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건강한 삶의 지혜를 대자연에서 수확하는 농사짓는 교수 이원종



‘음식이 보약’이라는 말이 있다. 음식이 곧 약이요, 약이 곧 음식이라는 ‘약식동원(藥食同原)’에서 비롯된 말이다. 건강의 근본을 음식에서 구한다는 이 평범한 진리는 의학이 발달하고 먹을거리가 풍부해진 현대에는 오히려 실행하기 힘든 명제가 된 듯하다. 식품 첨가물과 유전자 변형 식품, 패스트푸드 등이 난무하면서 같은 음식이라도 몸에 약이 되는 것과 해가 되는 것을 구별해야 하는 폭넓고 균형 있는 안목이 필요해진 것이다. 최근에는 ‘웰빙(Well-Being)’ 바람에 힘입어 건강한 먹을거리를 다룬 각종 정보들이 연일 쏟아지지만, 외려 차고 넘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과연 어떤 주장을 믿고 따라야 할지 곤혹스러울 때가 많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가 매일 대하는 밥상을 매개로 건강한 삶에 이르는 방법을 친절하고 쉬운 말로 풀어주는 이가 있어 눈길을 끈다. 30여 년을 식품 연구에 매진하면서 그 자신이 직접 농사를 지어 일상에서 건강 밥상을 실천하는 강릉대 식품과학과 이원종(53세) 교수다.




바람 드는 시골 토담집


스스로 ‘농부’라 일컫는 이원종 교수의 텃밭 딸린 시골집은 강원도 강릉시 회산동 심씨마을 안에 자리한다. 늦봄, 대관령을 타고 넘는 강한 높새바람으로 강원 산간지역을 달리는 내내 몸과 마음을 움츠렸지만 들이치는 햇살만큼은 어쩔 수 없는 봄이다. 야트막한 산자락에 휘감긴 호젓한 들녘에는 따스한 봄 햇살이 아늑히 스며들어 곳곳에 푸른 생명의 기운들이 충만하다. 파종을 앞두고 부드럽게 갈아놓은 논밭 너머로 뽀얀 흙먼지가 이는가 싶더니 낡은 자주색 차량 한 대가 다가온다. 먼 길 달려온 손님을 맞고자 마을 어귀까지 마중 나온 이원종 교수다.


들녘에서 마주한 그는 순박한 농부의 차림 그대로다. 흙덩이가 덕지덕지 묻은 장화와 낡고 헤진 청바지 그리고 모자에 눌려 엉클어진 머리칼은 대학 강단에 선다는 직분을 짐작할 수 없게 한다. 시쳇말로 품위 유지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듯한 소탈한 품성은 집의 모양새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5분 남짓 앞서 달리다 그의 차가 멈춰 선 곳은 빨간 함석지붕을 머리에 인 ‘ㄱ’자형의 시골 토담집 앞.



“바람이 부니 지붕이 들썩들썩 하죠. 보는 이들마다 지붕 좀 고치라고 귀에 딱지가 앉듯 말을 해도 목돈이 드는 일이라 섣불리 시작을 못하고 여태 이러고 있습니다. 실상을 모르는 사람들은 강릉시내에 진짜 살림집을 갖고 있다고도 하고, 또 건축업자를 소개해 주며 새 집 지을 것을 재촉하기도 하더군요.”


된바람에 벽에서 후두두 떨어진 흙을 물걸레로 훔치느라 바쁜 이 교수를 대신해 의구심 가득한 객(客)의 눈을 들여다보며 조곤조곤 말하는 이는 부인 김경애(51세) 씨다. 소탈한데다 천진스럽기까지 한 남편 곁에서 토담집 살림을 건사하는 게 보통 일은 아닐 듯싶어 넌지시 물어보니, 좁은 집에 손님 많이 못들이고 친척들 앞에 남세스러운 것 외에는 살면서 크게 아쉽거나 불편한 점이 없다고 한다.



땅에서 수확하는 살아있는 지혜


이원종 교수가 농사와 맺은 인연은 좀 유별나다. 자라면서 손에 흙 한번 묻히지 않은 서울 토박이인 그는 미국 유학시절 처음 농사를 지었다. 한국 음식이 못내 그리워 대학 소유의 땅을 싸게 임대해 서투른 솜씨로 길러 먹은 채소가 땅에서 일군 생의 첫 수확이었다. 손수 재배해 먹는 재미를 못 잊은 그는 한국에 돌아와서도 아파트 베란다에 흙을 깔고 갖은 채소를 심으며 아쉬움을 달랬다.


그러던 중 1989년 캐나다에서의 교환교수 생활을 계기로 중대한 결정을 내렸다. 평소 잔병치레가 심했던 막내딸 진(당시 5세)이가 캐나다의 시골마을에서는 감기 한번 앓지 않는 것을 보고 ‘하루빨리 농촌에 내려가야겠다’ 라고 결심을 한 것이다. 부부는 강릉의 25평 아파트를 내놓고 5년 만기저축에다 빚까지 더해 330여 평 텃밭이 딸린 17평 토담집을 구하고 가족의 새로운 보금자리를 앉혔다.


농촌에서의 새 삶은 줄곧 소규모 텃밭만을 경작해 온 이 교수에게 새로운 세상을 열어 주었다. 너른 땅에서 수확의 기쁨을 제대로 누렸음은 물론 평생 식품학에 매진해 온 지식인으로서 음식의 근본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몸소 체험하는 계기가 되어줬다. 그리고 그는 15년간 농사를 지으며 깨달은 밥상의 지혜를 책으로 엮어 세상에 선보였다. 지난해 출간되어 세간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킨 《위기의 식탁을 구하는 거친 음식》이 바로 그것이다.



천천히 씹어 먹는 거친 음식이 보약


그가 책을 통해 사람들에게 알리려는 내용은 무엇일까. 그는 책 말머리에서 의학이 발전하고 몸에 좋다는 음식이 철철 넘치는 요즘, 오히려 현대인의 영양상태는 불균형하고 질병은 늘어가고 있다는 엄중한 경고를 한다. 몸에 필요한 영양섭취보다는 ‘혀’가 원하는 음식만 섭취하여 ‘배부른 영양실조’를 낳았다는 것. 나쁜 음식의 위협에서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모진 환경을 이겨내고 자라 색과 향이 진한 음식을 먹어야 하는데, 여기서 그가 제시한 대안적 먹을거리가 바로 ‘거친 음식’이다.


“거친 음식이란 오염되지 않은 자연 환경 속에서 자라난 채소나 산나물, 도정하지 않은 현미, 보리, 밀 그리고 조상들이 예부터 먹어오던 전통식품 등입니다. 혀가 좋아하는 부드러운 음식의 반대말인 거친 음식은 자연의 모진 환경을 스스로 이겨내고 자라 색과 향이 진하고 씹는 감촉이 아삭아삭해 오래 씹어 먹어야 하는 게 특징입니다. 오늘날은 많이 잘 먹는 것만이 최고가 아니라 자연의 먹을거리로 돌아가 골라 먹는 지혜를 통해 건강을 되찾아야 할 때입니다.”





그는 거친 음식을 먹는 일이 생각만큼 어렵지는 않다고 설명한다. 내 몸에 약이라고 생각하고 조금의 비용과 노력을 들이면 일상에서도 충분히 실천할 수 있는 식습관이라는 것. 그래서 집 안에 작은 공간을 활용해 한두 가지 야채라도 직접 키워서 먹어 보고 또 장을 볼 때는 되도록 유기농산물을 구입할 것을 권한다.


이 교수가 집필한 책이 최근 쏟아져 나온 건강한 먹을거리를 다룬 여타의 책들과 구별되는 점은 그 자신이 손수 자연밥상을 일구며 일상에서부터 올바른 식습관을 실천한다는 데 있다. 웰빙 푸드와 슬로우 푸드, 유기농 식단 등 건강한 식습관을 다룬 지침서는 시중에 많지만 이론과 실천이 일치한 가운데 삶에서 건져 낸 살아있는 지식은 드물다.


그의 주장이 책상머리 지식이 아니라는 건 그의 일상을 들여다보면 여실히 알 수 있다. 그의 하루는 새벽 5시에 시작된다. 수탉 울음소리를 시작으로 텃밭에 나가 땀을 흘리고, 남는 시간에는 서재에서 책을 읽고 글을 쓰다가 아침 9시에 학교로 출근한다. 식사는 밭에서 그날그날 수확한 각종 야채와 말린 나물무침 그리고 잡곡밥으로 해결한다. 잡곡밥에 들어가는 현미는 인터넷에서 산 콩나물 자동재배기로 싹을 틔워 발아현미를 만들어 먹고, 단백질 섭취는 뒷마당에서 기르는 열네 마리의 암탉들이 낳은 유정란에서 얻는다. 여기에 닭 모이는 인근 주조공장에서 얻어온 녹차 잎을 잘 말려 쓰고, 닭의 배설물(계분)은 텃밭에서 뽑은 잡초와 함께 삭혀서 퇴비를 만드는 등 자연자원을 최대한 순환시킨다.


“남들 보기에는 궁상스럽다고 여길지 몰라도 우리에게는 이미 몸에 익어 자연스런 일상입니다. 얼마 전에는 손빨래하는 우리가 안쓰러웠던지 어머님이 세탁기 구입비로 몇 십만 원을 주고 가셨는데 돈은 요긴한 데다 잘 쓰고 여전히 빨래는 손수 해결하고 있죠. 아는 사람들은 빚이라도 내서 교수 체면에 걸맞은 집으로 옮기라고 말하지만 노년에 빚 갚으면서까지 분에 넘치는 집에서 살고픈 생각은 없습니다.”



자발적 가난


부부는 남은 삶을 재산 증식을 위해 소비하고 싶지는 않다고 말한다. 부의 축적을 최우선의 가치로 두는 시류에 편승하기보다는 최소한의 의식주 요건만 갖추고 남은 여력은 육체의 건강함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위해 쓰고 싶다는 게 부부의 바람이다. “집이 허름해 며칠씩 집을 비워도 도둑 걱정이 안 든다”며 소리 내어 웃는 부부에게서 스스로 선택한 가난이 가져다 준 삶의 여유와 마음의 평화가 엿보인다.

신선한 공기와 맑은 물, 침묵, 자유 그리고 건강…….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점점 더 귀해져 가는 사회이기에 이들 부부의 삶의 행보는 더욱 아름다워 보인다. 田




송희정 기자 / 사진 윤홍로 기자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건강한 삶의 지혜를 대자연에서 수확하는 농사짓는 교수 이원종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