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전원주택라이프
http://www.countryhome.co.kr
월간전원주택라이프
http://www.countryhome.co.kr
행복이 피어나는 두 마당 집, 광명 모퉁이 집
광명 주택 건축주를 대한건축사협회에서 주최한 ‘2015 건축산업대전’ 집365에서 처음 만났다. 그곳에서 잠시 상담한 건축주는 사무실을 방문해 간단한 사항만을 요청하고 설계 진행을 의뢰했다. 은퇴를 앞두고 광명시 하안동에 마련한 부지에 세 자녀 중 한 자녀와 함께 거주할 2가구 주택, 그리고 상황 변화에 따라 임대도 가능한 주택이 설계 조건이었다. 건축주는 ‘누가 2층에 거주하도록 할 것인가’를 가장 걱정했다. 여기에 대한 나의 답은 ‘왜, 1층과 2층으로 나눠야만 하는가’였다. 다양한 대안 제시를 통해 하나의 마당을 2가구가 공유하는 건물을 신축했다. 설계 협의는 이 집에 거주할 모든 사람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좌측 A가구뿐만 아니라 우측 B가구에 입주 예정인 막내따님도 함께해 실질적으로 2가구의 건축주와 함께한 즐거운 프로젝트였다.
글 김시원(㈜종합건축사무소 시담) | 사진 송정근 작가
HOUSE NOTE
DATA
위치 경기 광명시 하안동
용도지역/지구 제1종 일반주거지역,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대지면적 288.00㎡(87.12평)
건축면적 159.64㎡(48.29평)
건폐율 55.43%
연면적 206.80㎡(62.56평)
1층 111.76㎡(33.80평)
2층 94.77㎡(28.66평)
용적률 71.80%
건축비용 5억 6,000만 원(3.3㎡당 750만 원)
설계기간 2015년 12월 ~ 2016년 4월
공사기간 2016년 5월 ~ 12월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리얼징크
외벽 - 스터코
데크 - 목재
내부마감 천장 - 친환경 페인트
내벽 - 친환경 페인트
바닥 - 온돌마루
계단실 디딤판 - 목재널
단열재 지붕 - ㈜현대화학공업 비드법 보온판
외단열 - ㈜현대화학공업 비드법 보온판
창호 ㈜파커이엔씨 알루미늄 창호
주방가구 목소리
신재생에너지 태양광패널(설치비 600만 원)
설계 ㈜종합건축사사무소 시담 02-3775-0501 www.sidam.kr
시공 건축주 직영
커브 월을 통한 2가구의 통합과 분절
광명 주택의 대지는 하안동 밤일마을 근린상가들 뒤편 주거지에 위치한다. 동쪽은 8m 도로에 남쪽은 6m 도로에 접한 모퉁이 대지이며, 북쪽엔 2m 보행자 도로도 있다. 대지의 남쪽과 북쪽의 레벨 차가 약 1.5m이며, 북쪽과 남쪽에 기존 건축물이 들어서 있어 프라이버시와 개방감이 부족했다. 건물은 북쪽 대지 경계선에서 1m를 띄어 뒷집의 폐쇄성을 완화하고, 보행자 도로에서의 폐쇄적 시퀀스Sequence를 상쇄하고자 북쪽 입면을 분절하고, 밤에도 골목길을 따듯하게 비추도록 불투명 창호 및 소형 창호들을 불규칙적으로 배치했다.
‘두 개의 집을 어떻게 연결하고, 어떻게 분리할 것인가.’ 이것이 설계 초기에 고민한 사항 중 하나였다. 이 문제를 하나의 마당을 두 개로 분절·통합하는 커브 월Curved Wall을 통해 해결했다.
8m 도로변의 B가구 출입구에서 마당으로 이어지는 커브 월은 일상적인 사각형의 중정中庭을 부드럽게 가로지르면서 하나의 마당을 둘로 나누고 동선을 분리한다. A가구에서 보는 커브 월은 도로에서 현관으로 동선이 흐르게 하고, B가구에서 보는 커브 월은 현관에서 거실을 통해 외부 테라스로 이어지면서 내부 공간을 둘러싼다. 하나의 커브 월이 한 집을 두 집으로 나누기도 하고, 동선을 유도하기도 하고, 가로로 긴 오픈 공간을 통해 시선이 흐르게 하기도 한다. 완전히 분리된 두 개의 집이 아닌 하나의 마당을 나눠 쓰는 가족을 위한 집이다. 또한, 현관을 각각 설치하되 필요에 따라 두 집의 내부 동선이 연결되도록 현관끼리 연결하는 문을 계획함으로써 가족 간에 원활한 교류가 일어난다.
단독주택 설계 시 주의하는 것 중 하나가 현관문이 바로 도로에 면함으로써 여유가 없어지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도 되도록 거실까지 이어지는 외부 동선이 여유로우면 좋겠다는 기본 생각으로 진행했다. A가구는 대문에서 마당을 통해 현관에 이르고 커브 월이 동선을 인도하므로 집 안으로 향하는 작은 산책로가 된다. 커브 월의 A가구 현관 맞은편에 출입구가 있는 B가구는 전면 도로에서 최대한 셋백(건축선 후퇴)해 거실까지 이어지는 작은 복도가 전이공간 역할을 한다.
입면 역시 두 집이 아닌 하나의 집처럼 보이도록 노력했다. 마당도 지붕도 두 개가 아닌 하나로 보이지만, 내부를 분리해 사용할 수 있는 매스이다. 도로변의 창호는 크기를 최소화하고, 2층이나 내부 마당을 향한 창호는 개방감 있게 계획해 내부 공간이 외부로 이어진다. 커브 월로 이뤄진 이형異形 매스가 도로 모퉁이에서 건물의 기단을 형성하고, 그 뒤에 배경처럼 박공지붕의 주택을 배치해 도로 모서리에서 안정된 형태로 보인다. 1층 바닥 레벨을 도로보다 높여 시각적 간섭을 배제하고, 북쪽면은 불규칙한 창호 배치 및 불투명 재료를 사용해 골목이 생기가 있는 보행로가 된다. 외부는 깨끗한 화이트의 단순한 느낌으로 두 집이 중첩되고 분리된 형태가 하나의 모습으로 보인다. 두 집이지만 한 집 같은, 하나의 마당을 가진 두 집, 분리된 듯하지만 서로 연결된 집이다.
천장고와 단차, 스킵플로어를 활용한 디자인
거실은 기본적으로 마당을 향해 열리므로 안팎이 상호 관입이 되는 시선적 흐름과 개방적인 공간이다. A가구의 거실은 툇마루를 통해 중정으로 연결되고, B가구의 거실은 커브 월로 둘러싸인 데크로 확장돼 외부의 하늘을 품는다. 두 집 모두 거실이 자신만의 마당으로 연결된다. A가구의 거실은 천창을 두어 북쪽의 균질한 빛이 남쪽의 빛과 어우러진다. 또한, 거실과 주방/식당을 단차를 두고 연결해 주방/식당도 공용공간으로 기능한다.
단독주택을 설계하다 보면 개별 침실이 아파트보다 작아진다. 이 집은 아파트와는 다른 공간감과 쾌적성을 느끼도록 침실의 천장고를 높였다. 전등도 되도록 천장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형 등을 사용하고, 펜던트 등으로 포인트를 줬다. 다락은 아이 방을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각각의 침실은 천장이 지붕의 박공 형태를 그대로 드러내 플랫한 공간이 아닌 높낮이가 다양한 쾌적하고 재미있는 공간이 됐다.
주방/식당은 안주인의 로망이 숨어 있는 공간이다. 여러 번의 협의와 상담을 통해 안주인이 꿈꾸는 주방/식당을 디자인하는 것이 목표인데, 이번엔 그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한 듯하다. A가구의 주방/식당은 거실보다 바닥 레벨을 낮춰 높은 천장을 형성하고 상부 장을 없애 공간이 넓고 여유롭다. 거실과 주방/식당 사이엔 다이닝을 배치해 사이 공간의 역할을 부여하고, 펜던트 등이 시각적 중심 역할을 한다. B가구의 주방/식당은 작지만, 기능적으로 계획하고 타일 하나까지 협의를 거쳐 선택함으로써 만족도를 높였다. 두 가구의 주방/식당 모두 다용도실을 인접 배치해 효율성을 더한 구조다.
위생공간은 가장 개인적이면서도 폐쇄적인 공간이다. 하지만 단독주택을 계획할 때 폐쇄적이기만 한 화장실은 항상 지양하고 싶은 것이 사실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외부로 열린 화장실은 건축주와의 협의 과정에서 정리되고 말았다. 그래서 샤워 부스에 천창 설치를 제안해 이를 실행했다. 가장 개인적 공간이지만 빛이 가득한 공간으로서의 샤워실. 빛 속의 샤워는 빛의 어루만짐이 간지럽게 따스하지 않을까.
하나인 듯한 두 집을 계획하면서 처음부터 많은 스터디가 이뤄진 부분이 계단이다. 서로 이동하며 스치듯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으나 경제성 문제, 완벽한 프라이버시를 바라는 건축주의 요구, 현실적인 공간 부족 문제 등이 발생했다. 그래서 두 개의 출입구로 동선을 완벽하게 분리하고, 1층 거실 공간을 필요에 따라 연결하도록 문을 설치했다. B가구의 경우 취미실을 계단에 스킵플로어 형식으로 배치해 플러스 알파룸을 제공했다.
*
첫 단독주택 프로젝트를 뒤돌아보면서 내가 건축주인 듯 나에게 맞춰 설계했다는 반성을 하고 있다. 그래서 요즘은 철저히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듣고, 이를 현실화하는 아이디어를 창의적으로 제공하고자 노력한다. 사진이 멋진 집이 아닌, 오픈 하우스를 위한 집이 아닌, 건축가의 하고자 하는 바가 주된 테마가 아닌, 앞으로 이곳에서 살아갈 사람들의 현재와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집이 되길 바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욕실의 천창은 꼭 해야 했을까’라는 의구심이 든다. 다른 곳과 다른 욕실을 갖게 됐지만, 현실적으로 시공성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디자인과 기능적인 면에서 모두 좋은 대안이라고 생각하지만, 시공성에선 현실적이지 못한 측면을 반성하고 있다.
건축주 부부는 이 집에서 살 자녀를 선택하는 데도 많은 애를 먹었다(지역적으로 멀고 부모와 함께 사는 문제로 아무도 같이 안 살려고 했기 때문). 건축주 부부는 “집을 짓고 보니 함께 사는 막내딸의 만족감이 좋고, 다른 자녀들도 집에 자주 들르기에 이를 위한 게스트룸을 고민한다”고 한다. 건축가로서 이들 부부가 집을 지은 것에 후회가 없는 듯하여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 앞으로 손주들이 태어나고 자라는 동안 집도 나이를 먹을 것이다. 그러는 동안 이 집이 건축주들의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조금씩 적응하고 변화하길 바란다. 두 가족을 이어주는 두 마당에 행복을 가득 담으면서.
http://www.countryhome.co.kr
월간전원주택라이프
http://www.countryhome.co.kr
행복이 피어나는 두 마당 집, 광명 모퉁이 집
광명 주택 건축주를 대한건축사협회에서 주최한 ‘2015 건축산업대전’ 집365에서 처음 만났다. 그곳에서 잠시 상담한 건축주는 사무실을 방문해 간단한 사항만을 요청하고 설계 진행을 의뢰했다. 은퇴를 앞두고 광명시 하안동에 마련한 부지에 세 자녀 중 한 자녀와 함께 거주할 2가구 주택, 그리고 상황 변화에 따라 임대도 가능한 주택이 설계 조건이었다. 건축주는 ‘누가 2층에 거주하도록 할 것인가’를 가장 걱정했다. 여기에 대한 나의 답은 ‘왜, 1층과 2층으로 나눠야만 하는가’였다. 다양한 대안 제시를 통해 하나의 마당을 2가구가 공유하는 건물을 신축했다. 설계 협의는 이 집에 거주할 모든 사람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좌측 A가구뿐만 아니라 우측 B가구에 입주 예정인 막내따님도 함께해 실질적으로 2가구의 건축주와 함께한 즐거운 프로젝트였다.
글 김시원(㈜종합건축사무소 시담) | 사진 송정근 작가
HOUSE NOTE
DATA
위치 경기 광명시 하안동
용도지역/지구 제1종 일반주거지역,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대지면적 288.00㎡(87.12평)
건축면적 159.64㎡(48.29평)
건폐율 55.43%
연면적 206.80㎡(62.56평)
1층 111.76㎡(33.80평)
2층 94.77㎡(28.66평)
용적률 71.80%
건축비용 5억 6,000만 원(3.3㎡당 750만 원)
설계기간 2015년 12월 ~ 2016년 4월
공사기간 2016년 5월 ~ 12월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리얼징크
외벽 - 스터코
데크 - 목재
내부마감 천장 - 친환경 페인트
내벽 - 친환경 페인트
바닥 - 온돌마루
계단실 디딤판 - 목재널
단열재 지붕 - ㈜현대화학공업 비드법 보온판
외단열 - ㈜현대화학공업 비드법 보온판
창호 ㈜파커이엔씨 알루미늄 창호
주방가구 목소리
신재생에너지 태양광패널(설치비 600만 원)
설계 ㈜종합건축사사무소 시담 02-3775-0501 www.sidam.kr
시공 건축주 직영
커브 월을 통한 2가구의 통합과 분절
광명 주택의 대지는 하안동 밤일마을 근린상가들 뒤편 주거지에 위치한다. 동쪽은 8m 도로에 남쪽은 6m 도로에 접한 모퉁이 대지이며, 북쪽엔 2m 보행자 도로도 있다. 대지의 남쪽과 북쪽의 레벨 차가 약 1.5m이며, 북쪽과 남쪽에 기존 건축물이 들어서 있어 프라이버시와 개방감이 부족했다. 건물은 북쪽 대지 경계선에서 1m를 띄어 뒷집의 폐쇄성을 완화하고, 보행자 도로에서의 폐쇄적 시퀀스Sequence를 상쇄하고자 북쪽 입면을 분절하고, 밤에도 골목길을 따듯하게 비추도록 불투명 창호 및 소형 창호들을 불규칙적으로 배치했다.
‘두 개의 집을 어떻게 연결하고, 어떻게 분리할 것인가.’ 이것이 설계 초기에 고민한 사항 중 하나였다. 이 문제를 하나의 마당을 두 개로 분절·통합하는 커브 월Curved Wall을 통해 해결했다.
8m 도로변의 B가구 출입구에서 마당으로 이어지는 커브 월은 일상적인 사각형의 중정中庭을 부드럽게 가로지르면서 하나의 마당을 둘로 나누고 동선을 분리한다. A가구에서 보는 커브 월은 도로에서 현관으로 동선이 흐르게 하고, B가구에서 보는 커브 월은 현관에서 거실을 통해 외부 테라스로 이어지면서 내부 공간을 둘러싼다. 하나의 커브 월이 한 집을 두 집으로 나누기도 하고, 동선을 유도하기도 하고, 가로로 긴 오픈 공간을 통해 시선이 흐르게 하기도 한다. 완전히 분리된 두 개의 집이 아닌 하나의 마당을 나눠 쓰는 가족을 위한 집이다. 또한, 현관을 각각 설치하되 필요에 따라 두 집의 내부 동선이 연결되도록 현관끼리 연결하는 문을 계획함으로써 가족 간에 원활한 교류가 일어난다.
단독주택 설계 시 주의하는 것 중 하나가 현관문이 바로 도로에 면함으로써 여유가 없어지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도 되도록 거실까지 이어지는 외부 동선이 여유로우면 좋겠다는 기본 생각으로 진행했다. A가구는 대문에서 마당을 통해 현관에 이르고 커브 월이 동선을 인도하므로 집 안으로 향하는 작은 산책로가 된다. 커브 월의 A가구 현관 맞은편에 출입구가 있는 B가구는 전면 도로에서 최대한 셋백(건축선 후퇴)해 거실까지 이어지는 작은 복도가 전이공간 역할을 한다.
입면 역시 두 집이 아닌 하나의 집처럼 보이도록 노력했다. 마당도 지붕도 두 개가 아닌 하나로 보이지만, 내부를 분리해 사용할 수 있는 매스이다. 도로변의 창호는 크기를 최소화하고, 2층이나 내부 마당을 향한 창호는 개방감 있게 계획해 내부 공간이 외부로 이어진다. 커브 월로 이뤄진 이형異形 매스가 도로 모퉁이에서 건물의 기단을 형성하고, 그 뒤에 배경처럼 박공지붕의 주택을 배치해 도로 모서리에서 안정된 형태로 보인다. 1층 바닥 레벨을 도로보다 높여 시각적 간섭을 배제하고, 북쪽면은 불규칙한 창호 배치 및 불투명 재료를 사용해 골목이 생기가 있는 보행로가 된다. 외부는 깨끗한 화이트의 단순한 느낌으로 두 집이 중첩되고 분리된 형태가 하나의 모습으로 보인다. 두 집이지만 한 집 같은, 하나의 마당을 가진 두 집, 분리된 듯하지만 서로 연결된 집이다.
천장고와 단차, 스킵플로어를 활용한 디자인
거실은 기본적으로 마당을 향해 열리므로 안팎이 상호 관입이 되는 시선적 흐름과 개방적인 공간이다. A가구의 거실은 툇마루를 통해 중정으로 연결되고, B가구의 거실은 커브 월로 둘러싸인 데크로 확장돼 외부의 하늘을 품는다. 두 집 모두 거실이 자신만의 마당으로 연결된다. A가구의 거실은 천창을 두어 북쪽의 균질한 빛이 남쪽의 빛과 어우러진다. 또한, 거실과 주방/식당을 단차를 두고 연결해 주방/식당도 공용공간으로 기능한다.
단독주택을 설계하다 보면 개별 침실이 아파트보다 작아진다. 이 집은 아파트와는 다른 공간감과 쾌적성을 느끼도록 침실의 천장고를 높였다. 전등도 되도록 천장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형 등을 사용하고, 펜던트 등으로 포인트를 줬다. 다락은 아이 방을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각각의 침실은 천장이 지붕의 박공 형태를 그대로 드러내 플랫한 공간이 아닌 높낮이가 다양한 쾌적하고 재미있는 공간이 됐다.
주방/식당은 안주인의 로망이 숨어 있는 공간이다. 여러 번의 협의와 상담을 통해 안주인이 꿈꾸는 주방/식당을 디자인하는 것이 목표인데, 이번엔 그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한 듯하다. A가구의 주방/식당은 거실보다 바닥 레벨을 낮춰 높은 천장을 형성하고 상부 장을 없애 공간이 넓고 여유롭다. 거실과 주방/식당 사이엔 다이닝을 배치해 사이 공간의 역할을 부여하고, 펜던트 등이 시각적 중심 역할을 한다. B가구의 주방/식당은 작지만, 기능적으로 계획하고 타일 하나까지 협의를 거쳐 선택함으로써 만족도를 높였다. 두 가구의 주방/식당 모두 다용도실을 인접 배치해 효율성을 더한 구조다.
위생공간은 가장 개인적이면서도 폐쇄적인 공간이다. 하지만 단독주택을 계획할 때 폐쇄적이기만 한 화장실은 항상 지양하고 싶은 것이 사실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외부로 열린 화장실은 건축주와의 협의 과정에서 정리되고 말았다. 그래서 샤워 부스에 천창 설치를 제안해 이를 실행했다. 가장 개인적 공간이지만 빛이 가득한 공간으로서의 샤워실. 빛 속의 샤워는 빛의 어루만짐이 간지럽게 따스하지 않을까.
하나인 듯한 두 집을 계획하면서 처음부터 많은 스터디가 이뤄진 부분이 계단이다. 서로 이동하며 스치듯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으나 경제성 문제, 완벽한 프라이버시를 바라는 건축주의 요구, 현실적인 공간 부족 문제 등이 발생했다. 그래서 두 개의 출입구로 동선을 완벽하게 분리하고, 1층 거실 공간을 필요에 따라 연결하도록 문을 설치했다. B가구의 경우 취미실을 계단에 스킵플로어 형식으로 배치해 플러스 알파룸을 제공했다.
*
첫 단독주택 프로젝트를 뒤돌아보면서 내가 건축주인 듯 나에게 맞춰 설계했다는 반성을 하고 있다. 그래서 요즘은 철저히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듣고, 이를 현실화하는 아이디어를 창의적으로 제공하고자 노력한다. 사진이 멋진 집이 아닌, 오픈 하우스를 위한 집이 아닌, 건축가의 하고자 하는 바가 주된 테마가 아닌, 앞으로 이곳에서 살아갈 사람들의 현재와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집이 되길 바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욕실의 천창은 꼭 해야 했을까’라는 의구심이 든다. 다른 곳과 다른 욕실을 갖게 됐지만, 현실적으로 시공성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디자인과 기능적인 면에서 모두 좋은 대안이라고 생각하지만, 시공성에선 현실적이지 못한 측면을 반성하고 있다.
건축주 부부는 이 집에서 살 자녀를 선택하는 데도 많은 애를 먹었다(지역적으로 멀고 부모와 함께 사는 문제로 아무도 같이 안 살려고 했기 때문). 건축주 부부는 “집을 짓고 보니 함께 사는 막내딸의 만족감이 좋고, 다른 자녀들도 집에 자주 들르기에 이를 위한 게스트룸을 고민한다”고 한다. 건축가로서 이들 부부가 집을 지은 것에 후회가 없는 듯하여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 앞으로 손주들이 태어나고 자라는 동안 집도 나이를 먹을 것이다. 그러는 동안 이 집이 건축주들의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조금씩 적응하고 변화하길 바란다. 두 가족을 이어주는 두 마당에 행복을 가득 담으면서.