일정 부분 따라야 했기에 그 교묘한 닮음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그 속에서 건축가와 건축주의 욕망은 그들과 다른 무엇을 쫓을 수밖에 없었다. 입면에서 보이는 입체적인 조형감과 거리를 향해 열려 있는 테라스, 그리고 또 한편으로 길을 등지고 있는 하나의 큰 덩어리로 이루어진 별채의 존재감은 그런 욕망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도시 풍경을 지키기 위한 규제는 오히려 도시를 향한 주택들의 볼륨을 드러냈고 판교나 다른 택지지구에서 보이는 중정형의 거대한 주택들의 모습이 필연적으로 이곳에서도 나타나게 됐다.

삼거리 세 지붕 집의 모습은 그들과는 조금 다른 모습이라 말하고 싶다. 묵직한 덩어리의 별채는 상부 목구조의 노출과 보이드 공간을 통해 좀 더 따뜻한 모습을 가로에 드러냈으며, 박공지붕 아래 곡선을 따라 비워진 공간은 길에서 커다란 벽으로 마주한 다른 건물들보다 훨씬 아라동과 어울리는 주택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한다. 오늘도 박공아래 유연한 곡선 벽과 깨진 벽돌로 이루어진 별채의 벽은 삼거리를 지나는 이들에게 심심한 택지에서 건축가가 설계한 주택이 가지는 욕망의 모습을 공유하고 있다.

별채의 중심인 대청마루를 통해 다실과 서재가 서로 연결되기도, 분리되기도 하면서 마당과 긴밀하게 이어져 있다.
뾰족이 솟은 박공지붕이 인상적인 주택 옆모습.
도로에서 바라본 주택의 대문.
이성범_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 소장
한양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공간건축에서 실무를 쌓았다. 공공성을 바탕으로 일상 속 건축의 가치를 탐구하고 건축의 본질에 관한 다양한 해석을 통해 이미지와 피상 위주의 건축으로부터 벗어난 다양한 건축적 가치를 모색하고 있다.
010-8628-7477 sb_quality@naver.com
 

고영성_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 소장
한양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솔토건축을 거쳐 2011년 디자인연구소이엑스에이를 개소했다. 이후 2013년 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로 상호를 변경해 현재까지 다수의 감성적이고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공간의 표면에 대한 중요성보다 그 본질의 진정성에 주목하는 건축을 지향한다.
010-3311-3278 destiny0913@daum.net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마당 품은 제주 삼거리 세 지붕 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